1. 고대의 원형연극(그리스)
○ 서양문화/동양문화 - 공연문화/연회문화(함께 노는 방식)
○ 그리스문화
○ 아폴론(뮤지컬을 저지한 것들)과 디오니소스(뮤지컬을 만든 것들)
○ 디씨램(DITHYRAMBS) - 디오니소스를 찬미하는 노래
○ 음악과 춤의 효용 : 2만명 운집, 가청, 스케일, 무드, 집중
○ 뮤지케(Mousike) 개념의 탄생
▷ 코러스, 음악과 춤
▷ 막간극(대사)의 가세 --> 원형연극 --> 뮤지컬
2. 이탈리아의 오페라
○ 중세의 종교극 : 디오니소스 - 유일신, 축제 - 의식의 보조수단
○ 뮤지컬의 숨통 - 포교용 세속 막간극 허용
○ 르네상스 - 교권에서 물권으로
○ 이탈리아 라틴 코미디 등장
▷ 인테르메찌(Intermedi, 그리스 로마 신화 소재의 막간극)
▷ 영국과 프랑스에 파급
▷ 그리스극 연구 붐
- 그리스 신화의 매력, 극장적 매력
- 막간극의 스펙타클화
- 야외에서 실내로
○ 이탈리아 오페라 탄생 : 1595년 최초의 오페라 <다프네> - 대사부분을 음악화

※ 사진의 출처 : 다음 블로그(http://blog.daum.net/kdonard33/2)
○ 본격적 오페라 작곡가 탄생
▷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

※ 사진의 출처 : 위키피디아(http://j.mp/NHZlOq )
▷ 연극적인 것을 모두 음악적인 것으로
▷ 그리스를 극복한 오페라 고유의 특성 장착
○ 오페라 시대
▷ 17세기 중반까지 유럽문화의 축
▷ 점점 고상해지는 오페라 : 음악의 절대적 우위, 개인적인 음악성 중시 풍토,
대중에서 멀이지는 오페라
▷ 오페라의 두 역할 - 그리스극의 수용, 대중 배척
3. 영국의 코미디
○ 본토에서 떨어져 있는 영국
▷ 뒤처질 수 밖에 없는 오페라 문화
▷ 서브컬처적 오페라로 발전
▷ 뮤지컬이란 말을 사용하기 시작 - 현대 뮤지컬의 진원지로 반전
○ 18세기 발라드 오페라
▷ 서민 욕구에 부응하는 촌극
▷ 오페라 관전과 다른 방식 : 기존 곡을 개사하여 부르는 곡, 극중 박수 허용
○ 발라드 오페라 열풍

<거지오페라>(1928년) 포스터

<거지 오페라> 입장권과 대본작가 존 게이(1685-1732)>
※ 사진의 출처 : http://j.mp/MPMBla )
▷ '거지 오페라' The Beggar's Opera(1728)
▷ 존 게이 작, 대담한 관객 몰인의 요인 구가
▷ 이탈리아식 오페라를 더 재미있게 만든 것
▷ 지배계층을 퐁자하는 내용
▷ 대담한 관객 몰입의 요소 구가 - 60회 연속공연 대히트, 줄 잇는 유사 작품들
4. 19세기 멜로 드라마
○ 사실주의의 대두 - 공연장에서 사라지는 음악극
○ 멜로 드라마
▷ 대중들만을 위한 별도의 연극 : 권선징악적 연극
▷ 사실주의 영향으로 드라마가 중심 : 적흥성에서 탄탄한 극성으로
▷ 정서적 장치로 쓰이는 음악 : 흥분장치에서 감성장치로
○ 멜로 드라마의 의의
▷ 사라지지 않는 음악 : 음악극의 잠복형태
▷ 극성의 가세 : 쇼/음악 중심에서 드라마 중심으로, 음악을 동반한 치밀해지는 구성들,
향후 본격 뮤지컬 작가들의 탄생
○ 신대륙 : 기존 문화의 저항이 없는 땅, 자유 노동을 통한 자본주의 체제
연예물이 필요한 고단한 땅, 순회 공연이 필요한 거대한 땅
○ 속속 들어오는 본토의 무대물들
▷ 엘리트에게 억압받는 대중문화들
▷ 본토에서의 1차대전
▷ 영국 폐기물 수입에서 자체 제작으로
- 본격 뮤지컬 공연 양식의 시작
- 뮤지컬의 맹주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