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역학 배우기/당사주' 카테고리의 글 목록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21 01:00

 
 

당사주⑬ - 길흉론(吉凶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2. 20. 22:01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길복궁(吉福宮)

  일생의 운세 중 길운을 해설한 것으로 길복궁에 길성이 많이 들면 흉살(凶殺)이 줄게 된다.

  생년(生年)의 천간(天干)과 생시(生時)로 찾는다.

 

복관(福官) 운명에 복성이 들었으니 부호로 살 운수이다.
·중년은 순탄하고 평평하나 말년에는 거부가 될 것이다.
가는 곳마다 재물을 얻으니 금과 옥이 창고에 가득찬다.
복록이 견줄 데 없을 정도임에 만인이 이를 부러워한다.
귀예(貴藝) 두루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문필과 예술로써 이름을 떨친다.
동분 서주로 항시 바쁘니 마음과 몸에 여가가 없다.
초년에는 고달프고 괴로우나 중년 이후에 성공할 것이다.
비록 세업의 재물이 없을지라도 천금이 끊이지 않는다.
왕극(旺極) 몸을 세워 출세하여 임금을 모시고 섰도다.
자손이 화목 단락하고 노적을 뜰에 가득 쌓았다.
푸른 바다에 순풍이 부니 앞길이 거침없이 양양하다.
부귀가 한결같으니 일생을 편안히 지낸다.
합을(合乙) 두 가지 덕이 천을에 합치니 반드시 귀인의 상이다.
금방에 이름이 걸리고 큰길에 일산이 펼쳐진다.
문장이 남보다 뛰어났으니 세상 사람이 부러워 칭찬한다.
몸을 높은 벼슬에 두었고 일생을 태평하게 산다.
식증(食增) 목마른 말이 물에 다다르니 몸의 기운이 다시 되살아난다.
높은 집 넓은 방에 살고 노적을 산과 같이 쌓는다.
이른 시절에 액이 많지만 중년부터 복이 온다.
재물로서 이름을 퍼뜨리니 세상 사람이 부러워한다.
인문(印門) 어두운 밤에 길가는 사람이 우연히 밝은 등불을 얻는다.
정사를 맡아 백성을 구제하니 창생이 공경하여 우러러 본다.
만약 큰 벼슬에 오르지 못하면 도리어 하천한 사람이 된다.
몸은 높은 지위에 있을지라도 여자와의 분란을 조심하여라.
거부(巨夫) 음과 양이 서로 합하니 금슬이 함께 조화를 이룬다.
동원에 화풍이 불어로니 온갖 꽃이 다투어 핀다.
높은 벼슬에 뜻을 품고 서울 거리에 말을 달린다.
귀한 사람이 나를 도우니 부귀와 명예를 이룰 것이다.
무고(武庫) 손에 장수의 인을 가지고 만군을 통솔하도다.
젊은 때에 고생도 있으나 말년에는 형통할 것이다.
병법을 씀이 신묘하고 권위가 크게 떨친다.
비록 승패가 있지만 좋은 운수가 다시 이른다.
산하(山河) 무예가 남보다 뛰어나니 휘하에 천의 병력을 두리라.
변경을 잘 막아 백성을 보호하니 위엄과 명성이 널리 퍼진다.
한 번 큰소리로 호령하면 일만 도적이 쓰러진다.
적을 진압하고 칼을 씻으면 비단옷 입고 고향에 돌아온다.
관인(官印) 몸에 관인을 띠었으니 반드시 영화가 있다.
지모가 사람에 지나치고 위세가 아주 당당하다.
말년의 운이 크게 통했으니 비단옷에 좋은 음식을 먹는다.
좋은 가운데 흉함이 있으니 횡액을 두려워하여라.
시횡(施橫) 찬 골에 봄바람이 부니 얼음이 녹아 물로 흐른다.
명에 횡재수가 들었으니 뜻밖의 재물을 얻는다.
위가 순하고 아래가 화목하니 집안에 경사가 있을 것이다.
말년의 운이 크게 좋으니 보화를 창고에 감추리라.
재고(財庫) 몸에 재고가 따르므로 큰 부자가 될 수 있다.
부부 사이는 화락하지만 자손에게 불길한 액이 있다.
전장을 너르게 마련하였고 노적을 뜰에 가득 쌓는다.
분수 밖의 것을 탐하지 말라. 남의 원한이 두렵도다.

 

 

2. 흉화궁(凶禍宮)

  일생의 운세 중 흉성()이 곁들어 불의의 곤고(困苦)를 겪게 됨을 이르는 것이다.

  생년(生年)의 천간(天干)과 생월(生月)로 찾는다.

 

고신(孤辰) 사주에 고신살이 들었으니 고독한 생활이 두렵다.
남자는 상처의 슬픔이 있고 여자는 상부의 애통함이 있다.
들어오면 빈 방이요 나가도 의탁할 곳이 없다.
천을성이 운명에 비추면 마른 나무가 봄을 만나는 격이다.
과숙(寡宿) 운명에 과숙살이 들었으니 부부 사이가 조화를 잃는다.
망망한 너른 바다에 일엽편주처럼 외롭다.
중년 혹은 말년에 이르면 점점 여명에 가까워진다.
길성이 나에게 비치면 만사가 형통하리라.
대패(大敗) 꽃이 떨어지고 나비가 돌아가니 부부간에 불화가 잦다.
선대 세업을 지키기 어렵고 천리 타향을 방랑한다.
화액을 조심하라 조난을 당할까 두렵구나.
길성이 와서 비추게 되면 도리어 현달할 것이다.
적랑(赤狼) 흉액이 겹쳐 잇달으니 관재 형액을 조심해라.
남부 여대로 세간을 챙겨서 천리 타향에 옮겨 사리라.
주색을 가까이하지 말라. 패가망신할 것이다.
천을성이 운명에 비추면 저절로 운수가 트인다.
팔패(八敗) 해는 서산에 떨어지는데 갈길은 아직도 멀다.
초년에 경영하는 일은 시작만 있고 끝이 없다.
훤히 맑은날의 우레소리에 온갖 새·짐승이 모두 놀란다.
산을 넘고 물을 건너니 만년에야 평지에 이르도다.
천랑(天狼) 뜬구름이 해를 가리니 음과 양을 분간할 수 없다.
만약 병고가 아니면 관액을 조심해야 한다.
깊은 산속에 들어가지 말라. 조난당할까 두렵다.
길성이 나를 비추게 되면 황금을 상자에 가득 채우리라.
소랑(小狼) 고기와 용이 마른 내에 있으니 살아나갈 계책이 없다.
부부가 갈라섬을 면하기 어렵고 재물의 손해가 두렵다.
남과의 시비를 삼가라. 구설이 몸에 따르게 된다.
길성이 나를 비추면 도리어 복록을 얻는다.
파가(破家) 전해오는 선대의 세업이 홀연히 안개처럼 흩어진다.
신세가 물에 뜬 마름과 같아 동에서 먹고 서에서 잠잔다.
분주하여 한가할 때가 없으나 잃은 것은 많고 얻는 것은 적다.
욕심을 적게 하고 근면 성실하면 늦게 가서 운이 열린다.
관재(官災)
삼형(三刑)
나르던 새가 조롱에 드니 형액이 있을까 두렵다.
시비를 가까이 하지 말라. 뜻밖의 변을 당하리라.
처자가 함께 불운하고 모든 일을 이루기 어렵다.
거동을 은인자중하면 여러 액운을 면할 수 있다.
육합(六合) 금슬이 잘 어울리고 백년의 해로를 누린다.
몸에 재운이 따르니 여러 곳에서 재물을 모은다.
상하가 서로 화목하고 집안이 늘 태평스럽다.
만약 주색을 가까이 하면 집을 패하고 몸을 망친다.
대모(大耗) 천리나 머나먼 길에 산은 높고 물은 깊다.
재물은 안개처럼 없어지고 부부가 서로 이별하도다.
오랜 병으로 신고하던 끝에 늦게야 영약을 얻는다.
덕을 쌓고 남을 도우면 모든 액운이 사라진다.
사관(四關) 산과 바다가 겹겹이 이어 있어 앞길이 아득하기만 하다.
부모 처자가 각기 헤이지고 혈혈단신 외로이 섰다.
활이 있어도 화살이 없으니 침노하는 도적을 어이 막으랴.
평생 동안 하는 일에는 엷은 어름을 밟듯 조심하라.

 

반응형
:

당사주⑫ - 명부전(冥府殿)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31. 05:38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사후의 운명이 어느 대왕(大王)에 의해 정해지는 지를 알아본다.

  보는 법은 생년의 간지로 찾는다.

명부대왕 생년간지 출생년도
1전 진광대왕(秦廣大王)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1930~1935, 1990~1995
2전 초강대왕(初江大王)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1948~1953, 2008~2013
3전 송제대왕(宋帝大王)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1942~1947, 2002~2007
4전 오관대왕(五官大王)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1924~1929, 1984~1989
5전 염라대왕(閻羅大王)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1936~1941, 1996~2001
6전 변성대왕(變成大王)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1960~1965, 2020~2025
7전 태산대왕(泰山大王)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1954~1959, 2014~2019
8전 평등대왕(平等大王) 병오(丙午)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1966~1971, 2026~2031
9전 도시대왕(都市大王)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1912~1917, 1972~1977
10전 전륜대왕(轉輪大王) 무오(戊午)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1918~1923, 1978~1983
1전 진광대왕
(第一殿秦廣大王)
생시에 자선사업을 벌여 가난하거나 외로운 사람ㅇ믈 돌보고 의로운 일을 많이 하였으면 극락 세계로 보내어 영화를 누리게 한다.
그렇지 아니하고 주색을 즐기고 방탕하며, 부모에게 불효하였으면 도산(刀山) 지옥으로 보내어 길이 혹한 업보를 겪게 하리라.
2전 초강대왕
(第二殿初江大王)
부부가 화복하여 세인의 모범이 되고 벗을 신의로써 사귀며, 불의를 범하지 아니하였으면 극락으로 보내어 영광을 누리게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사회를 어지럽히고 불륜한 일을 일삼으며 악한 일에 몸담았으면 확탕(鑊湯) 지옥으로 보내어 고통을 받게 하리라.
3전 송제대왕
(第三殿宋帝大王)
가난한 사람을 진심으로 구제하며 사사로운 이익을 뒤로 하고 공익을 앞세워 실천하였으면 극락 세계 또는 인간으로 갱생시켜 영화를 누리게 한다.
그렇지 아니하고 비리와 부정한 술수로써 남을 해하고 영화를 누린 자는 한빙(寒冰) 지옥으로 보내어 괴로움을 받게 한다.
4전 오관대왕
(第四殿五官大王)
양심과 윤의를 소중히 여기어 성실히 좇고 평생을 통하여 착한 일을 남달리 하였으면 극락으로 보내어 소원을 이루게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흉측포악한 마음으로 남을 해하고 불의의 영귀를 즐겼으면 검수(劍樹) 지옥에 떨어지게 한다.
5전 염라대왕
(第五殿閻羅大王)
청렴 정직한 마음으로 사람을 사귀고 어려운 이를 구제하며 자비로운 마음으로 함부로 살생하지 않았으면 소원 성취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부녀를 간음(姦淫)하고 남의 재물을 약탈하는 등 악한 일을 많이 하였으면 발설(拔舌) 지옥으로 보내어 고통받게 한다.
6전 변성대왕
(第六殿變成大王)
사람으로서의 본분을 소중히 실천하고 어려운 처지의 사람을 구제하는 등 착한 일을 많이 하였으면 인도환생(人道還生)하게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주색과 도박을 즐겨하고 남을 시기하고 음해(陰害)하였으면 독사(毒蛇) 지옥에 들게 하여 고통스럽게 한다.
7전 태산대왕
(第七殿泰山大王)
부모께 효도하고 형제간에 우애하며 자비로운 마음으로 고통받는 자를 구제하였으면 신선이 되어 길이 즐길 수 있게 한다.
그렇지 아니하고 불효 불목하고 시비를 좋아하여 남을 모해하거나 불의의 이익을 탐하였으면 좌마(挫磨) 지옥에 떨어지게 한다.
8전 평등대왕
(第八殿平等大王)
자기를 희생하여 남을 구원하고 일생을 통하여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은 극락으로 보내어 영화를 누리게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남을 이간질하고 시기하여 사회 생활의 윤리와 질서를 문란하게 하였으면 추해(錐解) 지옥으로 들게 할 것이다.
9전 도시대왕
(第九殿都市大王)
탐욕을 버리고 양심을 지키어 사랑과 믿음으로 사귀고 빈민이나 외로운 사람을 구제하였으면 신선의 세계로 가게 할 것이다.
그렇지 아니하고 음흉한 마음으로 남의 재물에 손해를 끼치고, 불의한 방법으로 남에게 고통을 주었으면 철상(鐵床) 지옥으로 들게 할 것이다.
10전 전륜대왕
(第十殿轉輪大王)
좋은 은혜를 널리 베풀어 많은 사람을 복되게 하고, 믿음으로써 남과 사귀었으면 인도환생케 하거나 요지연(瑤池淵)으로 들게 한다.
그렇지 아니하고 남을 시기하고 친천과 불화하며 부모를 학대하였으면 흑암(黑巖) 지옥으로 떨어지게 하여 고통받게 할 것이다.
반응형
:

당사주⑪ - 명궁(命宮)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31. 05:37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수궁(壽宮)은 수명을 본다. 아울러 종신할 자식과 자손에게 전승할 가산 등을 본다.

  보는 법은 생년 지지(地支: )와 생시(生時)로 찾는다.

생시(生時) 생년(生年: 띠)
()
()
원숭이()
()
()
()
호랑이()
()
()
토끼()
()
돼지()
()
(23:30~01:30)
포겁
(胞怯)
사육
(死六)
태재
(胎災)
욕년
(浴年)
()
(01:30~03:30)
태재
(胎災)
장화
(葬華)
양천
(養天)
대월
(帶月)
()
(03:30~05:30)
양천
(養天)
포겁
(胞怯)
생지
(生地)
관망
(冠亡)
()
(05:30~07:30)
생지
(生地)
태재
(胎災)
욕년
(浴年)
왕장
(旺將)
()
(07:30~09:30)
욕년
(浴年)
양천
(養天)
대월
(帶月)
쇠안
(衰鞍)
()
(09:30~11:30)
대월
(帶月)
생지
(生地)
관망
(冠亡)
병역
(病驛)
()
(11:30~13:30)
관망
(冠亡)
욕년
(浴年)
왕장
(旺將)
사육
(死六)
()
(13:30~15:30)
왕장
(旺將)
대월
(帶月)
쇠안
(衰鞍)
장화
(葬華)
()
(15:30~17:30)
쇠안
(衰鞍)
관망
(冠亡)
병역
(病驛)
포겁
(胞怯)
()
(17:30~19:30)
병역
(病驛)
왕장
(旺將)
사육
(死六)
태재
(胎災)
()
(19:30~21:30)
사육
(死六)
쇠안
(衰鞍)
장화
(葬華)
양천
(養天)
()
(21:30~23:30)
장화
(葬華)
병역
(病驛)
포겁
(胞怯)
생지
(生地)

 

포겁(胞怯)
부고(富庫)
자손에게 근심이 있으니 신불에[게 정성을 바쳐라.
천수가 팔십 세로 정해졌고 두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병을 얻은 지 닷세만에 세상을 하직하고 신선되어 간다.
사주 중에 축() ()가 들면 육십삼 세로 세상을 버릴 것이다.
태재(胎災)
적고(積庫)
대를 물려줄 재물이 창고에 가득히 쌓여 있다.
천수를 몇 년이나 할 것인가. 팔십 세를 기약할 수 있다.
보배나무 세 그루가 호천망극할 것이다.
사주 가운데 상충수가 있으면 육십 세에 다섯 해를 더하리라.
양천(養天)
반고(攀庫)
일찌기 양친을 이별하니 고향을 떠나서 집을 이룬다.
수한은 얼마나 될 것인가. 칠십팔 세를 살 것이다.
세상을 하직하는 임종 시에 두 아들이 슬피 울 것이다.
무슨 병으로 이 세상을 마칠까. 냉담·혈압에 관한 병이다.
생지(生地)
허고(虛庫)
평생을 힘써 일하였으나 쌓아 둔 바는 별로 없다.
이 세상에서 끼친 난궁은 두 가지가 종신하게 된다.
천수는 몇 해나 되는가. 팔십에 다섯을 더하리라.
중한 병에 걸린 삼일만에 황천으로 돌아가리라.
욕년(浴年)
귀고(貴庫)
이른 때에 고향을 떠나고 스스로의 힘으로 집을 이룬다.
천수는 얼마나 될 것인가. 칠십 세를 기약할 수 있다.
남긴 난초 두 떨기이나 한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우연히 병을 얻게 되어 겨울철에 황천으로 돌아간다.
대월(帶月)
정고(正庫)
삼림이 점점 늘어나고 슬하에 경사스러움이 있다.
하늘에 정해진 수명은 환갑 후 칠 년인 것이다.
만약 이 수를 넘기게 되면 칠십세를 넘길 수 있다.
난궁은 어떠하겠는가. 한 포기가 긴 봄을 이룬다.
관망(冠亡)
모고(暮庫)
찬 골에 봄이 돌아오니 처음은 고달프나 늦게 영화롭다.
과한 술을 마시지 마라. ()를 감할까 두렵다.
중풍으로 닷세를 고생하다가 칠십세에 황천으로 돌아간다.
신령이나 부처님께 헌성(獻誠)하면 두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왕장(旺將)
사고(査庫)
실패수를 여러번 지내고 중년 후에 점점 이룬다.
만약 육순을 넘기게 되면 능히 팔십의 수를 누린다.
칠성에게 공을 바치면 두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병을 얻은 지 반 달만에 길이 이 세상을 하직한다.
쇠안(衰鞍)
만고(滿庫)
금과 옥이 집에 가득차나 상처할까 두렵도다.
하늘이 내린 수명은 칠십 육세가 정명이다.
뜰에 자라는 보배나무는 두 포기가 오래 봄을 맞는다.
냉담병으로 삼일 동안 고생 끝에 속세와의 하직을 고한다.
병역(病驛)
공고(空庫)
한평생 일은 많아 바빴지만 이룬 재물은 별로 없다.
만약 칠십오 세를 넘기게 되면 구십세의 장수를 할 것이다.
슬하에 아들 두셋이 있으나 한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화체로 오랫동안 고생 끝에 누운 자리에서 신선되어 올라간다.
사륙(死六)
합고(合庫)
선과 덕을 널리 베푸니 남은 경사가 스스로 더하리라.
천수는 몇 년이나 될 것인가. 칠십에 일곱을 더한다.
자식은 많을 격이지만 종신할 아들은 하나이다.
냉담 증세 혹은 중풍으로 월여만에 세상을 하직한다.
장화(葬華)
천고(天庫)
초년은 고달픔이 많아도 중년 후에 운수가 돌아온다.
수명궁은 어떠하겠는가. 팔순에 한 살을 더하리라.
부처님 앞에 정성을 베풀면 두 아들이 종신할 것이다.
노병으로 신음한 지 칠일만에 길이 이별하고 황천으로 돌아간다.
반응형
:

당사주⑩ - 신상팔궁(身上八宮)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30. 07:45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신체 부위 중에 어느 부위가 흉한가를 살펴 운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보는 법은 생월(生月)과 생시(生時)로 찾는다.

생시(生時) 생월(生月)
1~3월 4~6월 7~9월 10~12월
()
(23:30~01:30)
어깨() 가슴() () ()
()
(01:30~03:30)
() () () 어깨()
()
(03:30~05:30)
머리() 생식기() () ()
()
(05:30~07:30)
() () 어깨() 가슴()
()
(07:30~09:30)
어깨() () () ()
()
(09:30~11:30)
() () 머리() 생식기()
()
(11:30~13:30)
가슴() 어깨() () ()
()
(13:30~15:30)
() () 어깨() ()
()
(15:30~17:30)
생식기() 머리() () ()
()
(17:30~19:30)
() () 가슴() 어깨()
()
(19:30~21:30)
() 어깨() () ()
()
(21:30~23:30)
() () 생식기() 머리()

 

머리
()
신상에 근심이 없이 평생을 편안히 지내며, 충명이 남보다 뛰어나니 큰 벼슬을 하겠다. 점점 아름다운 경지에 드니 세상 사람이 부러워한다.

()
초년에는 곤궁하지만 스스로의 힘으로 되살아난다. 노력으로써 점점 이루니 말년에는 남음이 있고, 가업이 흥하여 재물을 창고에 감춘다.
어깨
()
비록 한때 어려움이 있으나 먼저는 고단해도 뒤에는 영화롭다. 보수의 정원에는 화한 바람 끊이지 않는다. 산 넘고 바다를 건너니 큰길이 널리 열린다.

()
입고 먹는 데 걱정이 없이 일생을 편히 지낸다. 조상의 업을 지키기 어려우나 스스로의 힘으로써 집을 이룬다. 만약 좋은 기회를 만나면 정계에 나가 출세한다.
가슴
()
품은 뜻이 비록 크더라도 분수 밖의 것을 탐하지 마라. 사람을 대함에 어질고 너그러이 하면 구설이 스스로 사라진다. 자손이 어지니 끝내 부귀를 얻는다.
생식기
()
이른 때 고달픔이 많으나 중년 후로 운수가 열린다. 주색을 가까이하지 마라 패가망신한다. 음양이 조화를 이루니 여생이 태평하리라.

()
남과 일을 함께 하면 은혜를 베풀어도 이득이 없다. 초중년에 어려움이 많으니 대처하기를 신중하라. 참고 스스로 견디면 우연히 살길을 얻는다.

()
옛 살던 곳이 인연이 없어 천리 타향에 유리한다. 풍상이 그치지 않고 신세가 외롭다. 우연히 좋은 기회를 만나고 스스로 노력하여 집을 이룬다.
반응형
:

당사주⑨ - 가택궁(家宅宮)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30. 07:4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사주(四柱) 상의 가택 좌향(坐向)

  주택과의 인연과 어느 좌향의 가택이 자신에게 합당한가를 찾는다.

  보는 법은 생시(生時)로 찾는다.

생시(生時) 가택궁(家宅宮)
()
(23:30~01:30)
자귀(子貴)
()
(01:30~03:30)
축액(丑厄)
()
(03:30~05:30)
인권(寅權)
()
(05:30~07:30)
묘파(卯破)
()
(07:30~09:30)
진간(辰奸)
()
(09:30~11:30)
사문(巳文)
()
(11:30~13:30)
오복(午福)
()
(13:30~15:30)
미역(未驛)
()
(15:30~17:30)
신고(申孤)
()
(17:30~19:30)
유인(酉刃)
()
(19:30~21:30)
술예(戌藝)
()
(21:30~23:30)
해수(亥壽)

 

자귀
(子貴)
초년에 일을 실패하고 고향을 떠나 한번 고생을 한다.
옛터에 오래 살게 되면 물려받은 업을 지키기 어렵다.
집을 임좌(壬坐)에 잡으면 입고 먹는 것이 스스로 족하다.
사람됨이 맑고 곧으니 점차 오복을 갖추리라.
축액
(丑厄)
여러 액이 몸에 따르니 편안하고 고요함을 얻기 어렵다.
축좌미향(丑坐未向)으로 집을 옮기면 운세가 다시 돌아온다.
몸이 편안하고 집이 윤택하니 여생을 스스로 즐길 수 있다.
물가에 집을 지으면 횡액을 만날까 두렵다.
인권
(寅權)
재주와 지혜가 보통이 아니니 이름을 금방에 걸 것이다.
좋은 집터는 어느 쪽일꼬 축좌미향(丑坐未向)의 방위이다.
이 터를 가려서 살게 되면 복록이 스스로 오게 된다.
이른 자식의 운이 좋지 않으니 적선을 많이 하면 면하리라.
묘파
(卯破)
물길이 천리나 멀기만 한데 온갖 파란이 많기만 하다.
만약 화마의 피해가 아니면 물로 말미암아 한번 놀란다.
좋은 터를 도모하려면 사좌해향(巳坐亥向)으로 할 것이다.
늦게 광영이 있게 되니 석숭(큰 부호)의 복이라 부른다.
진간
(辰奸)
지혜와 꾀가 뛰어나지만 스스로 뜻을 정하지 못한다.
일을 경망스럽게 일으키니 흥하고 패함이 자주 있다.
터를 자좌오향(子坐午向)(남향)에 잡으면 흉한 것이 도리어 복으로 된다.
자손이 훌륭히 성장하며 하는 일이 잘 이루어진다.
사문
(巳文)
좋은 터는 어느 곳인가. 묘좌유향(卯坐酉向)(서향)의 집이다.
좋은 방위에 터잡아 살면 일이 뜻대로 통달한다.
좋은 별이 문에 비치니 여러 살이 스스로 사라진다.
사람과 더불어 믿음으로 사귀니 세상이 군자라 칭송하리라.
오복
(午福)
부자집에서 태어났으며 학문을 크게 이룰 수 있다.
가택으로 좋은 방위는 진좌술향(辰坐戌向)의 집이다.
음과 양이 서로 화합하고 서기(瑞氣)가 스스로 일어난다.
권세와 영귀를 겸하였으니 나가면 장수요 들면 정승이다.
미역
(未驛)
몸을 곤한 말에 의탁하고 강산을 두루 돌아다닌다.
돈 씀을 물쓰듯 하나 풍상을 면하기가 어렵다.
좋은 터는 어떤 곳일까. 건좌손향(乾坐巽向)의 집이다.
좋은 터를 잡아 살면 화가 도리어 복으로 된다.
신고
(申孤)
해는 서산으로 지는데 광양한 벌판에 홀로 섰다.
자신의 기교(技巧)를 믿지 마라. 횡액을 당할까 두렵다.
진좌술향(辰坐戌向)에 집터를 잡으면 위난이 스스로 해결된다.
불기운에서 흙이 생하니 점점 전지(田地)를 이룰 것이다.
유인
(酉刃)
뜻을 얻음은 비범하지만 중간에 꺾임이 자주 있다.
사람으로 하여금 해를 입으니 사()년 술()년을 조심하여라.
좋은 집터를 잡으려고 하면 건좌손향(乾坐巽向)으로 정하라.
모든 액이 스스로 없어지고 말년에 크게 발복하리라.
술예
(戌藝)
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니 조화가 무궁하기만 하다.
지혜와 꾀가 남보다 뛰어나니 경영하는 일을 이룰 수 있다.
정남향으로 집터를 잡으면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척된다.
일찍이 좋은 집터를 정해 살면 복록이 스스로 올 것이다.
해수
(亥壽)
만리나 멀리 구름이 없으니 바다와 하늘이 한빛으로 푸르다.
문과 무가 겸하여 온전하니 복록이 무진하게 많다.
집터로서 좋은 방위는 정서향에 잡을 것이다.
수와 복을 누리려고 하면 먼저 집의 좌향을 잘 잡아라.

 

2. 주택방위가상법(住宅方位家相法)

  주택은 가족의 안식처다. 주택의 길흉상은 그 가정에 대한 생활 상태와 그 가도(家道)에 대한 길흉상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주택의 가상이 길하면 가정이 부윤(富潤)하여 사업이 발전하고 자손이 영화하고 만사가 형통하듯 좌향의 길흉과 구조의 양상, 환경의 정화에 따라 가운과 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 가상에 대한 환경 정화의 일례를 들어 볼 때, 주택의 문경(門經-대문길)이 청정하면 하객이 부절(不節)하고 정경(井徑-우물길)이 청정하면 가도가 불패(不敗)하고 측경(厠徑-화장실)이 청정하면 질병이 불침하나니, 이것도 예로부터 삼경(三徑)의 청정(淸淨)이라 말한다.

  본법은 첫째 주택의 중심에서 이십사방을 정확히 정한 다음 대문, 현관, 부엌, 우물, 하수구, 화장실, 목욕실, 창고, 점포 등이 위치하고 있는 방위의 길흉상을 관찰하여 구조 양상의 개선과 방위의 전환 등으로 가상의 품위를 아담하게 가꿈으로써 가정 생활의 향상과 가도의 부흥 발전을 기할 수 있는 비결이다.(다만, 단독주택이 아닌 공동주택이나 다가구주택이 많은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애매한 면도 있다.)

   방위는 아래 방위표를 참고하면 된다.

방위표

자방
(子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으면 가주(家主)에 위장병이나 가족 중 정신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는 것은 길하고 대문, 변소, 점포는 불길하다.
계방
(癸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어도 지장이 없다. 장독대가 있으면 길하고 화장실도 길하다.
축방
(丑方)
이 방위에 부엌이 있으면 가정에 풍파가 부절하고 오물처가 있으면 환자가 생긴다. 창고가 있으면 불길하다.
간방
(艮方)
이 방위에 부속 건물이 있거나 달아나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면 화재가 난다.
인방
(寅方)
이 방위에 화장실이나 오물처가 있으면 가주(家主)가 중풍병에 걸리고 상속자에게도 재액이 있다. 창고는 불길하다.
갑방
(甲方)
이 방위에 달아나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귀한 자년를 두어 가문에 영화가 있다. 대분, 화장실이 길하고 우물은 특히 대길하다.
묘방
(卯方)
이 방위에 본가보다 높은집이 있으면 타인으로부터 박해와 손재수가 있다. 대문, 화장실, 창고로 불길하다.
을방
(乙方)
이 방위에 부엌이나 우물이 있으면 대길하고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금전의 낭비가 많다. 대문, 화장실은 길하다.
진방
(辰方)
이 바위에 신불(神佛)을 모시면 대길하고 부엌이나 하수구가 있으면 가정이 불화하다.
손방
(巽方)
이 방위에 목욕실이 있으면 가내에 유산(流産)이 있고 화장실이 있으면 화류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면 길하다.
사방
(巳方)
이 바위에 부엌, 우물, 화장실 등이 있어도 지장이 없다. 창고도 좋으나 본가보다 높아서는 안된다. 대문도 길하다.
병방
(丙方)
이 방위에 정원이 있으면 길하고 수목은 본가보다 낮아야 좋다.
오방
(午方)
이 방위에 화장실, 오물처가 있으면 불량자가 나고 낮은 수목이 있으면 대길하다. 우물, 하수구가 있으면 눈병이 생긴다. 대문도 불길하다.
정방
(丁方)
이 방위에 하수구가 있으면 주색으로 패가하는 자가 난다.
미방
(未方)
이 방위에 신불을 모시면 대흉하고 오물처가 있으면 불구가 생긴다.
곤방
(坤方)
이 방위에 하수구나 화장실이 있으면 주인이 위장병에 걸리고 주부가 자식을 낳지 못한다.
신방
(申方)
이 방위에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처자에게 불길하다.
경방
(庚方)
이 방위에 하수구, 화장실, 목욕실이 있어도 좋다. 신불을 모시면 가정이 번영한다.
유방
(酉方)
이 방위에 하수구, 기타 오물처가 있으면 딸이 가출한다. 대문, 화장실도 불길하다.
신방
(辛方)
이 방위에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자녀가 부정(不貞)을 범한다. 화장실은 길하다.
술방
(戌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으면 주인이 병신이 되거나 남과 시비하는 일이 많다. 우물, 창고는 길하다.
건방
(乾方)
이 방위에 신불을 모시면 대길하고 본가보다 높은 창고나 부속 건물이 있으면 만사가 형통하다.
해방
(亥方)
이 방위에 우물, 목욕실, 화장실 등이 있으면 길하고, 창고나 부속 건물이 있으면 가운이 왕성한다.
임방
(壬方)
이 방위에 부엌, 우물, 화장실 등이 있으면 좋다. 기타 오물처가 있어도 무방하다.

 

 

반응형
:

당사주⑧ - 신살론(神煞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29. 09:16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살격궁(煞格宮)은 누구에게나 십이살(十二煞) 중 하나가 있다. 경중에 따라 생애에 빚어지는 장애와 흉액이 차이가 있다.

  보는 법은 생년의 지지(地支: )와 생월(生月)로써 찾는다.

 

겁살
(劫煞)
일찍 부모를 이별하거나 혹은 타향에 나가 산다.
일을 시작함에 경망스러우니 선대의 가업을 지키기 어렵다.
모든 경영하는 일은 성공과 실패가 잦다.
영화와 부귀를 탐하지 마라. 이로움이 분수를 지킴에 있다.
재살
(灾煞)
부모로부터의 정이 없으니 살아감이 늘 외롭다.
옥과 같이 몸을 간수하라. 병마와 형벌의 수가 두렵다.
유산에 욕심이 지나치면 형제간에 서로 싸우게 된다.
믿은 이가 은혜를 배반하니 앞서의 베푼 공이 애석하다.
천살
(天煞)
하는 일이 중간에 꺾이고 병마가 몸에 침범한다.
친한 사람을 가까이 하지 마라. 은혜를 배반하고 해를 끼친다.
집에 있으면 마음이 어지럽고 밖에 나가면 스스로 고요하다.
여러 고생을 한탄하지 마라. 중년 후로부터 봄이 돌아온다.
지살
(地煞)
일천이지(一天二地)하니 어머니가 둘이요 그렇지 않으면 아내를 고친다.
부모의 은덕이 온전치 못하니 초년의 고생이 매우 심하다.
노력해도 공이 없으면 관재수가 두렵기도 하다.
중년 이후에 운수가 열리니 남으로 말미암아 일을 이룬다.
연살
(年煞)
도화살이 집에 침범하니 아내와 첩이 서로 싸운다.
만약 그렇지 아니하다면 상처할까 두렵도다.
주색을 가까이하지 말고 관재수를 조심하라.
몸을 다스리고 일에 힘쓰면 모든 살이 스스로 물러간다.
월살
(月煞)
부모의 은혜를 입지 못하니 초년의 외로움을 비길 데 없다.
집안이 편안하지 못하고 하는 일을 이루기 어렵다.
평생 동안 조심할 것은 관재와 구설의 재액이다.
옛 터는 인연이 없으니 타관에서 집을 이룰 것이다.
망신살
(亡身煞)
망신살이 명에 비치니 항상 불의의 괴변이 있다.
조상의 세업이 바람에 떨어지고 객지로 이리저리 돌아다닌다.
횡액과 실패, ()의 수가 몸 주변을 떠나지 않는다.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니 늦게야 평지를 얻는다.
장살
(戕煞)
명에 장수별이 들었으니 백만을 거느릴 수로다.
무관으로 몸을 일으키면 위엄과 세력이 나라에 떨친다.
가슴에 영웅의 뜻을 품었으나 몸은 위태로운 지경에 있다.
만약 명예를 얻지 못하면 도리어 오명을 남기리라.
반안살
(攀鞍煞)
일찍이 문필에 통달하니 소년 시절에 과거에 오른다.
관계에서 출세를 하게 되면 가는 곳마다 이름을 떨친다.
오십 세 초년에는 붕새가 푸른 하늘을 난다.
만약 그러하지 아니하면 차가운 땅을 면하기 어렵다.
역마살
(驛馬煞)
일찍이 풍파를 만나서 강산을 두루 다닌다.
나가고 들어옴이 일정치 않으니 몸은 괴롭고 마음은 바쁘다.
가는 곳마다 왕기가 있으니 장사로써 재물을 이룬다.
초년의 고달픔이 아주 크지만 중년·말년은 크게 통한다.
육해살
(六害煞)
천지(부모)가 기운을 잃었고 골육(형제)간에 덕이 없다.
동으로 달리고 서로 뛰니 몸은 곤하고 마음은 수심이다.
갈수록 어둡고 캄캄하니 어느 날에야 밝음을 얻으리오.
만고의 하늘 이치가 그늘이 다하면 볕이 돌아온다.
화개살
(華蓋煞)
만약 벼슬 생활이 아니면 풍류객 혹은 중이 될 수 있다.
선조 세업 지키기 어려우며 형제간에도 덕이 없다.
사람됨이 맑고 빼어나니 재물을 모으면 남에게 베푼다.
중년 후로 운수가 돌아오니 널리 명예가 퍼질 것이다.
반응형
:

당사주⑦ - 육친론(六親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28. 13:38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금궁(琴宮) = 부부궁(夫婦宮)

  배우자 복이 있는 지를 본다.

  보는 법은 생년의 지지(地支: )와 생월(生月)로써 찾는다.

 

중부
(重夫)
남편은 멀리 떠나가고 사랑하는 아내는 나를 등진다.
외로운 기러기가 홀로 나르니 긴 탄식이 하늘에 사무친다.
자손에게도 덕이 없으니 어느곳에 마음을 의탁할 것인가.
초년의 고달픔을 한하지 마라. 중년 후로는 편안할 것이다.
중처
(重妻)
도화살이 뜰에 침범하니 원앙이 서로 화합하지 못한다.
이르는 곳마다 봄바람이 부니 가는 곳마다 요색에 취한다.
성품에 방탕한 뜻이 있으니 주색에 빠질까 두렵구나.
조혼은 좋지 않으니 늦게 결혼하면 액을 면하리라.
극자
(剋子)
봄바람 가을 달밤에 슬픈 눈물 가시기 어렵다.
비록 금슬이 화목할지라도 자식들의 액운이 두렵다.
의식이 자족하기는 하나 실패의 운수가 겹쳐 잇는다.
초년의 괴로움을 탄식하지 마라. 말년이 되면 운수가 돌아온다.
상혐
(相嫌)
부부가 서로 싫어하니 서로 헤어짐을 면하기 어렵다.
부디 의심을 품지 말고 꾹 참고 서로 도우라.
태풍이 한 번 지나가면 모든 일이 평화롭고 조용하다.
만약 삼·사십대를 지내면 스스로 화평함을 얻으리라.
격산
(隔山)
정분은 불같이 간절하나 산과 물로써 멀리 떨어져 있다.
달 밝은 삼경에 외로이 잠 못 이루도다.
동으로 달리고 서로 뛰지만 잃는 것은 많고 얻는 것은 적다.
마른 매화나무 봄을 만나니 중년 후에는 화락하리라.
구자
(求子)
난궁(蘭宮)이 뜻과 같지 않으니 자식 없음을 한탄한다.
늘 가지와 잎을 구하니 좌우에 처첩을 두게 된다.
모란에는 열매가 없고 복숭아와 오얏은 과일을 맺는다.
늦게 한 아들을 얻으니 선대의 유산을 이어준다.
화합
(和合)
화창한 날 연못에서 원앙새가 서로 즐겨 한다.
집이 화목하고 살림이 불으며 모든 일이 형통하도다.
지아비 부르면 아내가 따르고 효성과 우애 있는 자손이 많다.
중년 후에 새로운 운이 오니 목마른 말이 물에 다다른다.
상량
(商量)
첫 결혼의 부부수가 불길함에 늦게 결혼하면 면할 수 있다.
요염한 꽃이 담넘어 엿보니 정을 빼앗길까 두렵다.
초년에는 이롭지 못하나 늦게는 해로할 것이다.
가산이 점점 더 늘어나니 갈수록 영화가 있다.
오역
(忤逆)
금슬이 서로 화합하지 못함에 홀로 빈 방에서 잠잘 것이다.
한 자리에서 등지고 앉으니 가업을 성취하기 어렵도다.
어두운 그림자가 뜰에 드리우니 해와 달이 밝지 못하다.
나무에 올라가 고기를 구하니 일만 번거롭고 공은 없다.
보수
(保守)
하늘이 정한 인연을 얻으니 원앙이 한 베개를 밸 것이다.
화한 기운이 집에 가득 차고 자손이 크게 창성할 것이다.
부부가 백년을 해로하며 가업이 점차 늘어난다.
찬 골짜기에 봄이 돌아오니 중년 후에는 크게 형통하리라.
입사
(入舍)
광풍이 동산을 침범하니 꽃과 나비가 날아 흩어진다.
만약 사별하지 않으면 생이별을 면하기 어렵다.
일은 번거롭고 몸은 괴로우나 공은 없고 헛되이 보낸다.
홀로 지낸 몇 년 후에 새로운 인연을 기약할 수 있다.
이처
(離妻)
외로운 기러기 북녘 하늘에 나니 이처(離妻)할 수가 두렵구나.
만약 그렇지 아니하면 첩실을 두게 될 수로다.
세상에 공명이 없으며 가난을 감수하며 살아갈 일이다.
한때의 운명을 한탄하지 마라. 끝내 자손의 영화를 보리라.

 

 

2. 난궁(蘭宮) = 자손궁(子孫宮)

  아들이 많고 적음과 살()의 유무 및 도액(度厄-처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교()의 수에 따라 아들의 많고 적음을 판단하지만 저출산 시대임을 감안하여 참고하면 된다.

  보는 법은 생년의 지지(地支: )와 생월(生月)로써 찾는다.

 

1
(一橋)
봄이 정원으로 돌아오니 꽃에 한 열매가 맺었다.
북두성에 정성을 베풀면 세 아들을 얻을 수 있으리라.
여러 살이 문에 비치니 액을 면할 기도를 하면 좋다.
난초를 거친 땅에 심었으니 가지와 잎이 무성하기 어렵다.
2
(二橋)
찬 골에 햇볕이 비추니 늦게 두 아들을 얻는다.
지성으로 기도를 드리면 한 아들이 과거에 오른다.
자궁이 순조롭고 평탄하니 효성과 우애가 사람에 지나친다.
음과 양이 조화를 이루니 집안이 무사 안일하다.
3
(三橋)
보배나무에 세 가지 돋았으나 먼저 난 것 기르기 어렵도다.
천구살이 해를 일으키니 액을 북두성에 빌어라.
많은 광풍을 거쳤으니 끝내 안정함을 얻는다.
가문 땅에 비가 내리니 풀과 나무가 스스로 푸르더라.
4
(四橋)
봄이 난궁에 깊으니 네 가지가 떨기로 나더라.
한 하늘 밑에 땅이 둘이니 이복 형제의 수가 있다.
외로운 귀신이 뜰에 범하니 살을 풀어 주면 액을 면한다.
한번 단비가 흠족히 내리니 백화가 서로 다투어 핀다.
5
(五橋)
낳아도 많이 잃을 수이라. 세 가지가 함께 자란다.
반드시 지나친 욕심을 버리라. 적은 것이 내실을 더한다.
칠성에 정성이 부족하면 이른 아들을 기르기 어렵다.
길한 별이 명에 비추면 부귀 다남의 복을 누리리라.
6
(六橋)
혹 두서넛을 두었으나 일찍 죽는 액운이 두렵다.
개고기를 먹지 말 것이며 부처님 앞에 정성을 베풀어라.
바람이 나무 가지에 부니 그 열매가 흔들려 떨어진다.
평생토록 덕을 심어라. 가지마다 열매가 맺는다.
7
(七橋)
보배나무 세 가지이나 꽃은 두 떨기로 피었다.
천구가 와서 침범하니 일찍이 다스려 막도록 하여라.
부처님 앞에 정성을 바치면 가히 자손을 보존할 수 있다.
길한 별이 문에 비치면 복록이 몸에 따르리라.
8
(八橋)
난궁에 찬눈이 내렸으니 자식이 없을까 두렵다.
많은 자식을 구하지 마라. 도리어 슬픈 눈물이 된다.
신령이나 혹은 부처님 앞에 지성으로 액면하기를 빌어라.
늦게 두 아들을 얻으면 한 자식은 영귀하게 되리라.
9
(九橋)
비록 생산은 많이 하였으되 일찍 꺾일 것이 두렵도다.
난초를 돌 위에 심었으니 가지와 잎이 무성하기 어렵다.
천구가 해로움을 만드니 액을 빌어 미리 막아라.
지극한 정성이 하늘에 이르면 근근히 한두 자식을 보존하리라.
10
(十橋)
난궁이 길하지 않으니 많이 낳아도 실속은 없다.
개고기 먹기를 삼가고 부처님께 정성을 바치어라.
성난 파도와 험한 산길에 앞길이 아득하기만 하다.
길한 별이 문에 비추면 무성한 나무들로 뜰에 찬다.
11교
(十一橋)
콩을 돌밭에 심은 격이니 많이 낳고 많이 실패한다.
명산에 기도를 하면 끝내 한두 아들을 얻는다.
중년 이후부터는 가업이 점점 일어나게 된다.
평생 동안 덕을 쌓으면 크게 성공할 수 있으리라.
12
(十二橋)
화한 봄이 난궁에 드니 다섯 아들을 함께 둔다.
눈 앞에 줄을 이루었으니 슬하에 경사가 있을 것이다.
많음이 도리어 적을 수 있으니 극진히 정성을 다하여라.
한 아들이 영귀하게 되어 몸이 높은 벼슬에 있다.

 

3. 안궁(鴈宮) = 형제궁(兄弟宮)

  형제의 많고 적음과 서로 사이의 우애, 이별수 및 일생 동안의 생활 전정(前程)을 본다.

  생월(生月)과 생시(生時)로 찾는다.

 

포성
(胞星)
달 밝은 서쪽 하늘에 세 기러기가 각기 날고 있다.
물이 푸르고 모랫벌 평평한데 어찌하여 외로이 나르는고.
육친에 덕이 없으니 스스로의 힘으로 가업을 이끈다.
길성이 와서 비춰 주면 함께 날면서 같이 번영한다.
태성
(胎星)
밤달은 하늘에 가득한데 두 기러기가 각기 날고 있다.
혹 형제가 많다면 배 다른 형제의 수이다.
서로 뜻이 합하지 않으니 화목을 이루기 어렵다.
형제간에 도움을 구하지 마라. 도리어 반목할까 두렵다.
양성
(養星)
물은 푸르고 모래는 맑은데 세 기러기가 함께 내린다.
만약 여동기가 많으면 외아들을 면하기 어렵다.
뜻이 서로 일치하니 형과 동생이 우애 있고 공경한다.
옛 살던 터는 인연이 없으니 고향을 떠나면 크게 길하다.
생성
(生星)
산 그림자 가을 호수에 비쳤는데 기러기 삼사 마리 물 위에 떴다.
한 하늘에 땅이 둘이니 이복 형제임을 알 수 있다.
문득 풍랑을 만나게 되니 한 때 각기 날아간다.
하늘 높고 달이 밝으니 앞길이 순탄할 것이다.
욕성
(浴星)
비 뿌리는 봉 머리에 두 기러기 날아 돈다.
안개가 강산을 덮었으니 도무지 앉을 곳이 없다.
옛 땅은 이롭지 못하니 고향을 떠나면 길함이 있다.
만리의 허공을 날았더니 늦게 가서 화평함을 얻는다.
대성
(帶星)
가을 강에 달이 잠겼는데 세 기러기가 하늘을 난다.
평지에서 회오리바람이 부니 한때 각기 따로 날아간다.
고독함을 탄식하지 마라. 화한 기운이 점점 일어난다.
혹 성공하며 혹 실패하나 말년이 되어 태평하리라.
관성
(冠星)
처음에는 두서넛이 날았으나 한 기러기가 열에서 떨어진다.
높이 찬 공중을 나르니 자주 성공과 실패를 본다.
몸은 멀리 떨어져 있으나 서로의 우애는 변함이 없다.
나무를 태산에 심었으니 적은 것이 쌓여 크게 이룬다.
왕성
(旺星)
백리의 평평한 모랫벌에 네 기러기 날아 내린다.
달은 밝고 바람이 화하니 형은 우애롭고 동생도 화목하다.
만약 여동기가 많이 있으면 두 기러기가 함께 날리라.
재물로써 서로 다투면 각기 사처로 나누어질 것이다.
쇠성
(衰星)
눈 내리는 어스럼 달밤에 두 기러기 더디 날고 있다.
일찍이 부모를 이별하니 천지에 의지할 곳이 없다.
각기 동서로 날아 헤어지니 멀리 강과 산으로 격해 있다.
조달하여 재물을 모을지라도 화류의 춘성에서 탕진한다.
병성
(病星)
두 기러기 함께 날고 있으나 뜻은 서로 달라 동상이몽이다.
비록 우애가 있다 해도 눈물을 머금고 서로 이별한다.
부디 고입을 버리도록 하여라. 이로움이 그 가운데 있다.
가시밭길 전전하다가 만년(晩年)에야 평안함을 얻는다.
사성
(死星)
한 기러기 홀로 날지만 이복이면 삼형제가 된다.
혹 형제가 있을지라도 각기 만리나 멀리 나른다.
육친에게는 덕이 없고 믿는 자가 도리어 해를 끼친다.
샘을 파서 물을 마시니 노력으로써 성공할 것이다.
장성
(葬星)
두 기러기가 하늘을 날지만 나온 곳은 서로 같지 않다.
부모의 은덕을 받지 못하니 초년의 고생이 막심하도다.
형제간의 덕을 바랄 수 없고 믿는 도끼에 발을 찍힌다.
크게 성공함을 구하지 마라. 늦게 가서 조그만 이득을 얻는다.
반응형
:

당사주⑥ - 과갑론(科甲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27. 22:22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벼슬할 운이 있는지 찾는다. 옛날에는 벼슬이 직업 중 최고로 보았지만 요즘은 그렇지 않으니 벼슬 운이 없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생년의 지지(地支:)와 생시(生時)로 찾는다. 표에 없으면 해당 없다.

  다만, 심항성과 허진우성이 두 개씩 있어, 편집된 순서가 맞을 듯하여 ①②로 구분하였다.

생년(生年)() 생시(生時) 과갑성(科甲星)
()
()
(토끼)
()
() 03:30~05:30 심항(心亢)
() 09:30~11:30 귀묘(鬼昴)
() 15:30~17:30 우진허(牛軫虛)
() 21:30~23:30 누방(婁房)
(호랑이)
(원숭이)
()
(돼지)
() 01:30~03:30 심진루(心軫婁)
() 07:30~09:30 허진우(虛軫牛)
() 13:30~15:30 묘귀허심(昴鬼虛心)
() 19:30~21:30 묘귀누진허(昴鬼婁軫虛)
()
()
()
()
() 23:30~01:30 허진우(虛軫牛)
() 05:30~07:30 심항(心亢)
() 11:30~13:30 묘루허(昴婁虛)
() 17:30~19:30 누진심(婁軫心)
심항성①
(心亢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이른 시절에 과거에 오른다.
재주와 지혜가 총명하여 학문을 크게 이룰 것이다.
몸이 높은 벼슬에 있고 만인을 거느려 이끈다.
목성의 벼슬운을 타고 났으니 이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귀묘성
(鬼昴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일찍이 관문에 오르리라.
벼슬길이 평탄하지 않음에 성공과 실패가 한결같지 않다.
영예와 욕됨이 겹쳐 오나 마침내 현달함을 이룬다.
화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우진허성
(牛軫虛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이름을 금방에 걸 것이다.
공익에 힘쓰고 사를 뒤로하니 어질다는 칭송이 널리 떨친다.
여러 대륙을 편력하면서 국위를 만방에 드러낸다.
금성의 벼슬운을 타고 났으니 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누방성
(婁房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머리에 어사화를 꽂는다.
초년에 고난이 있으나 중년에서부터 관운이 열린다.
기술이 남보다 뛰어났으니 이것으로써 영화를 얻는다.
수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이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심진루성
(心軫婁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장원으로 과거에 오르리라.
충성으로 나라에 보답하고 많은 덕으로 백성을 다스린다.
건설을 관장하는 관리가 되면 큰 역사가 순조롭게 이뤄진다.
토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사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허진우성
(虛軫牛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소시에 급제할 것이다.
세무관으로 현달할 것이고 정계에 나가면 치적이 많다.
장수로 출세하면 영화가 끝이 없으리라.
토성의 벼슬운을 타고 났으니 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묘귀허심성
(昴鬼虛心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이른 때에 벼슬 길에 나간다.
지모가 남보다 뛰어났고 덕으로써 백성을 감화시킨다.
소진·장의의 수완을 앞서니 외교로써 나라의 위엄을 떨친다.
토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묘귀루진허성
(昴鬼婁軫虛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일찍이 용문에 오른다.
농림의 관직으로 벼슬을 하면 순탄하게 승진할 것이다.
공무를 성실하게 수행하니 세상 사람이 칭송한다.
토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이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허진우성②
(虛軫牛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머리에 어사화를 꽂는다.
공익에 지성하고 사익을 버리니 세상이 청백리라 일컫는다.
문교나 공보의 관직에 있으면 다스런 업적이 천추에 미친다.
수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심항성
(心亢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몸이 벼슬 자리에 있다.
사람됨이 맑고 빼어나며 학문이 넓고 아는 것이 많다.
법을 다스리는 관직에 있으면 벼슬길이 순조롭고 탄탄하다.
목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묘루허성
(昴婁虛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장원으로 급제할 것이다.
문과 무를 함께 갖추었으니 나가면 장수요 들면 재상이다.
복록은 집에 가득 차고 권위는 세상에 떨친다.
화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일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누진심성
(婁軫心星)
과거별이 운명에 비쳤으니 벼슬한 자의 명부에 오르리라.
재주와 지혜가 범상치 않고 일을 처리함에 절도가 있다.
보건·사회의 일을 관장하면 많은 사람을 구제해 도우리라.
금성의 벼슬운을 타고났으니 이품의 작위를 얻으리라.

 

반응형
:

당사주⑤ - 직업론(職業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26. 21:2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자신에게 맞는 직업과 직종을 알아본다.

생년의 천간과 생월로 찾는다. 두 개씩 짝 지어져 있다.

 

인관
(印官)
청운의 뜻을 얻어 어려서 벼슬길에 나간다.
소인이면 낮은 관리가 되고 비범하면 재상에 오른다.
자손에게 경사가 있고 화한 기운이 집에 가득하다.
만약 흉성이 비추게 되면 중도에서 꺾임을 면치 못한다.
농업
(農業)
전장을 넓게 마련하고 봄에 갈아 가을에 거둔다.
노적을 앞뒤에 쌓으니 생애가 스스로 넉넉하다.
위를 받들고 아래를 보살피니 하늘과 신령이 함께 돕는다.
만약 흉성이 비추게 되면 장님이나 벙어리 될까 두렵다.
도재
(屠宰)
손에 짐승 잡는 도끼를 잡고 날로 소와 양을 잡는다.
비록 천한 업이라 하지만 입고 먹는 것이 넉넉하다.
대인이 이 운을 만나면 이름을 사해에 떨칠 것이다.
길성이 함께 비추면 영화·부귀가 견줄 데 없다.
어상
(魚商)
수산물로 장사를 하니 고객이 마당에 가득하다.
밤낮으로 성시를 이루니 상자에 천금을 간수한다.
적은 것이 쌓여 큰 것이 되니 날로 살림이 불어난다.
만약 길성이 비추게 되면 만인을 거느려 인도하리라.
서예
(書藝)
손재간이 남보다 뛰어나고 총명한 재주가 출중하다.
만약 서화가가 아니라면 도안·설계의 직업이 알맞다.
혹시 의약업을 행하면 일생을 편하게 지낼 것이다.
돈을 물같이 써 버리니 큰 부자를 바라기는 어렵다.
백공
(百工)
손재간이 교묘하니 기술로써 성공할 것이다.
재주가 있으나 복이 적으니 마음이 괴롭고 몸이 피로하다.
너무 빨리 이루려고 하지 마라. 꽃이 필 날은 따로 있다.
정밀한 세공에 종사하면 입고 먹는 것이 자족하다.
야금
(冶金)
일생에 알맞은 직업은 쇠를 녹여 그릇 만드는 일이다.
옛 터는 인연이 없으니 타관에 이사함이 유리하다.
기술과 재주로 크게 이루니 명성이 널리 퍼뜨려진다.
초년에는 고달픔이 많지만 늦게 가서 부자가 된다.
목공
(木工)
만약 쇠다루는 일이 아니면 목공업으로 재물을 이룬다.
손재주가 사람에 뛰어나니 여러 사람에게 칭찬을 받는다.
중간에 실패함을 한하지 마라. 바람이 그치면 파도도 쉰다.
적은 것이 쌓여 큰 것이 되니 마침내 풍족함을 얻는다.
잡화
(雜貨)
온갖 물건을 사고 파니 오는 손님으로 마당이 가득하다.
날로 천금이 들어오니 몸이 살찌고 집이 늘어난다.
초년에는 고달픔이 많으나 중년 이후로 저절로 이룬다.
길성이 아울러 비춰 주면 관록을 얻을 수 있다.
도공
(陶工)
진흙으로 그릇을 빚어 널리 사처에 판다.
일에 임하여 정성을 다하니 식록이 늘 넉넉하다.
손재주가 뛰어나게 교묘하니 세상 사람이 모두 칭찬한다.
중년 이후로 점점 일어나니 말년에는 태평하게 산다.
주관
(酒舘)
술장사나 숙박업을 경영하니 찾는 손님이 방에 찬다.
옛 살던 곳에서 살림을 파하고 타향에 옮겨서 산다.
중년에서부터 운수가 트이니 재화가 점점 더하여진다.
돈 쓰기를 물 같이 하니 세상 사람이 호걸이라 일컫는다.
운수
(運輸)
이곳저곳을 왕복하며 운수사업을 업으로 한다.
일찍 부모를 여의게 되니 초년의 고달픔이 아주 심하다.
바쁜 생활로 여가가 없으니 마음과 몸이 늘 괴롭다.
중년에 운수가 돌아오니 입고 먹는 것이 풍족하다.
연예
(演藝)
만약 관직에 있지 않으면 봄 성에서 재미있게 노리라.
거문고 뜯고 노래하며 춤추니 뭇사람들이 매혹하더라.
연예의 일을 업으로 하면 명성이 널리 퍼지게 된다.
하는 일 없이 허송세월하면 겉만 화려하고 실속이 없다.
방랑
(放浪)
두루 강산을 돌아다니며 동에서 밥먹고 서에서 잔다.
인정없는 천지간에서 근근히 옷과 밥을 구한다.
초년의 고달픔을 한탄 말라. 후분은 편안히 지낼 것이다.
언론계에 종사하게 되면 이르는 곳마다 명망이 높다.
의복
(醫卜)
의술과 점술이 신통하니 널리 창생을 구제한다.
사람됨이 맑고 준수하며 재주와 예능이 출중하다.
명성이 세상에 자자하니 묻는 사람으로 줄을 잇는다.
만약 의술·점술이 아니면 농업과 축산이 유리하다.
수렵
(獸獵)
총 쏘는 한 소리에 새와 짐승이 모두 놀란다.
동서로 늘 분주하니 마음이 번거롭고 몸이 고달프다.
함부로 살생을 하니 내게 슬픈 운수가 두렵다.
대인이 이러한 운수라면 일만 군사를 통솔하리라.
도승
(道僧)
구름 깊은 그윽한 곳에 홀로 앉아 경전을 읽는다.
세상일에서 멀리 떨어져 평생을 스스로 만족하도다.
만약 이 길에 살지 아니하면 도리어 찬 땅에 떨어진다.
길성이 함께 비추어 주면 이름이 천추만대 떨치리라.
무역
(貿易)
온갖 물건을 가득 싣고 사해에 교역을 할 것이다.
금을 돌같이 쓰면서 객지의 괴로움을 스스로 달랜다.
재물을 다섯 대륙에서 모으고 이름을 만방에 떨친다.
만약 그렇지 아니하다면 목축업이 유리하리라.
재봉
(裁縫)
포목을 사고 팔거나 혹은 바느질을 하리라.
일이 번거롭고 몸이 괴롭지만 식록이 그 가운데 있다.
기술과 재주가 정교하니 노력하면 결실이 있다.
작은 것이 쌓여 크게 이루니 늦게 가서는 생활이 순탄하다.
교사
(敎師)
도가 높고 학문이 깊으니 모이는 제자가 크게 성하다.
덕으로써 가르쳐 사람을 기르니 훌륭한 인재가 계속 나온다.
사람됨이 맑고 순박하니 가난한 중에서도 도를 즐긴다.
길성이 아울러 비추면 백세토록 숭앙을 받는다.
곡상
(穀商)
오옥을 창고에 가득 쌓고 사해에 교역을 하리라.
고객이 구름처럼 모이니 천금이 떨어지지 않는다.
가난을 구해 사람을 살리니 만인이 청송 치하하더라.
만약 이 업이 아니면 농사를 경영하여 이익을 얻는다.
무협
(武俠)
일찍이 검술을 시작하여 피나는 노력으로 결실을 본다.
무예가 남보다 뛰어나 손에 군사의 권한을 잡는다.
한 소리 큰 호령은 그 위엄이 만리에 떨친다.
이르는 곳마다 공이 있으니 세상 사람이 우러러 본다.
토목
(土木)
솜씨가 남보다 비범하여 나무와 돌을 잘 다루리라.
비석 돌을 쪼아 갈기도 하고 큰 집을 능히 세우기도 한다.
평생 한 여러 일은 온갖 고생을 다 겪는다.
운수가 돌아와 재물이 일어나니 남은 생을 편히 지낸다.
어업
(漁業)
공명을 구하지 아니하고 한가로이 앉아 낚시를 드리운다.
한 조각 외로운 배를 타고 고기떼를 쫓고 있다.
지금의 무료함을 한하지 마라. 후분에는 공이 있으리라.
힘써 수산업을 경영하면 큰 부자가 될 수 있다.

 

반응형
:
반응형

사람의 골격을 열두 짐승에 비유하여 성품, 건강, 일생 동안의 운세 또는 연중의 길흉화복을 알아본다.

자신의 띠(生年 地支)와 태어난 월(生月)에 따라 아래 표에서 그 해당란의 해설을 보면 된다. (예를 들면 토끼띠로 6월에 태어났다면 호골(虎骨)의 해당하고 그 해설을 보면 된다.)

 

서골(鼠骨)
-
자궁(滋宮)
일을 일으킴이 기발하지만 행동이 가볍고 성품이 급하다.
꾀를 씀이 기묘하나 중도에 꺾임을 면하기 어렵다.
모든 일에 근본과 끝이 있으니 처세를 신중하게 하여라.
만약 가을 동산에 들게 되면 입고 먹는 것이 자족할 것이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寅·卯·辰년은 재난이 두렵다.
십 사오 세에는 어려운 일이 자연히 해소된다.
십 칠팔 세에는 문전에 경사스런 일이 있다.
이십 육칠 세에도 좋은 일이 집에 이른다.
이십 팔구에는 형사상의 액운이 두렵다.
삼십 세 초년이 되면 소원을 이룰 수 있다.
삼십 칠팔 세에는 재물의 운이 있다.
사십 칠팔 세에는 이사할 운이 있다.
오십 세 후반 후로는 만사가 뜻과 같다.
우골(牛骨)
-
결궁(結宮)
겉보기로 어리석고 둔하나 마음과 뜻은 굳고 성실하다.
모든 일에 부지런하고 성실하니 스스로의 힘으로 일을 이룬다.
널리 은의를 베풀지만 세인이 드러내어 기리지 않는다.
아껴 써서 집을 다스리니 작은 것을 쌓아 크게 이룬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해 亥·子·丑년의 삼재 팔난을 조심하라.
십 칠팔 세에는 봄바람이 문에 이른다.
이십 중반에 벌과 나비가 꽃을 희롱한다.
이십 팔구에는 뜻을 얻어 양양하게 활동한다.
만약 영예를 이루지 못하면 도리어 흉조로 되리라.
사십 초반에는 영광이 아니면 재화를 당할까 두렵다.
사십 팔구세에는 외인을 조심해야 한다.
오십 초기에는 좋은 일이 문에 이른다.
공이 없음을 한하지 마라, 중년 후로는 형통하리라.
호골(虎骨)
-
연궁(演宮)
용모가 위엄스럽고 강대하며 성격이 매우 강인하다.
다른 세력에 굽힐 줄 모르고 휘하에 만인을 거느린다.
골육 사이에 공덕이 없고 산전수전 수란도 겪는다.
관록이 현달하여 지위가 높지만 주색을 늘 조심할 일이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申·酉·戌년의 재앙을 조심하라.
십대 말기부터 이십 세 사이에는 고목에 화풍이 분다.
이십 삼사 세에는 부부 사이에 좋은 일이 있다.
이십 대 말년에는 기쁜 일이 아니면 근심이 있다.
삼십 세 초기에는 집에 머무는 것이 가장 좋다.
삼십 칠팔 세에는 널리 이름을 떨친다.
삼십대 운세는 목마른 말이 물을 얻는다.
사십 후반에서 오십 초반에는 슬하에 경사가 있다.
오십대 말년에는 성공과 실패가 잦다.
토골(兎骨)
-
풍궁(豊宮)
사람됨이 명민하지만 생각하는 것이 경박하다.
선대 세업을 물려받지 못했으니 늘 동분서주로 바쁘기만 하다.
초년에는 액운이 많으니 일을 일으킴에 조심해야 한다.
삼십 세 말기부터는 점점 아름다운 경지에 들 것이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巳·午·未년은 재액을 조심하라.
십세 후반에는 봄 동산에 백화가 핀다.
이십 세 초기에는 노력으로 재물을 얻는다.
그렇지 않으면 부모에 대한 슬픔이나 근심이 있다.
이십 세 말기에는 하는 일이 성취된다.
삼십 세 이후로는 영화를 볼 수 있다.
사십 세 초기에는 재운이 몸에 따른다.
오십 세 이후에는 천금을 손에 잡는다.
육십 세 때는 횡액수를 조심해야 한다.
용골(龍骨)
-
분궁(奮宮)
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었으니 지혜와 재주가 총명하다.
어릴 적에 부지런히 배우면 이름이 금방에 붙을 것이다.
비록 선대의 세업은 없지만 스스로의 힘으로 집을 일으킨다.
만약 관직에 종사하지 않으면 수산업으로 재물을 이루리라.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寅·卯·辰년은 삼재팔난이 두렵다.
심 삽사 세에는 신상에 경사가 있다.
이십 세 초기에는 복숭아, 오얏나무가 봄을 맞는다.
이십 삼사 세에는 귀한 사람이 나를 돕는다.
삼십 이삼 세에는 신수가 불우하다.
삼십 육칠 세에는 운세가 형통하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상복을 입을까 두렵다.
사십대 동안에는 운수가 점점 트인다.
오십 세 초년에는 고기가 큰 물에 들게 된다.
사골(蛇骨)
-
지궁(止宮)
성품이 음하고 간사스럽고 속은 깊어도 겉으로는 너그럽다.
남의 일에 간섭하려 하지 말라. 구설이 가히 두렵다.
장사일에 부지런히 일하면 적은 것을 쌓아 크게 이루리라.
물가에서 생업을 마련하면 손으로 천금을 희롱할 것이다.
巳의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子·丑년의 재난을 조심하라.
십 세 초반에 부모에의 근심이 두렵다.
이십 삼사 세에는 찬 골에 화한 바람이 분다.
이십 세 중년에는 재운이 몸에 따른다.
삼십 세 중반에는 하는 일이 성공된다.
사십 세 초기에는 영화를 만날 수 있다.
이 때 좋은 일이 없으면 도리어 손실이 있다.
사십 세 말기에는 뜰에 가득히 노적을 쌓는다.
오십 이후부터 풍족하고 영귀하게 산다.
마골(馬骨)
-
합궁(合宮)
성품이 불같이 급하지만 사람을 대함이 인정을 나눈다.
팔로로 두루 돌아다님에 몸과 마음이 늘 피로하다.
동분서주 바쁘게 다니는 중에 한 때 횡재수를 얻을 것이다.
만약 관직에 종사하지 않으면 장사를 함으로써 치부한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酉·戌년은 재난을 조심하라.
십세 말기에 꽃당산이 봄을 만난다.
이십 세 초년에는 길하고 흉함이 잦다.
이십 세 중년에는 여가없이 분주하다.
이십 세 말년에는 영화가 있거나 횡재를 한다.
삼십 세 중년에는 동에서 패하고 서에서 상한다.
사십 세 전후에는 하는 일이 순조롭게 이뤄진다.
사십 삼사 세에는 재운이 문에 이른다.
말년의 운수는 안과 태평할 것이다.
양골(羊骨)
-
노궁(老宮)
외모는 부드럽고 순하나 천성이 경망스럽다.
여가 없이 분주히 달리지만 헛되이 세월을 보낸다.
만약 조실 부모하지 않으면 타향으로 헤어져 살 것이다.
모은 재물이 구름처럼 흩어지니 애써 세운 일이 안타깝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午·未년의 재난에 조심하라.
십세 말년에는 마른 나무가 봄을 맞는다.
우물의 고기가 바다로 뛰고 조롱의 새가 하늘로 난다.
이십 육칠 세에는 방초에서 꽃이 핀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도리어 흉화로 변한다.
삼십대 초년에는 재운이 형통할 것이다.
삼십 후반에는 천금을 곳간에 감춘다.
사십 삼사 세에는 푸른 하늘로 웅비한다.
오십 세 중년에는 하는 일이 순조롭다.  
후골(猴骨)
-
완궁(緩宮)
재주 있고 기품이 호협하여 널리 세상 사람을 사귄다.
초년의 운수는 성공과 실패가 자주 거듭된다.
스스로의 힘으로 재물을 모아 남을 위하여 베풀어 준다.
공직에 종사하게 되면 출세하여 이름을 떨치리라.
申의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寅·卯·辰년의 재액을 조심하라.
십 세 전 소시에 집안에 우환이 있을 것이다.
십 삼사세에 초상의 액운이 두렵도다.
십 육칠 세에는 그윽한 골짜기에 봄이 돌아온다.
이십 세 전후에는 금방에 이름을 건다.
삼십 세 초반에는 큰길을 활보한다.
삼십 칠팔 세에는 세상 사람이 부러워한다.
사십 세 전후에는 모든 일이 크게 통한다.
오십 대 초년에는 하는 일이 순조롭다.
계골(鷄骨)
-
수궁(隨宮)
성품이 충직 후덕하고 의로로써 사람을 사귄다.
초년의 운은 불길하여 나무에서 고기 구하는 형상이다.
뜻이 높으나 욕심이 적으니 큰일을 벌이지 말라.
만약 학문을 아니하였다면 농업, 축산이 알맞은 업이다.
酉의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子·丑년의 재난을 조심하라.
십 세전 어릴 때 병고가 두렵다.
십 세 초반에 가세가 도산의 지경에 이른다.
십세 말기 또 이십세 말기에 횡액을 조심하라.
이십 사오세에는 반드시 경사가 있다.
삼십세 중반에 목마른 말이 물가에 이른다.
사십 삼사 세에는 영화 아니면 액운이 따른다.
주작이 문에 이르니 구설수를 면키 어렵다.
오십대 초반에는 금옥이 집에 가득 찬다.
구골(狗骨)
-
연궁(煉宮)
성품이 어리석어 마음이 편하니 순종의 덕이 이익을 얻는다.
초년의 손실과 실패는 스스로 만들어 얻은 것이다.
선대의 세업을 모두 없애고 남에게 의탁해 생업을 꾸린다.
옛 한을 되돌아 보지마라. 깊은 골짜기에 화한 바람이 분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酉·戌년에 재난을 조심하라.
십세 전후에 가산이 바람에 날리듯 하다.
이십 세 초반에는 일신이 안락하다.
삼십대 초반에는 좋은 운수가 되살아난다.
삼십대 말부터 사십대는 티끌모아 태산의 격이다.
오십대 초반에는 손으로 금은을 희롱한다.
만약 그렇지 못하면 슬하에 근심이 있다.
오십대 중반에는 반드시 경사가 많으리라.
말년의 운세는 하는 일 없이 편안하다.
저골(猪骨)
-
실궁(實宮)
마음을 남모르는 곳에 숨겨두고 의심이 많아 시비가 잦다.
남과 덥줄어 일을 같이 하면 중도에 꺾임을 면하기 어렵다.
육친에 덕은 없지만 변통하여 활로를 찾는다.
광업, 상업, 창고업이나 군인, 관리 등이 격에 맞다.

유년행운
일생을 통하여 ·午·未년은 재난을 조심하라.
십세 중반에는 동원에 꽃이 핀다.
이십세 중반에는 금슬을 즐기고 자손을 얻는다.
두 어머니가 아니면 무후한 사람의 제사를 받든다.
삼십세 중반에는 왕성하고 쇠함이 서로 엇갈린다.
액운을 면하고자 하면 모든 일에 신중해야 한다.
삼십 칠팔 세에는 그늘진 땅에 볕이 비친다.
사십 중반 후에는 하는 일이 대통한다.
오십 이후에는 임천(林泉)에서 조용히 지낸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