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산의 생애
- 다산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철학자이다.
- 젊었을 때 천주교 교리에 대한 연구 모임을 갖기도 하였다.
- 1801년 천주교 관련 사건에 연루되어 전라도 강진으로 18년 동안 유배되었다.
- 다산은 일표이서-『경세유표(經世遺表)』(1817) 『목민심서(牧民心書)』(1817) 『흠흠신서(欽欽新書)』(1819)-를 비롯하여 소학(小學), 육경(六經), 사서(四書), 경세(經世) 등 유학 전 분야에 걸쳐 저서를 집필하였고( 여러 단편 논문의 글들도 지었다.
2. 다산의 학문적 특색
- 한대(漢代)의 훈고학(고증적 방법)과 송대(宋代)의 성리학(사변적 방법)을 비판하였다.
- 중국 중심의 ‘천하(天下)’ 관념과 중화주의(中華主義)을 부정하였다.
- 리(理)의 형이상적 실체성을 부정하고 운동성을 지닌 기(氣) 중심의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만물의 생성은 물론 사단(四端)에 이르기까지 기(氣)가 발동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였다.
- 사람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嗜好), 즉 선에로의 경향성이 있다. 그리고 의지와 행위에 관한 자주적 권능을 갖추었다.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사단(四端 :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마음을 실천에 옮길 때 형성되는 덕이다.
- 민본사상은 “백성이 귀한 존재다.”라고 한 맹자로부터 직접 계승한 것이다.
- 다산의 토지제도 :「전론(田論)」의 여전제(閭田制)
'교양기타 > 고전에서 배우는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다산 정약용(丁若鏞)의 인간관 및 사회사상 (0) | 2013.01.17 |
---|---|
9. 율곡 이이(李珥)의 『성학집요(聖學輯要)』- 내성외왕(內聖外王) (0) | 2013.01.16 |
8. 공정으로서의 정의를 향한 여정 : 롤즈의 『정의론』 (0) | 2013.01.15 |
7. 자유와 평등의 회복을 위한 계약 : 루소의 『사회계약론』 (0) | 2013.01.11 |
6.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강화시키는 몇 가지 키워드 : 로크의 『통치론』 (0) | 2013.01.10 |
5. 자기보존을 위한 평화와 국가 : 토마스 홉스의 『리바이어던』 (0) | 2013.01.09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