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을 처음 배우면 제일 곤란을 겪는 건 아무래도 함수다. 컴활2급 기준으로 알아야 할 함수가 대략 60개 정도가 된다. 문제는 외워야 할 함수 종류도 많지만, 괄호() 안에는 들어가는 숫자나 조건, 범위, 옵션 등 다양한 인수 사용법을 잘 몰라서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인수 사용법에 대한 팁이 없을까 고민하다가 생각해낸 방법이다.
우선 단축키 두 개만 외우고 시작하겠다.
처음 외워야 할 단축키는 [Shift] + [F3] 키다. 현재 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함수마법사를 호출하는 단축키다. 단축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함수마법사 창이 열린다.(단축키 대신 수식입력줄 옆에 있는 fx 버튼을 사용해도 되지만 마우스 사용보다는 키보드 사용하는 것이 훨씬 더 빠르다.)
![](https://blog.kakaocdn.net/dn/bn8zB2/btsMbb2UhOH/IQXi32FKrycTR5gckmi8yK/img.png)
두번째로 외워야 할 단축키는 [TAB] 키다. 보통 셀에서 등호 '=' 를 입력하고 함수명을 일부 입력하면 입력한 문자로 시작하는 함수가 나열되는데 그 중에서 원하는 함수를 골라서 [TAB]를 누르면 해당함수가 지정되고, 인수 입력준비 상태가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OxToQ/btsMaRp3UgL/mNTE7P3E6yrnpisZ2ahu6k/img.png)
①등호 '='을 입력하고 su 두자만 입력하면 ②SU로 시작하는 함수목록이 아래에 나열된다. ③원하는 함수를 선택하고 [TAB] 키를 누른 상태
단축키 두 개를 다 외웠으면 지금부터 인수에 대한 팁에 들어가도록 하겠다.
첫번째 방법이 함수마법사를 호출해서 만드는 방법이다.
함수를 호출해야 할 셀에서 [Shift] + [F3] 단축키를 사용하거나 fx 버튼을 눌러서 해당 함수를 입력한다.
음영으로 수행하려는 작업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입력한 다음 [검색]을 클릭하십시오. 라고 입력되어 있는 부분에 ①함수명 입력하고 ②검색하면 ③아래에 기능이 비슷한 함수가 나열되는데, 그 중 하나를 고르고 ④확인을 클릭하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lfct1/btsMa5hqgWy/T7AI3I6D4kAH1359mjoeI0/img.png)
음영 부분이 함수명을 입력하는 곳이다. ①SUMIF 함수를 입력 ②검색 클릭 ③아래 함수 중 SUMIF 함수를 선택 ④확인 클릭
함수 인수를 입력하는 화면(아래 화면)이 뜨는데, 입력창 오른쪽에 한글 설명이 나오긴 하지만 어떤 형식인지만 알려주기때문에 별 도움이 안된다. 그럼에도 이 방법을 알려주는 이유는 인수 입력창을 클릭해보면 이해할 것이다. 해당 인수에 대한 설명이 아래 오른쪽처럼 자세하게 나온다. 초보자에게는 매우 유용하다.
![](https://blog.kakaocdn.net/dn/2qWEX/btsMbuVqiIb/ae7o8uHnKK8FzAGTe6tFBK/img.png)
함수 인수 형식만 나와서 별 도움이 안됨 위와 같이 인수란을 클릭하면 아래에 어떤 인수가 들어가야 하는지 알려준다.
두번째 방법은 함수입력할 때 아래에 나오는 함수 팁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명칭은 나도 모른다. 풍선 도움말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엑셀 옵션에 들어가보면 함수 화면 설명 표시라고 나오기때문에 함수 설명이라는 사람도 있고, 영문의 경우 Function Screen Tip 이라고해서 스크린 팁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여기서서는 그냥 함수팁이라고 하겠다. 위 화면을 기준하면 SUMIF 함수 아래에 range, criteria, [sum_range] 라고 박스로 나오는 부분을 말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UL3Cr/btsMcsI9gNj/YWlGOINYHBjHD04RklM8H1/img.png)
그런데 이 부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영어 공부를 조금 해야 한다. 영어권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다보니 옵션이 다 영어다. 억울하지만 영어 단어 몇 개를 외워야 한다. 아래에 함수 종류별로 꼭 외워야 하는 영단어를 나열하겠다.(어려운 것 아니니깐 금방 외울 수 있다. 대신 외워두면 엑셀 사용할 때마다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1. 데이터 베이스 함수: 데이터 베이스 함수는 인수 형식이 모두 똑같다. database 데이터 베이스(영역) field 필드명(계산할 필드 - 필드명이 있는 곳을 클릭한다.) criteria 기준(조건식이 있는 곳) 2. 수학과 삼각함수 number 숫자, 인수 (num_ 형식도 많이 나옴) digits 자릿수 (num_digits 반올림(또는 반내림) 할 자릿수, 양(+)은 소숫점 이하, 음(-)은 소숫점 위 자릿수) range 범위 power 거듭제곱(승) bottom/top 바닥(작은 수)/꼭대기(큰 수) value 값 3. 통계함수 array 배열(범위) ref(=reference) 참조(범위) order 순서(오름차순, 내림차순 구분) 4. 찾기/참조 함수 lookup_value 찾을 값 lookup_arrary 찾을 범위 table_arrary 찾을 값 index_num 인덱스 번호(1부터 시작, 2, 3, ...) 5. 논리 함수 logical_test 조건식(논리 값을 가지는 함수식) value_if_true 찹일 경우 값 value_if_false 거짓일 경우 값 logical 조건문 expression 식, 공식, 표현 6. 문자열 함수 chars 문자(character 캐릭터) find_text 찾을 문자열 within_text 찾을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열 |
함수마법사나 함수 팁이나 별 차이가 없지만 컴활 실기시험처럼 사용해야할 함수명을 알려주는 경우에는 함수 팁이 조금 더 편하다. 모르는 함수라면 함수마법사가 더 편할 수도 있겠다. 두 가지 방법 중에 본인에게 편한 방법을 터득하면 되겠다.
강조하건데 가장 좋은 방법은 함수 사용법을 완벽히 알고 쓰는 것이지만, 자주 쓰지 않으면 대부분의 함수는 까먹는다. 그래서 팁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컴활 자격 취득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라며, 혹 이 방법보다 더 좋다고 생각하는 자신만의 팁이 있다면 알려주기 바래요. ^^
'자격증 취득 공부 > 컴퓨터 활용능력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활2급 필기/실기 합격 후기 (2) | 2025.02.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