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치인식
- 위치인식기술
○ 삼각측량
▷ 삼각측량 기술은 거리측정 방식과 각도측정 방식으로 구분
▷ 거리측정 방식은 여러 개의 기준점으부터 거리를 측정해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며, 각도측정 방식은 거리측정 방식과 유사하지만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있어 거리 대신 각도를 이용하는 점이 다름
○ 장면분석
▷ 장면분석 위치인식 기술은 특정지점에서 관측된 장면의 특성을 이용. 이 때 관측된 장면은 표현과 비교가 쉬운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간략화
▷ 장면 자체는 측정 가능한 물리적 현상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면의 특성을 이용하면 장면에서 관찰자나 물체의 위치 인식
○ 근접방식
▷ 물체가 알려진 위치 근처에 있을 때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로서 물리적 접촉 감지에 의한 위치 인식,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동장치가 한 개 이상의 접속점 영역에 있는지 모니터링함으로써 얻는 위치 인식, 자동식별시스템이나 식별 태그를 이용한 위치인식 등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
<삼각측량의 세부기술>
- 2차원으로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려면 동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세 점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해야 하며, 3차원 위치를 계산하려면 동일 직선상에 있지 않은 네 점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해야 함 -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은 직접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물체와 특정지점까지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와 지점간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등
- 2차원 각도 측정을 위해서는 두 개의 각도와 기준점간 거리가 필요하며, 3차원 각도 측정에서는 두 개의 각도와 기준점간 거리 뿐만 아니라 방위도 필요 |
- 위치인식시스템
○ 액티브 배지(Badge) 시스템
▷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액티브 배지의 위치를 찾아 건물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
▷ 액티브 배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
▷ 적외선 통신은 제한된 거리 내에서만 가능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들며, 창문이 있는 사무실에서 햇빛이 비치면 성능이 악화
○ 액티브 배트(Bat) 시스템
▷ 초음파 위치인식 시스템은 3차원으로 위치를 찾아내는 저전력ㆍ저비용 시스템
▷ 삼각측량법을 이용해 이동시간을 측정한 후 위치 인식
▷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기가 향하고 있는 위치나 사람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 유추
○ RFID 태깅시스템
▷ 적은 시설투자와 낮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위치인식 시스템으로 크게 RFID 태그, 리더, 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 구성
▷ 대상체에 부착된 RFID 태그에 ID를 저장하고, 이를 포인터로 이용해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부터 획득
▷ 태그에 필요한 메모리와 전력,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무선 대역폭 자원 절약
○ 레이더
▷ RADAR는 건물 내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한 RF 기반 시스템으로, 다중 수신기에서 수집된 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좌표 측정
▷ RADAR 방식을 사용하면 필요한 기지국 수가 적고, 동일한 기반시설을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위치인식 대상 물체가 광대역랜(WLAN)을 지원해야 하는 단점
▷ 따라서 크기가 작거나 전력이 제한된 장치에 RADAR를 적용하는 것은 비실용적
○ 이지리빙(EasyLiving)
▷ 이지리빙은 컴퓨터 영상 기술을 이용해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 인식
▷ 실시간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해 가정 환경에서 위치인식 능력을 제공
▷ 그러나 카메라로 찍힌 장면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프로세싱 성능이 필요한 것이 단점
○ UWB 라디오 시스템
▷ UWB 시스템은 초음파 위치인식 시스템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면서 그보다 훨씬 적은 기반시설을 요구하는 위치인식 시스템
▷ UWB는 아주 짧은 무선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므로 수㎓의 광대역 스펙트럼을 차지하는 반면, 매우 낮은 전력 밀도
▷ 정확도가 뛰어나며 기존 RF 통신기술보다 간단한 무선구조로 설계
※ 사진의 출처 : BlogForVividDreaming(http://j.mp/169bfbC)
2. 모바일 뱅킹 서비스
※ 그림의 출처 : allaboutapp(http://j.mp/169ahMl)
○ 은행업무
▷ Chip에 내장된 고객 정보로 무선 인터넷 접속시간을 최소화하여 빠르고 경제적으로 모바일 뱅킹을 이용 가능
▷ 예금과 대출금을 조회하고 이체, 납입할 수 있고, 정액 및 일반 자기앞수표의 정상 여부를 확인
▷ OCR 표기 고지서만 납부가 가능하며, 최근거래부터 최대 50건까지의 이체확인 조회 가능
○ 신용카드 기능
▷ 기존 모바일결제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부가적인 통신료가 부과되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자체에 부착된 적외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으므로 사용에 따른 부가적인 통신요금이 없음
▷ Chip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를 휴대폰과 가맹점 카드결제 단말기에 부착된 적외선 단자를 통하여 교환, 플라스틱 형태의 카드 없이 결제 가능
○ CD/ATM 거래
▷ 현금카드나 직불카드 대신 휴대폰의 적외선 창을 자동화기기의 적외선 센서에 조준하고 사이드키를 누르면 Chip에 저장되어 있는 입출금계좌(CD/ATM주계좌)정보가 자동화기기에 전달
○ 교통카드
▷ 휴대폰을 지하철이나 버스 패스 단말기에 휴대폰 후면 방향으로 대기만 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지불
▷ 후불 교통카드 이용대금은 후불제(휴대폰 이용요금에 포함되어 청구) 또는 선불제(Chip에 교통요금 충전) 등의 방식 이용 가능
○ Chip 정보 설정
▷ Pin 번호 변경, 주계좌/카드설정 등 스마트 Chip 관련 정보를 간편하게 휴대폰에서 관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