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1 Pag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16 00:00

 
 
반응형

1. 위치인식

  • 위치인식기술

○ 삼각측량

▷ 삼각측량 기술은 거리측정 방식과 각도측정 방식으로 구분

▷ 거리측정 방식은 여러 개의 기준점으부터 거리를 측정해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며, 각도측정 방식은 거리측정 방식과 유사하지만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는데 있어 거리 대신 각도를 이용하는 점이 다름


○ 장면분석

▷ 장면분석 위치인식 기술은 특정지점에서 관측된 장면의 특성을 이용. 이 때 관측된 장면은 표현과 비교가 쉬운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간략화

▷ 장면 자체는 측정 가능한 물리적 현상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면의 특성을 이용하면 장면에서 관찰자나 물체의 위치 인식


○ 근접방식

▷ 물체가 알려진 위치 근처에 있을 때 위치를 인식하는 기술로서 물리적 접촉 감지에 의한 위치 인식,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동장치가 한 개 이상의 접속점 영역에 있는지 모니터링함으로써 얻는 위치 인식, 자동식별시스템이나 식별 태그를 이용한 위치인식 등 세 가지 방식으로 분류


<삼각측량의 세부기술>
  • 거리 측정 방식

- 2차원으로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려면 동일직선상에 있지 않은 세 점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해야 하며,  3차원 위치를 계산하려면 동일 직선상에 있지 않은 네 점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해야 함

-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방식은 직접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물체와 특정지점까지 정해진 속도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물체와 지점간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감소하는 원리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방식 등

  • 각도 측정 방식

- 2차원 각도 측정을 위해서는 두 개의 각도와 기준점간 거리가 필요하며, 3차원 각도 측정에서는 두 개의 각도와 기준점간 거리 뿐만 아니라 방위도 필요


  • 위치인식시스템

○ 액티브 배지(Badge) 시스템

▷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액티브 배지의 위치를 찾아 건물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

 액티브 배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고 있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

 적외선 통신은 제한된 거리 내에서만 가능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들며, 창문이 있는 사무실에서 햇빛이 비치면 성능이 악화

 액티브 배트(Bat) 시스템

 초음파 위치인식 시스템은 3차원으로 위치를 찾아내는 저전력ㆍ저비용 시스템

 삼각측량법을 이용해 이동시간을 측정한 후 위치 인식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송신기가 향하고 있는 위치나 사람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정보 유추

 RFID 태깅시스템

 적은 시설투자와 낮은 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는 위치인식 시스템으로 크게 RFID 태그, 리더, 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 구성

 대상체에 부착된 RFID 태그에 ID를 저장하고, 이를 포인터로 이용해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연결된 데이터 처리시스템으로부터 획득

 태그에 필요한 메모리와 전력,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무선 대역폭 자원 절약

 레이더

 RADAR는 건물 내 사용자 위치를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한 RF 기반 시스템으로, 다중 수신기에서 수집된 신호세기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의 좌표 측정

 RADAR 방식을 사용하면 필요한 기지국 수가 적고, 동일한 기반시설을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위치인식 대상 물체가 광대역랜(WLAN)을 지원해야 하는 단점

 따라서 크기가 작거나 전력이 제한된 장치에 RADAR를 적용하는 것은 비실용적

 이지리빙(EasyLiving)

 이지리빙은 컴퓨터 영상 기술을 이용해 물체가 어디에 있는지 인식

 실시간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해 가정 환경에서 위치인식 능력을 제공

 그러나 카메라로 찍힌 장면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양의 프로세싱 성능이 필요한 것이 단점

○ UWB 라디오 시스템

 UWB 시스템은 초음파 위치인식 시스템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면서 그보다 훨씬 적은 기반시설을 요구하는 위치인식 시스템

 UWB는 아주 짧은 무선 펄스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므로 수㎓의 광대역 스펙트럼을 차지하는 반면, 매우 낮은 전력 밀도

 정확도가 뛰어나며 기존 RF 통신기술보다 간단한 무선구조로 설계

※ 사진의 출처 : BlogForVividDreaming(http://j.mp/169bfbC)



2. 모바일 뱅킹 서비스


※ 그림의 출처 : allaboutapp(http://j.mp/169ahMl)


○ 은행업무

▷ Chip에 내장된 고객 정보로 무선 인터넷 접속시간을 최소화하여 빠르고 경제적으로 모바일 뱅킹을 이용 가능

 예금과 대출금을 조회하고 이체, 납입할 수 있고, 정액 및 일반 자기앞수표의 정상 여부를 확인

 OCR 표기 고지서만 납부가 가능하며, 최근거래부터 최대 50건까지의 이체확인 조회 가능


  신용카드 기능

 기존 모바일결제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부가적인 통신료가 부과되었으나, 최근에는 휴대폰자체에 부착된 적외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으므로 사용에 따른 부가적인 통신요금이 없음

 Chip에 저장된 신용카드 정보를 휴대폰과 가맹점 카드결제 단말기에 부착된 적외선 단자를 통하여 교환, 플라스틱 형태의 카드 없이 결제 가능


 CD/ATM 거래

 현금카드나 직불카드 대신 휴대폰의 적외선 창을 자동화기기의 적외선 센서에 조준하고 사이드키를 누르면 Chip에 저장되어 있는 입출금계좌(CD/ATM주계좌)정보가 자동화기기에 전달


 교통카드

 휴대폰을 지하철이나 버스 패스 단말기에 휴대폰 후면 방향으로 대기만 하면 요금이 자동으로 지불

 후불 교통카드 이용대금은 후불제(휴대폰 이용요금에 포함되어 청구) 또는 선불제(Chip에 교통요금 충전) 등의 방식 이용 가능


 Chip 정보 설정

 Pin 번호 변경, 주계좌/카드설정 등 스마트 Chip 관련 정보를 간편하게 휴대폰에서 관리 가능

반응형
:
반응형

1. 유비쿼터스 자동차 네트워크 시스템


○ 유비쿼터스 자동차 네트워크 시스템이란 모든 차량, 운전자, 도로관리자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도로 이용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속 측정하여 도로관리자와 운전자에게 정보 서비스를 제공

  • 기본적인 서비스 내용

○ 운전자에 대한 서비스

▷ 시공간 정보 활용 : 고기능 내비게이션, 자동 교통위반 경고

▷ 차체 정보 활용 : 차체상태 감시경보

▷ 과금 정보 활용 : 로드 프라이싱 요금징수, 콘텐츠 요금징수

▷ 콘텐츠 정보 : 운전자의 속성에 따른 광고, 음악이나 영상 등의 콘텐츠 송신 등

▷ 긴급 시 지원 : 차량 도난 시, 사고 시 자동 지원


 도로 관리자에 대한 서비스

▷ 시공간 정보 활용 : 실시간 도로교통 상황 파악, 로드 프라이싱, 도로교통 수요 관리 및 유도, 교통위반 차량 적발

▷ 차체 정보 활용 : 차량에 의한 도로 상황 감시, 차량에 의한 날씨 계측 등

※ 그림의 출처 : LG경제연구소(http://j.mp/WNbgit)

  • 유비쿼터스만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 유비쿼터스 로드 프라이싱 시스템 : 도시 중심부 등의 특정구역으로 진입하는 자동차 이용자에 대하여 일정 금액을 과금함으로써 진입 자동차 교통량을 억제하는 교통수요 관리 방법

○ 도로주행 콘시어지 서비스 : 이용자의 상황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 정보제공 → 통지 → 제안 → 완전 자동화의 순서대로 서비스 제공

○ 자동차 메인터넌스 서비스 : 차체의 각 부품에 부착된 태그 등이 상황을 파악하여 차체 이상시에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차체 감시 경보 시스템

  • 유비쿼터스 자동차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

○ 제공자

▷ 도로관리통제센터

- 도로교통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사고 등의 긴급사태에 대응

- 도로교통 매니지먼트를 위하여 로드 프라이싱을 실시하여 과금

- 도로 교통량 등 데이터를 축적하여 도로정비의 사후 평가에 활용

- 운전자 정보를 다른 민간 사업자에게 판매하거나 제공하여 그 수입을 도로의 유지관리 및 보수에 충당하는 것도 가능

▷ 민간 콘텐츠/서비스 사업자

- 도로관리통제센터에서 운전자 정보를 취득하여 운전자의 속성, 주행장소와 시간대에 따라 도로주변 점포의 광고를 송신하거나 유로로 뉴스나 음악, 그 외의 콘텐츠를 제공

- 민간 공동으로 도로교통 관련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포탈 서비스


○ 운전자측 장비

u-UIM(유비쿼터스 개인인증 모듈)

- u-UIM 침에 면허증 정보를 탑재

- 사진은 칩에 부착하거나 지문 등 개인인증 정보를 탑재

- 개인은 기본적으로 현재의 운전면허증처럼 늘 휴대

- 차량이 u-UIM을 읽어들이지 못하면 엔진이 가동되지 않는 구조

- u-UIM은 각종 PDA 등에도 장착 가능한 모듈로 표준화

▷ 차량 장착형 디바이스

- 정보 취득 및 발신 기능 : 위치정보, 운전정보,(속도, 도로의 이상, 기계의 상태 등)

- 정보제공 기능 : 도로 상황, 위치정보, 기계의 상태, 사업자 제공정보 등

- 통신 기술 : 소프트웨어 무선기술 활용, 제3세대 휴대전화 기술을 우선적으로 고려


※ 그림의 출처 : 네이트 판(http://pann.news.nate.com/info/250601186)

  • 기대효과

○ 교통체증의 구조적 개혁

▷ 주행 중인 차량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도로별 자동차 교통량의 정확한 파악과 로드 프라이싱 등 교통수요 관리 시책이 가능

 위치추적 기술을 사용하여 각 도로의 체증 상황 정보를 기초로 하여 유료도로뿐만 아니라 일반도로까지 과금징수의 범위에 포함시킨 로드 프라이싱의 실현 가능

 각 차량의 주행상황 데이터와 도로 자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를 차량에 장착하여 도로의 노후상황이나 보수가 필요한 곳을 파악


○ 운전자에게 정보제공 등 새로운 산업 창출

 주요 자동차회사들은 자동차의 정보 장비화를 진행시키고 있고, 운전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분야에서도 치열한 경쟁 중

 이러한 정보화는 자동차 회사 뿐만 아니라 각종 콘텐츠 사업자에게도 좋은 사업기회를 제공


○ 유비쿼터스 사회의 가속화

 u-UIM이라 불리는 IC카드 안에 이용도가 높은 면허증을 기록하면 면허 갱신기간인 3~5년 이내에 국민의 대다수가 u-UIM을 소지

 이미 ID로 이용되고 있는 면허증을 갱신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저항감이 없고 이용자의 협력 유도가 용이

 면허증을 유비쿼터스 단말기의 ID정보로 집어넣으면 u-단말기의 보급을 가속화하고 유비쿼터스 사회 시스템을 보다 빨리 구축하는데 공헌

반응형
:

14. 텔레매틱스와 GPS

카테고리 없음 | 2013. 3. 24.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텔레매틱스 


○ 텔레매틱스는 무선 음성·데이터통신과 인공위성을 이용한 위치정보시스템(GPS)을 기반으로 자동차를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위치측정시스템과 무선통신망을 이용해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교통정보, 응급상황에 대한 대처, 원격차량진단, 인터넷 이용(금융거래, 뉴스, e-메일 등) 등 각종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와 운영체제로 구성됨


※ 사진의 출처 : 중앙일보경제연구소(http://j.mp/166OaGp)


○ 텔레매틱스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 에어백, 자동차 스테레오 등과 같은 전자 시스템들로부터 진보할 것이며,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정보 이용의 이동성을 강화시켜 줄 것으로 예상


○ 현재 대부분의 텔레매틱스 터미널들은 위치 파악을 위한 GPS 수신기를 통합한 형태의 셀룰러통신 기반의 시스템이며, 가장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응급구조전화 시스템


○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통신(Telecommun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의 합성어로 그 의미 그대로 기능. 즉 차량·항공·선박 등 운송장비에 내장된 컴퓨터와 무선통신기술, 위성항법장치, 인터넷에서 문자신호와 음성신호를 바꾸는 기술 등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통칭


○ 텔레매틱스 기술은 GPS와 셀룰러폰 기능을 기반으로 기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저가형 텔레매틱스 시스템인 1세대와 GPS 및 2.3/3GHz 통신 기술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탑재한 2세대를 거쳐 차량용 DSP 및 무선 기술을 추가하고 실시간 교통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하며 멀티미디어 기능과 결합한 3세대 기술로 진화중


○ 텔레매틱스 기술 자체가 여러 기술의 총체(자동차, 무선통신, 네트워킹 등)이며 관련 콘텐츠(GPS, 실시간 뉴스 제공 SP 등)와의 유기적인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니만큼 다양한 서비스 및 인터페이스(자동차, 개인 PDA, 홈네트워크) 형태로 Digital Media Street 에 이용 가능



2. GPS


○ GPS란 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약자로 범지구 위치결정 시스템을 의미


○ GPS는 미 국방성(US Department of Defense: DoD)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민간의 사용이 허가되어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의 항법뿐만 아니라, 통신 및 측량, 지진예시, 기상예보, 토목작업, 복지사업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것이 예상되며,  이미 많은 분야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필수부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음

 

  • GPS 시스템의 구성

○ GPS 우주부분 : 우주 공간을 날고 있는 GPS 위성에 대한 부분, 위성이 움직이는 길과도 같은 궤도부분, 정밀한 시각 측정시스템인 시계부분, 수신기와의 통신을 위한 신호체계로 구성


○ 지상 제어부분 : GPS 운용에 대하여 모든 책임을 짐. 이용자 입장에서 보면 제어분야의 주요 임무는 인공위성의 항법메시지의 개정. 이것을 위하여 제어분야는 모든 인공위성을 추적하고 감시하는 기관으로서 주 관제소(Master ContControl Station)와 관제소(Monitor Station), Up link 안테나(Ground Control Station)으로 구성


○ 사용자 부분 : GPS 위성에서 송출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공중·해상 및 지상을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를 총 망라하는 군사 및 민간 분야로 구성


※ 그림의 출처 : 현대엠엔소프트(http://j.mp/Yj3HDs)

  • GPS의 활용

○ 현재 GPS수신기 사용은 육상, 해상 및 항공 분야까지 다양

▷ 지상 부분 : 측량, 측지, 항행, 기준점 측량, 경계의 결정변위 모니터링 및 교통 분야 등

▷ 해상 분야 : 항행, 수로측량, 준설 및 시추 분야 등

▷ 항공 분야 : 항공기 운행, 항공사진측량 등


○ 일반적으로 GPS수신기는 실시간처리에 의한 위치, 속도 및 방향을 계산하는 장비가 후처리에 의하여 계산하는 수신기보다 비용이 더 비싸지만, GPS는 점점 더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가격은 갈수록 저렴해지고 있음

 

※ 그림의 출처 : gojump0713님 블로그(http://j.mp/Zamg9A)

  • LBS(Location Based Service)

○ 위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를 측위할 수 있는 기술


○ 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각종 서비스와 연계,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로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적용분야 등으로 상업적 잠재력이 뛰어난 서비스


※ 사진의 출처 : 미래투자전략연구소(http://j.mp/14dfSTk)


○ LBS 기술방식

 Handset based solution 

- 단말기에 GPS module (RF, BB) 내장

- Network Based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 추적 가능

- GPS 수신이 안 되는 지역(In-building, 터널)에서 적용 곤란

▷ Network Based Solution 

- 단말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이나 시간 등을 이용하여 망에서 단말위치 추정 (AOA, TOA, TDOA)

- 단말기에 별도의 GPS 수신기 없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이용 가능

- Handset-based Solution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짐

▷ Hybrid Solution 

- Hybrid 방식은 단말기에 GPS module을 내장하고 실내에서 GPS 수신이 어려울 경우, 망을 이용한 Network Based Solution 이용함.

- 수신되는 위성의 개수가 부족할 경우 Pilot CH 신호 이용


 발전 방향

▷ 트래픽 & 네비게이션 정보 : 실시간 교통 정보제공과 Car 네비게이션 기능/최단경로 및 최적경로 제공/위치기반의 물류 관제 응용 기능과 연관됨

▷ 위치 밀착형 빌링 :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차별화된 과금을 가능토록 하는 것

▷ 획일적인 과금이 아닌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별 다양한 과금이 가능

▷ 비상 구조 지원 : 응급 재난 상황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차량 사고·도난방지, 응급 구재, 범죄 예방 분야, 119, 112 시스템과 연계를 통한 자동 통지기능 등이 해당

▷ 위치 특화 정보 :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연관된 콘텐츠를 개인화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거나 단말의 현재 위치와 가장 인접한 상호 정보 검색 기능 제공/현재 위치에서의 거리 및 방향 표시 가능



※ 참고자료(다운받아서 볼 것) : DOC 문서(http://j.mp/11s6zee)

반응형
:

13. 유비쿼터스 교육학습 시스템

카테고리 없음 | 2013. 3. 23. 12:2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유비쿼터스 교육학습 시스템


○ 유비쿼터스 교육학습 시스템이란 개인과 기업, 대학, 자격증 취득 지원 학원 등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 및 각종 자격시험 검정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함


○ 유비쿼터스 교육학습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학습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학습 지원 서비스 등이 있다.


  • 유비쿼터스 교육학습 시스템 서비스

○ 학습 프로그램 제공 서비스 : 기업, 대학 및 대학원, 각종 자격취득학교, 전문학교, 문화교실, 공부방 등이 제공하는 연수, 수업, 강좌, 모의시험 등의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강의형 서비스 : 단말기의 화면상에 나오는 강사와 교재를 보면서 강의를 듣고 학습

▷ 협업 학습형 서비스 : 단말기를 통하여 파일을 공유하거나 서로 계발해 나가면서 학습

▷ 개별 지도형 서비스 : 단말기를 활용하여 강사와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의 개별지도

▷ 자습형 서비스 : 단말기로 받은 교재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면서 통신으로 첨삭 등을 제공

▷ 시험형 서비스 : 단말기로 받은 시험지를 정해진 시간 안에 풀어 각종 자격시험이나 모의시험에 응시


※ 사진의 출처 : 세종시 공식블로그(http://blog.daum.net/happycity2030/525)


○ 학습 지원 서비스 : 교사와 교육생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개개인의 진도와 실력에 맞춘 교육 환경을 제공

▷ 개인별 학습관리 서비스

- 각 수험생의 학습이력, 발전상황, 성적 등을 일원적으로 관리

- 상기 시험 등에 응시하거나 학습 프로그램의 중단 및 재개, 취약 부분의 자동적인 중점학습 가능

- 대학, 대학원 등의 학위나 취득학점 정보, 국가자격 취득 시 자격시험 정보, 직업정보 등을 축적함으로써 졸업증명서, 자격증, 이력서로 활용

▷ Q&A 서비스 : 학습 중의 다양한 질문, 답변 서비스 지원

▷ 실력관리 서비스 : 각 수강생의 실력을 진단하여 목표와의 격차나 적합한 커리큘럼을 파악

▷ 개인교사 서비스 :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 중에서 유사 프로그램의 비교, 평가나 자기 능력에 맞는 프로그램의 소개, 능력 개발에 대한 상담 등의 서비스 지원

▷ 넷커뮤니티 서비스 : 단말기를 통해 수강생과 강사를 연결하는 가상 커뮤니티 형성


  • e-Learning

○ e-Learning이란 PC와 네트워크 등 IT를 활용하여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연수 형태

▷ 강사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학습 가능

 수강생의 수준이나 이해도에 맞춘 학습 가능

 언제 어디서나 마음이 내킬 때 학습 가능

 학습의 진척도 및 성적의 실시간 파악

 동시에 많은 수강생의 학습 가능


※ 사진의 출처 : 삼성 블루오거(http://samsungblogger.com/333)

  • e-Learning의 형태

 초기의 e-Learning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교재는 주로 플로피 디스크와 CD롬으로 배포

 WBT(Web Based Training)

 인터넷 등장 이후 교재가 브라우저에 실시간으로 게시


○ 브로드밴드 환경의 e-Learning

 라이브 버추얼 교실, 버추얼 세미나

 강사와 수강자 양방이 서로 카메라를 통해 얼굴을 확인하고 마이크로 대화

 교재는 수강자에게 균일하게 게시

 강사와 수강자가 교재에 펜으로 직접 입력 가능

 실시간이므로 시간적 제약은 있으나 공간적 제약이 없고, 현장감이 있어 유망한 형태

 녹화한 후 VOD 형식으로 송신하는 방법은 시간적 제약이 없고 반복 학습 가능


○ 기업체의 e-Learning

 블랜디드 러닝(Blended-Learning) : e-Learning과 단체연수 등을 합친 형태

 교육연수 콘텐츠와 FAQ를 축적해 나감으로써 지식의 데이터베이스화를 추진하는 유력한 도구로 성장

 개개인의 기술과 노하우를 기업 전체의 지적 자산으로 공유하고 활용하는 시대로 진입

반응형
:

12. u-Campus

카테고리 없음 | 2013. 3. 22. 15:23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u-Campus 서비스


○ u-Campus 서비스는 People(사람), Place(공간), Thing(물건) 이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로 특정 사람이 특정 공간에 특정 물건에 따라 customized 서비스를 받게 됨


○ 여기서는 2004년 8월부터 실시되는 연세대학교의 u-Campus 서비스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보았음



  • u-Campus 서비스 구성도 

구분

내용

구성요소

u-Messaging

- 교수님 사무실이나 행정실의 문에 부착된 이미지센서(칼라코드)에 방문한 사람의 문자 시지나 동영상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

- People : 교수/방문객

- Place : 교수님 사무실

- Thing : 사무실 문

u-Profile

- 이미지센서(칼라코드)가 인쇄된 명함이나 ID카드를 통해 간단하게 개인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

- People : 교직원/교수/학생

- Place : 교내

- Thing : 명함/ID카드

u-Navi

- 학교 입구나 곳곳의 이정표에 부착된 이미지코드(칼라코드)를 이용한 LBS기반의 위치안내서비스

- People : 방문객

- Place : 교내

- Thing : 약도/이정표

u-Guide

- 교내 곳곳의 기념물과 전시물, 건물에 부착된 이미지코드(칼라코드)를 이용한 소개 정보 서비스

- People : 교직원/교수/학생/방문객

- Place : 교내

- Thing : 기념물/전시물/건물

u-Event

- 게시판의 이미지코드(칼라코드)를 이용한 주변 상가들의 이벤트 정보나 연극/영화 공연 정보도 보고 현장에서 바로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

- People: 교직원/교수/학생

- Place: 학생회관/글로벌라운지

- Thing: 게시판

u-Library

 도서관에 곳곳에 부착된 이미지코드(칼라코드)를 이용하여 신간 추천 정보나 대출 상황,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People: 연세인

Place: 도서관

Thing: 게시판/책장/책


○ 개인정보 서비스

▷ 개인프로필, 자기소개 

- 자신의 프로필과 소개 자료를 명함 및 게시판 등에 부착된 Tag에 링크. 

- 사용자는 확인하고 싶은 사람의 명함이나 게시판 등에 부착된 Tag를 인식하여 Tag와 관련된 사람의 프로필과 소개 자료를 확인.

▷ 인사말, 안내문 (Text, Video, Audio) : 사용자는 명함, 쿠폰, 게시판 등에 부착된 Tag를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인사말과 안내정보를 확인

- 각 사용자는 모바일을 이용하여 명함, 쿠폰, 게시판 등 사용 가능

- 모바일을 이용하여 코드 인식프로그램을 실행하면, RFID나 컬러코드를 인식하여 서버에서 개인 정보를 확인

- 서버에 연결하여 확인하고 싶은 사람의 명함이나 게시판 등에 부착된 Tag를 인식하여 Tag와 관련된 사람의 프로필과 소개 자료를 확인한 후 주소록에 저장

- 동일한 방법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인사말의 동영상을 보거나 E-Mail 전송을 실행


○ 예약 서비스

▷ 사용자는 Tag를 인식하여 상대방의 Office Hour(휴무일, 출장여부)를 확인.

 Office Hour 확인 후  방문 예약 신청.

▷ 상대방 명함의 Tag를 인식하여 방문할 곳의 위치 확인.

▷ 교수실이나 연구실의 안내판이나 명함에 부착된 태그를 모바일을 통해 인식

 연결된 태그에 의해 서머에서 방문 가능시간이나 장소를 확인하거나 방문 예약


○ 위치정보 서비스

▷ 방문지의 최적 경로 알림(GPS/GIS이용, Shortest Path 적용) : 명함, 쿠폰 등에 부착된 Tag를 이용하여 방문지의 위치를 확인하고 GPS를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위치를 추적하여 방문지에 대한 최적경로 확인

 도착예정시간 알림 (GPS/GIS이용) : 방문자의 명함 등에 부착된 Tag를 인식하여 방문자의 도착예정시간 확인

▷ Tag 기반의 위치정보 알림 : 사용자는 각 건물, 사무실 등에 부착된 Tag를 이용하여 각 위치에 대한 지리정보 및 안내정보를 제공 받음.

- 각 건물이나 사무실 등에 부착된 Tag를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인식

- 인식된 태그에 의해 지리적인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거나 정보를 제공받음


반응형
:

11. 생체인식 시스템

카테고리 없음 | 2013. 3. 21.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생체인식 시스템


○ 살아있는 사람의 신원을 생리학적 또는 행동 특징을 기반으로 인증하거나 인식하는 자동방법

○ 이 때 살아있는 사람은 동물이나 조형물 등을 제외한 한 명을 대상으로 하며, 자동방법의 구성에는 획득장치, 압축/처리/비교,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고 여러 형태로 구성이 가능

 

  • 생체인식의 기능

○ 검증 / 인증 (verification or authentication)

▷ 사용자가 신원(identity) 밝힘

 1(sample/test) : 1(template/reference) matching ? yes/no 결정이 문제

 Positive verification (예: 접근 제한)

 결정: match = accept, non-match = reject

 한 개의 신원을 여러 명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

 

○ 인식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 사용자가 신원 밝히지 않음

▷ 1(sample) : N(templates) matching ? DB 검색이 문제

▷ Positive identification (예: 여행자 통과)

▷ 결정: match = accept, non-match = reject

▷ Negative identification (예: 사회복지 중복 신청 방지)

▷ 결정 : match = reject, non-match = accept

▷ 한 명이 여러 개의 신원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

 

  • 시스템 설계 시 고려 사항

        ○ Performance (정확도, 속도, 강인성, 리소스 요구, 운영/환경 요소)

         ○ Acceptability (사람들의 수용 정도)

         ○ Circumvention (시스템을 속이기 쉬운 정도)



2. 생체인식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생체 특징


         ○ 생체 특징의 요건

▷ Universal (누구나 가지고 있다)

 Unique (각 사람마다 고유하다)

 Permanent (변하지 않고 변화시킬 수도 없다)

 Collectable (센서에 의한 획득과 정량화가 쉽다)

 

○ 생리적 특징과 행동적 특징의 비교

생리적 특징

행동적 특징

    - 상대적으로 안정적(permanent)

- 개인 내 변화(intrapersonal variation) 작음

- 장치가 크고 비싸며, 사용자에게 거부감

- 지문, 홍채, 각막, 얼굴, 손, DNA 패턴, 귀, 체

    - 심리 상태에 따라 변화

- 신체적 특징의 영향이 있음(남/녀, 체구)

- 개인 내 변화 큼

- 장치가 단순하고 싸며,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움

- 인증 시에 템플릿 수정 필요(규칙적 이용 바람직)

- 음성, 서명, Keystroke, 걸음걸이



 


※ 사진의 출처 : 생체인식 기술현황 및 전망(http://j.mp/116QCxG) 



3. 에이전트(Agent)

 


  •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요구되는 많은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
  • 에이전트 기술이란 사람을 대신하여 임의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대신 활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인 요소를 의미


○ 에이전트는 특정 목적에 대하여 사용자를 대신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적 프로세스 (autonomous process)

○ 에이전트는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어떤 환경의 일부이거나 그 안에서 동작하는 시스템.

○ 여기서의 환경은 운영체제, 네트워크, 또는 MUD 게임환경 등을 지칭

○ 에이전트는 지식베이스와 추론 기능을 가지며 사용자, 자원 (resource), 또는 다른 에이전트와의 정보교환과 통신을 통해 문제 해결을 도모

○ 에이전트는 스스로 환경의 변화를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행동을 취하며,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 하는 기능 보유

○ 에이전트는 수동적으로 주어진 작업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목적을 가지고 그 목적 달성을 추구하는 능동적 자세 보유

○ 에이전트의 행동의 결과로 환경의 변화를 초래

○ 에이전트의 행동은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닌 지속적 행동

 

 

4. 에이전트 특성

  • 자율성(autonomy)

○ 에이전트와 다른 일반 소프트웨어를 구별해주는 가장 핵심이 되는 특성

○ 사용자나 다른 에이전트의 직접적인 지시나 간섭 없이도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는 성질을 의미

 일반 프로그램이 수동적인 것에 비해 에이전트는 자율성을 가짐으로써 능동적으로 작업 수행을 진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에이전트는 수행 동작이나 내부 상태변화 등에 대한 제어권도 보유

 자율성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위단계 목적 (high-level goal)에 집중을 하게 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 절차등은 에이전트가 담당 

  • 지능(intelligence)

 지식 베이스와 추론 능력을 갖추고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계획 (planning) 을 세우고 학습 (learning) 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터득하는 성질로 인공지능에서 많이 연구된 결과를 근거로 함

 지능은 사실상 자율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지능을 바탕으로 에이전트는 같은 작업이라도 계획과 경험을 통해 더 나은 효과의 기대 가능

  •  이동성(mobility) 

○ 사용자가 요구한 작업을 현재의 호스트에서 수행하지 않고 실제 그 작업을 처리하는 호스트로 이동시켜 수행함으로써 수행의 효율을 높이고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는 효과

 이동성은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의 개념과는 판이하게 다른 개념으로 서버의 내용을 클라이언트를 통해 전송받아 정보를 얻거나 작업수행을 하는 것이 아니고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작업을 위해 에이전트를 서버로 보내어 수행

 이동성은 특히 인터넷의 보급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수가 급증하면서 그 중요성이 강조

 원격 통신시 통신 라인이 항상 접속되어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작업수행 환경에서 큰 효과         

  • 사교성(social ability)

○ 에이전트간 통신 능력을 의미

○ 하나의 에이전트로는 처리하지 못하는 작업의 수행을 위해 다른 에이전트의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에이전트간 메시지 교환에 의존

 에이전트 통신 언어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를 이용한 에이전트간 통신은 메시지 전달 (message passing) 이나 공유 메모리 (shared memory)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에이전트의 메소드 (method) 를 불러 수행

반응형
:

여자와 대화하는 방법

일상 이야기/잡동사니 | 2013. 3. 20. 09:29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구글플러스에서 가져왔습니다.


"진짜? 정말? 웬일이야, 헐"


요 네 마디만 할 줄 알면 여자와 대화하는 방법 대부분을 마스터 한 거 랍니다. 


대박 ㅋㅋㅋ



반응형
:

10. 집 관리와 u-센서

카테고리 없음 | 2013. 3. 20.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방문자 확인 및 방범/방재


○ 출입통제 서비스 : 각 가정 현관의 방문객을 집안에서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를 통해 영상으로 확인하고 문을 열어 줄 수 있음


 침입탐지 서비스 : 각 가정 현관에 설치된 센서나 창문에 설치된 유리 파손 센서 등을 통해 외부인의 침입을 감지하여 사용자나 경비실에 알려줌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처 가능


 보안업체 연계 방범 서비스 : 화재 및 외부인 침입 등 가정 내 비상사태 발생시 즉시 관리실과 보안업체에 연락되어 신속한 사후처리 가능


 홈모니터링 서비스 :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인터넷 카메라를 통해 전해지는 영상을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아이들이나 애완동물 등의 상태나 집안 상황을 감지 가능


 방재 서비스 : 집 안의 가스밸브와 가스누출센서, 화재센서 등을 연동하여 가스누출 혹은 화재발생시 가스밸브를 자동으로 차단한 후 사용자나 경비실, 119 등에 알려줌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


 부재중 방문자 확인/통화 서비스 : 부재중 각 가정 세대현관에 설치된 도어폰을 통해 전달된 방문객의 음성 및 화상을 서버에 저장한 후, 필요시 사용자가 웹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확인 및 통화함으로써 신속한 방문객 응대 가능



2. 제어계 네트워크 기술 - LONWORKS®


○ 빌딩의 공기조절이나 조명 등의 설비제어, 공장의 오토메이션, 지하철 차내에 설치된 전광 표시판 등 기기들을 제어하는 데 편리하도록 특화된 기술

 ○ 이러한 제어계 네트워크 기술의 세계 표준은 LONWORKS® 이며 미국 애실론이 개발



○ 개념

▷ Lon(Local Operating Network)Works : 제어 네트워크 기술

 1991년에 소개된 이 기술은 자동화 네트워크의 분산제어 측면을 크게 다룸

 LonWorks 네트워크는 세계 홈 네트워킹 분야의 중요한 표준이 되고 있는데, 주요 요인중의 하나는 에너지 관리 기능

 LonWorks 네트워크의 주요 강점 중의 하나는 유틸리티 제어 네트워크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는 것

 LonWorks는 지능형의 상호 운용 가능한 노드들과 서브시스템, 그리고 시스템들을 구축, 설치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도구와 빌딩블록을 제공 

 개방형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는 LonWorks는 도구, 모듈, IC 등이 다수의 벤더로부터 즉시 이용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필요할 때마다 제3 업체로부터 추가로 보충 가능


○ 작동방법

▷ 집 안의 각종기기에 Neuron® 칩이라고 불리는 LONWORKS® 용 CPU와 각종 기기가 실제 쓰이는 기능을 실행시킬 에플리케이션을 내장

▷ 이들 상효 기기간을 LONTALK®프로토콜이라는 네트워크 기술로 상호 접속해서 기기간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 

 

○ 장점

▷ 네트워크화함으로써 집중제어장치가 불필요해지고, 집중제어장치의 다운에 의한 기능 정지의 위험성이 감소

▷ 기기의 이동, 추가, 변경이 간단해서 변경시에 새롭거나 필요한 프로그래밍을 최소화 가능

▷ 기기의 제어는 현장이 아닌 장소에서도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가능




3. u-센서

  • 센서 기술


센서란 인간의 오감을 대신하여 주변환경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를 인간이나 장치가 알 수 있도록 어떤 신호로 변환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
즉, 측정 대상의 물리량이나 화학량을 선택적으로 포착하여 유용한 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장치


● 기본요건 : 감도, 선택도, 안정도, 복귀도, 신뢰도

 부대요건 : 높은 기능성, 적용성, 규격성, 생산성, 보존성 등


○ 센서의 종류

▷ 검출 대상의 변환원리에 따라 : 물리센서, 화학센서, 생물센서

▷ 측정대상으로 구분 : 광 센서, 방사선 센서, 역학 센서, 전자기 센서, 음파 센서, 온도 센서, 화학 센서, 생물 센서, 기타 복합 센서


  • 센서 관련 신기술

○ 나노기술

▷ 최근 반도체 기술이 나노 스케일에 이르게 되면서 기존에 불가능하던 기술이 현실화

▷ 가스 센서의 경우 기존에는 검지 한계가 수십 ppm정도였으나 최근 탄소 나노튜브 센서가 등장하면서 수 ppb정도의 가스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기존에 비해 만배 이상의 검지기능 보유

▷ 가까운 미래에 인체의 혈관에 삽입되어 각 기관을 돌아다니면서 병을 치료하는 것이 가능


○ 스마트 센서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수가공에 의존하던 센서들의 제조방법이 변화

 반도체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센서가 소형화되고 있으며 수율이 증가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가격 하락

 소자가 소형화되면서 집적화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한 개의 소자에 집적한 다기능 소자 개발 중

 여러 가지 센서 소자, 전자회로, 통신 기능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까지 일체화된 반도체 칩이 출현하면서 센서의 다기능화와 지능화 진행


○ 인공지능 센서

 현대사회가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더욱 다양한 기능의 복합센서가 요구되고 있는데, 그것 중에 하나는 인공지능 시스템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뇌를 모방하여 스스로 정보를 학습하여 새로운 환경을 인식하여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

 기존의 센서는 한 가지 물리·화학적 변화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으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환경 변화가 동시에 발생하여도 변화의 종류와 양의 판단이 가능

 문서인식, 지문인식 등에 활용되어 온 인공지능 기술이 센서에 접목되면서 스스로 물리적, 화학적 환경 변화를 학습하여 새로운 환경을 접했을 때 그 환경변화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

 예를 들어 대기 중에는 여러 가지 가스들이 존재하는데 기존의 센서는 한가지 가스만을 감지할 수 있었으나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면 존재하는 가스들의 종류와 농도를 동시에 측정 가능


반응형
:

9. 원격진료와 디지털병원

카테고리 없음 | 2013. 3. 19.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원격진료


○ 원격진료란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환자에게 전화선, 전용선(LAN)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진단, 치료 등과 같은 의료를 제공하거나, 건강자문, 교육, 의료정보 등을 제공


  • 원격진료의 도입 배경

○ 사회적 환경 : 경제성장,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수명 연장의 욕구, 인터넷 중독, 정보의 범람

○ 의학젹 배경 : 전문 의료진 부족, 의약분업, 의료설비의 대도시 편중, 긴 진료대기 시간, 비싼 진료비

○ 기술적 환경 : IT 환경 발전, 인터넷, 의료 영상 저장 통신 시스템, 온라인 처방전, 무선 및 모바일 환경


  • 원격진료로 가능한 진료의 종류

분야 

내용 

시진

환자가 병원에 가게 되면 제일 먼저 받게 되는 것이 바로 의사와의 대면.

의사는 환자의 외모 상태를 통해 정보를 습득(시진)

원격진료에서는 화상통신을 통해서 이를 극복

최근에는 거의 실시간 동영상과 선명한 화상으로 눈으로 직접 보는 것 못지 않게 발전되어 있음

문진

종합검진을 받으러 가면 제일 먼저 하게 되는 것이 바로 문진.
문진은 의사가 환자를 보기 전에 그 환자의 일반적인 정보와 필수적인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함.

원격진료에서는 사이버 문진을 통해 이를 해결

사이버 문진은 인쇄된 종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질문의 양에 구애받지 않으며, 또한 환자 본인이 원하는 문진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검사가 가능 

촉진과 타진

의사가 직접 손으로 만져보고, 때려보는 것. 이 역시 원격진료에서도 가능
사이버 장갑이 있어서 이것을 끼고 환부에 갖다 대면 그 느낌이 원격지에 있는 의사에게 전달
청진 역시 가능한데, 사이버 청진기를 환자의 신체에 접촉을 하면 그 음이 통신을 통해 의사에게 전달

원격방사선

원격진료에 이용되는 의료 기기 중에서 가장 널리 활용

최근 들어 원격방사선은 기술적 비약을 이룩하였으며, 이러한 신기술은 필름처리 시간을 감소시키고, 고가인 필름 디지타이저 사용을 불필요하게 만들며, 촬영된 방사선 화상을 PACS나 원격방산선 서버에 직접 수용시킬 수 있게 되었음

곧 필름 없는 방사선과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상

원격병리 분야

한쪽의 병리기사 또는 의사가 현미경을 통해 보이는 병리부분을 선정하고 촬영하여 원격지 병리학자에게 보내는 방식
원격정신과는 화상의 질이 중요한데, 동공반사나 미세경련을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비디오 화면의 질과 실물 크기의 화상, 눈 높이에 맞춘 카메라 사용 등이 있음

응급 및 외상 환자

기존에 무선전화기, 무선통신에 더하여 최근에는 무선전화를 이용한 화상 및 데이터 전송, 응급환자 관리를 위한 치료지침 제공 등이 있음

 

  • 원격진료를 통한 혜택

 환자의 혜택

제공자의 혜택

 - 의료 서비스에 직접적 접근이 가능

 - 환자 개개인에 대한 개별적 관리 가능

 - 응급상황 발생시 빠른 처치

 - 질병의 조기 발견 효과

 - 불안 감소

 - 환자의 이동 불필요

 - 환자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회 확대

 - 중장년층 환자들에 대한 장기적 기록 및 관리

 - 인당 관리 가능한 환자수의 증가

 - 의료 서비스 제공 영역 확대

 - 지리적인 한계를 극복한 의료 서비스 가능

 - 의료보험 보급의 객관적 지표 형성

 - 저비용 고효율의 의료 서비스 가능

 - 의료진의 효율적인 시간 활용 가능

 - 환자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 환자와 밀착된 서비스 제공




2. 디지털병원


  • 디지털병원의 특징

○ 직접 환자를 보며, 상태를 확인하는 회진 불필요

▷ 질환에 따라 매일매일 필요한 처치가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어 치료가 제대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컴퓨터가 점검해서 알려주는 시스템이 지원


○ 진료실에서 종이가 없어짐

▷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EMR)해 전자차트로 종이 차트를 대체


○ 환자는 진료카드를 휴대하고 병원의 각 과를 이동

▷ 담당의사가 진료실에서 입력한 내용이 병원 내 주전산기에 저장되고 고속통신망을 통해 병원 내 1300개 컴퓨터에 연결되기 때문에 필요하면 어느 곳이든 컴퓨터를 열어 확인 가능


○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 관계자는 진료차트 대신 PDA 휴대

▷ 병원 내에 무선랜이 설치돼 있어 PDA로 원하는 정보 검색과 입력 가능


○ 필름사진이 없어짐

▷ 검사실에서 찍은 MRI 사진이나 CT 사진, X선 사진 등이 병원의 주전산기에 저장되기 때문에 병원 내 모든 컴퓨터에서 열어 볼 수 있으므로 필름사진은 불필요


○ 원격진료가 가능

▷ 의사가 집에서도 환자 상태를 관찰하고 조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되어 의사가 퇴근 후에도 환자의 상태를 집에서도 확인 가능


※ 그림의 출처 : MNWorld(http://www.mnworld.co.kr/648)

반응형
:

8. 건강 안심 시스템

카테고리 없음 | 2013. 3. 18.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건강 안심 시스템의 의미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상에서 일상생활의 건강·안심에 관련된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콘시어지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을 의미


○ 기본 서비스

 심신계 케어 서비스 :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등

 주거환경계 케어 서비스 : 방법·방재 서비스


○ 콘시어지형 서비스

 콘시어지형 서비스란 미리 파악하는 서비스를 의미

 이용자 원하는 부분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레벨로 서비스를 제공


  • 기본 서비스

심신계 케어 서비스

서비스

내  용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 재택 건강진단

  • 신체에 장착하는 기기 등으로 인체의 혈압, 맥박 등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자동적으로 서비스 공급자에게 송신
  • 서비스 공급자는 건강진단 결과를 알리고 어드바이스


 ○ 운동시 건강관리

  • 신체에 측정기를 붙이고 운동시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본인 및 서비스 공급자에게 송신
  • 서비스 공급자는 장기적으로 운동기록을 축적하여 이를 근거로 어드바이스 제공
  • 운동시 맥박, 혈압 등이 위험 수준에 달한 경우 경고


 ○ 식사 자동분석 및 어드바이스

  • 매끼의 식사를 사진으로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동으로 송신
  • 서비스 공급자는 사진을 근거로 영양 밸런스나 칼로리를 자동으로 계산하고 장기적인 식사기록을 축적하여 적절한 식사 어드바이스 제공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 신체상태 모니터링

  • 몸져누운 개호대상자의 경우 신체에 친화적이고 조작이 간단한 기기를 장착하여 체온 등의 상태를 측정
  • 측정 결과는 서비스 공급자에게 자동으로 송신
  • 서비스 공급자는 측정결과를 케어팀에게 전달


 ○ 원격 실내 모니터링

  • 먼 곳에 사는 고령의 부모님이나 개호대상자의 상황을 센서 등으로 원격감시하고, 상태가 이상한 경우 자동적으로 가족과 케어팀에게 통보
 긴급시 응급
 서비스


 ○ 긴급통보(자동감지형)

  • 스위치를 누르는 것도 곤란한 정도로 증상이 심한 개호대상자의 경우에는 목 소리에 감응하는 감지기나 졸도 센서 등을 사용
  • 변기나 욕조에 인체에 감응하는 간단한 장치를 부착하여 고령자나 개호대상자가 쓰러져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 경우 자동적으로 경보


 ○ 긴급통보(수동형)

  • 고령자가 재택 중에 상태가 나빠지는 등 긴급사태가 발생할 경우 가지고 있는 기기의 스위치를 눌러 정해진 수신자에게 신호를 송신

 원격 커뮤니

 케이션 지원

 서비스

  
 ○ 친척과의 TV전화
  • 먼 곳에 사는 친척과 본인이 언제 어디서나 IP 비디오 전화 기능을 가진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대화 가능

 이동시 지원 

 서비스

 
 ○ 이동 내비게이션
  • 고령자 등의 외출시에 GPS가 내장된 휴대단말기로 목적지, 경로, 교통수단 등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


 ○ 개호대상자 이송 지원

  • 개호대상자가 외출할 때 온라인으로 복지차량을 수배


주거환경계 케어 서비스

서비스 

내  용 

 실내환경 유지관리    
 서비스
 
 ○ 실내 온도 및 습도 관리
  • 공기조절 설비나 가습기를 원격 컨트롤하여 실내 온도·습도를 쾌적한 수준으로 유지


 ○ 야간 실내 유도

  • 개호대상자 등이 야간에 화장실에 갈 때 거실에서 화장실까지 통로의 조명을 자동적으로 점등·소등
 구도물 수질검사
 서비스

 ○ 수질검사
  • 수도물의 다이옥신, 환경 호르몬 등에 의한 오염도를 정기적으로 체크
 방범·방재 서비스
 ○ 실내 상태 모니터링
  • 야간에 창문·문의 개폐, 주택 주변에서 사람의 움직임, 연기·열 등을 감지한 경우 관계기관으로 통보, 자동으로 조명 점등 및 경보 작동


  • 콘시어지형 서비스

서비스 레벨에 따른 내용

레벨

항목

내용

커뮤니케이션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단순한 전송로로 이용

2

정보제공

 요청에 의한 정보제공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정보를 차례대로 전송)

3

고지

 알 필요가 있을 때에 정보를 고지

(사용자의 필요시에 자동적으로 정보를 사전 고지)

4

제안

 필요시에 다음 조치를 제안

(사용자에게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 선택을 제안)

5

완전자동화

 상황에 맞게 모든 조치를 수행

(사용자는 결과 확인과 궤도수정만 수행)


콘시어지 서비스의 조합

구분

건강생활 콘시어지 

원격지 노부모 케어 

콘시어지 

개호대상자 케어 

콘시어지 

서비스 이용자

일반인

(주로 중고년, 고령자층)

경도 생활습관병 환자

먼 곳에 노부모가 있는 가족

개호대상자의 케어팀·가족

서비스 대상자

일반인

(주로 중고년, 고령자층)

경도 생활습관병 환자

따로 사는 노부모

개호가 필요한 사람

이용시 상황

재택시, 운동시

재택시, 이동시

재택시, 이동시

서비스 조합의 예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수도물 수질검사 서비스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원격 커뮤니케이션 지원 서비스

방범·방재 서비스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이동시 지원 서비스

실내환경 유지관리 서비스




2. 건강안심 시스템의 구성


건강안심 시스템 기기

구분

센서·태그계

리더·통신계

가공처리계

바이털 측정

반지형 측정기, 침대형 측정기

통신장치

PC

생체감지

초박형 침대센서, 음성센서, 버튼센서,

졸도센서

통신장치, 컨트롤러

PC, 경보장치

양방향 대화

영상 카메라 + 음성 마이크

통신장치

 

위치인식

RFID Tag

리더, 라이터, 컨트롤러

PC, 경보장치

실내환경 감지

문·창문 개폐센서, 인체 감응센서,

온도·체온 센서, 연기센서, 화재센서

통신장치

경보장치


○ 건강안심 시스템 네트워크의 구성


▷ u-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통합 센싱 시스템

-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센서나 측정기기를 사용하더라도 그것을 하나의 통신기기와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면의 통합 작업이 필요

- 각종 센서와 측정기로 정보(바이털, 신체 자세, 실내환경 등)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모두 유비쿼터스 퍼스널 단말기(u-단말기)가 일괄 수신하여 다시 서비스 공급업자에게 일괄 송신

- 휴대전화나 PHS를 사용하여 혈압이나 심전도 데이터를 의료기관이나 검진센터에 송신하는 시스템 개발 진행


▷ UX에 의한 휴먼 서비스 인터페이스

- 이용자는 눈앞에 있는 유비쿼터스 퍼스널 단말기(u-단말기)로 긴급하거나 필요할 때 유비쿼터스 서비스 유통센터(UX)에 원 클릭으로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 내용을 전달

- UX의 오퍼레이터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강안심 생활 관련 서비스 공급자 혹은 응급대응처 연결

- 이용자는 직접 전문 서비스 공급업자와 u-단말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하여 서비스를 예약하거나 그 자리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이 가능


○ 건강안심 시스템 네트워크의 특징


▷ 모니터링/센서망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 위치 등의 상황 정보를 수집

- 신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신체내장형 컴퓨터, 바이오 센서 등의 센서,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나 위치추적 장치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사용


▷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지역의 보건 복지 서버에 전달


▷ 상황에 따라 복지나 의료 전문가 또는 시스템을 통해 적절한 제어나 조치를 제공

- 지역에서 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필요한 컨텐츠가 요고뒬 경우에는 보건 복지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개인에게 적절하게 제공


▷ 보건 복지 응용 서비스를 제공 

- 서버는 주기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플랫폼에게 전달하여 컨텐츠 서버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플랫폼과 컨텐츠 서버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복지나 보건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


※ 참고 사이트 : http://j.mp/XSgkmC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