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강 안심 시스템의 의미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상에서 일상생활의 건강·안심에 관련된 서비스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콘시어지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을 의미
○ 기본 서비스
▷ 심신계 케어 서비스 :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등
▷ 주거환경계 케어 서비스 : 방법·방재 서비스
○ 콘시어지형 서비스
▷ 콘시어지형 서비스란 미리 파악하는 서비스를 의미
▷ 이용자 원하는 부분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상황에 맞게 다양한 레벨로 서비스를 제공
- 기본 서비스
○ 심신계 케어 서비스
서비스 |
내 용 |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
○ 재택 건강진단
○ 운동시 건강관리
○ 식사 자동분석 및 어드바이스
|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
○ 신체상태 모니터링
○ 원격 실내 모니터링
|
긴급시 응급 서비스 |
○ 긴급통보(자동감지형)
○ 긴급통보(수동형)
|
원격 커뮤니 케이션 지원 서비스 |
○ 친척과의 TV전화
|
이동시 지원 서비스 |
○ 이동 내비게이션
○ 개호대상자 이송 지원
|
○ 주거환경계 케어 서비스
서비스 |
내 용 |
실내환경 유지관리 서비스 |
○ 실내 온도 및 습도 관리
○ 야간 실내 유도
|
구도물 수질검사 서비스 |
○ 수질검사
|
방범·방재 서비스 | ○ 실내 상태 모니터링
|
- 콘시어지형 서비스
○ 서비스 레벨에 따른 내용
레벨 |
항목 |
내용 |
1 |
커뮤니케이션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단순한 전송로로 이용 |
2 |
정보제공 |
요청에 의한 정보제공 (사용자의 요청에 응하여 정보를 차례대로 전송) |
3 |
고지 |
알 필요가 있을 때에 정보를 고지 (사용자의 필요시에 자동적으로 정보를 사전 고지) |
4 | 제안 | 필요시에 다음 조치를 제안 (사용자에게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 선택을 제안) |
5 |
완전자동화 |
상황에 맞게 모든 조치를 수행 (사용자는 결과 확인과 궤도수정만 수행) |
○ 콘시어지 서비스의 조합
구분 |
건강생활 콘시어지 |
원격지 노부모 케어 콘시어지 |
개호대상자 케어 콘시어지 |
서비스 이용자 |
일반인 (주로 중고년, 고령자층) 경도 생활습관병 환자 |
먼 곳에 노부모가 있는 가족 |
개호대상자의 케어팀·가족 |
서비스 대상자 |
일반인 (주로 중고년, 고령자층) 경도 생활습관병 환자 |
따로 사는 노부모 |
개호가 필요한 사람 |
이용시 상황 |
재택시, 운동시 |
재택시, 이동시 |
재택시, 이동시 |
서비스 조합의 예 |
건강 유지관리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수도물 수질검사 서비스 |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원격 커뮤니케이션 지원 서비스 방범·방재 서비스 |
신체개호 지원 서비스 긴급시 응급 서비스 이동시 지원 서비스 실내환경 유지관리 서비스 |
2. 건강안심 시스템의 구성
○ 건강안심 시스템 기기
구분 |
센서·태그계 |
리더·통신계 |
가공처리계 |
바이털 측정 |
반지형 측정기, 침대형 측정기 |
통신장치 |
PC |
생체감지 |
초박형 침대센서, 음성센서, 버튼센서, 졸도센서 |
통신장치, 컨트롤러 |
PC, 경보장치 |
양방향 대화 |
영상 카메라 + 음성 마이크 |
통신장치 |
|
위치인식 |
RFID Tag |
리더, 라이터, 컨트롤러 |
PC, 경보장치 |
실내환경 감지 |
문·창문 개폐센서, 인체 감응센서, 온도·체온 센서, 연기센서, 화재센서 |
통신장치 |
경보장치 |
○ 건강안심 시스템 네트워크의 구성
▷ u-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통합 센싱 시스템
-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센서나 측정기기를 사용하더라도 그것을 하나의 통신기기와 시스템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면의 통합 작업이 필요
- 각종 센서와 측정기로 정보(바이털, 신체 자세, 실내환경 등)를 수집하고, 그 정보를 모두 유비쿼터스 퍼스널 단말기(u-단말기)가 일괄 수신하여 다시 서비스 공급업자에게 일괄 송신
- 휴대전화나 PHS를 사용하여 혈압이나 심전도 데이터를 의료기관이나 검진센터에 송신하는 시스템 개발 진행
▷ UX에 의한 휴먼 서비스 인터페이스
- 이용자는 눈앞에 있는 유비쿼터스 퍼스널 단말기(u-단말기)로 긴급하거나 필요할 때 유비쿼터스 서비스 유통센터(UX)에 원 클릭으로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 내용을 전달
- UX의 오퍼레이터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건강안심 생활 관련 서비스 공급자 혹은 응급대응처 연결
- 이용자는 직접 전문 서비스 공급업자와 u-단말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하여 서비스를 예약하거나 그 자리에서 직접 서비스를 제공 받는 것이 가능
○ 건강안심 시스템 네트워크의 특징
▷ 모니터링/센서망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 위치 등의 상황 정보를 수집
- 신체의 변화를 감지하는 신체내장형 컴퓨터, 바이오 센서 등의 센서, 사용자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나 위치추적 장치 등의 모니터링 시스템 사용
▷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지역의 보건 복지 서버에 전달
▷ 상황에 따라 복지나 의료 전문가 또는 시스템을 통해 적절한 제어나 조치를 제공
- 지역에서 처리가 불가능하거나 필요한 컨텐츠가 요고뒬 경우에는 보건 복지 플랫폼을 통해 정보를 전달받아 개인에게 적절하게 제공
▷ 보건 복지 응용 서비스를 제공
- 서버는 주기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플랫폼에게 전달하여 컨텐츠 서버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플랫폼과 컨텐츠 서버를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복지나 보건 정보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
※ 참고 사이트 : http://j.mp/XSgk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