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48 Pag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15 00:20

 
 

5. 글자(Text) 태그

컴퓨터 활용/홈페이지 과정 | 2013. 1. 30. 12:07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 논리적 스타일(Logical style) 글자태그


○ 논리적 스타일이란?

- 문장이 갖는 의미에 따라 표현 방법을 바꾸는 논리 형태의 설정 태그

- 종류에 따라 약간의 변화는 있지만 크게 차이나지는 않음


○ 논리적 스타일의 종류

태 그 명

설                   명

 <au>...</au>  홈페이지를 작성한 사람의 이름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 (author의 약자)
 <cite>...</cite>  특정문헌의 인용문을 사용할 경우 사용 (citation의 약자)
 <code>...</code>  컴퓨터 코드 부분을 지정할 경우 사용
 <dfn>...</dfn>  용어에 대한 정의를 할 때 사용 (define의 약자)
 <samp>...</samp>  컴퓨터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로 표시 (sample output의 약자)
 <var>...</var>  변수나 프로그램 인자를 정의할 경우 사용 (variable의 약자)


○ 예제

 <html>

<head>

<title>논리적 스타일 글자 태그</title>

</head>

<body>

<au>au:홈페이지를 작성한 사람의 이름을 나타낼 때 사용</au><p>

<cite>cite:특정문헌의 인용문을 사용할 경우 사용</cite><p>

<code>code:컴퓨터 코드 부분을 지정할 경우 사용</code><p>

<dfn>dfn:용어에 대한 정의를 할 때 사용</dfn><p>

<samp>samp: 컴퓨터 상태를 표시하는 메시지로 표시</samp><p>

<var>var:변수나 프로그램 인자를 정의할 경우 사용</var>

</body>

 </html>



○ 결과




물리적 스타일(Physical style) 글자 태그


○ 물리적 스타일이란?

작성자가 글자에 특정한 효과를 부여하여 의도한 대로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태그

- 주로 사용하는 태그는 <b>, <i>, <u> 정도이다.


○ 물리적 스타일의 종류

태 그 명

 설                            명

 <b>...</b>  글자를 진하게 표시
 <big>...</big>  글자의 크기를 크게 표시
 <blink>...</blink> 글자를 강조하기 위해 깜박거림 (netscape 전용태그)
 <em>...</em> 글자를 강조하며 기울임꼴로 표시(emphasis의 약자)
 <i>...</i> 글자의 모양을 기울여서 표시(italic의 약자)
 <kbd>...</kbd>  키보드로 입력 받은 것과 같은 효과를 줄 때 사용(text to be input)
 <small>...</small>  <big>과 반대로 글자의 크기를 작게 표현할 때 사용
 <strong>...</strong>  더 강한 강조를 할 때 사용하며 볼드체 효과로 표시
 <sub>...</sub>  아래첨자입니다 (subscript의 약자)
 <sup>...</sup>  윗첨자입니다 (superscript의 약자)
 <tt>...</tt>  글자체중 타자기체로 나타낼 때 사용(teletype의 약자)
 <u>...</u>  문자열에 밑줄을 그을 때 사용(underline의 약자)
 <s>...</s> 취소선을 그을 때 사용(strike의 약자)

○ 예제

 <html>

<head>

<title>물리적 스타일 태그</title> 

</head>

<body>

<b>b:글자를 진하게 표시</b><p>

<big>big:글자의 크기를 크게 표시</big><p> 

<blink>blink:글자를 강조하기 위해 깜빡거림 (netscape 전용태그)</blink><p> 

<em>em:글자를 강조하며 기울임꼴로 표시</em><p>

<i>i:글자의 모양을 기울여서 표시</i><p> 

<kbd>kbd:키보드로 입력받은 것과 같은 효과를 줄 때 사용</kbd><p>

<small>small: big과 반대로 글자의 크기를 작게 표현 할 때 사용</small><p>


<strong>strong:더 강한 강조를 할 때 사용하며 볼드체 효과로 표시</strong><p> 

<sub>sub:아래첨자</sub>입니다<p> 

<sup>sup:윗첨자</sup>입니다<p> 

<tt>tt:글자체중 타자기체로 나타낼 때 사용</tt> <p> 

<u>u:문자열에 밑줄을 그을 때 사용</u><p> 

<s>s:취소선을 그을 때 사용</s> 

</body>

 </html>


○ 결과보기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홈페이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marquee> 태그  (1) 2013.01.31
6. <font>태그  (0) 2013.01.30
4. 선그리기와 제목 태그  (0) 2013.01.29
3. 문단 태그  (0) 2013.01.28
2. HTML 태그 맛보기  (0) 2013.01.28
:

4. 선그리기와 제목 태그

컴퓨터 활용/홈페이지 과정 | 2013. 1. 29. 17:12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hr>태그 : Horizontal Rule

○ 형식 : <hr width="선 길이" size="높이(두께)수치" align="정렬위치" noshade>

○ 설명

- 줄과 줄 사이에 선을 그려 넣을 때 사용하는 태그

- 시각적으로 웹 페이지의 구역을 나누어 주는 선

텍스트의 구역을 구분

○ 속성

- size= (픽셀) => 선의높이(두께)를 지정 

- width=(픽셀 또는 %) => 선의 가로길이를 지정

- align=left, right, center =>가로줄의 정렬 방법을 결정 

- noshade =>입체적인 모양 대신 단순히 선으로 나타낼 때 사용(음영의 효과가 없어짐.)



2.<hn>태그 : Heading

○ 형식 : <hn… </hn>

○ 설명

- 제목 태그

- 웹 페이지의 정보를 구조적으로 보여 줌

○ 특징

- <hn>에서 'n'은 1에서 6까지 숫자를 말함(예, <h1>~ <h6> … </h1>~</h6>

- h는 Heading의 약자로 주로 문장의 타이틀 제목으로 사용

- <hn> 태그가 적용된 글자는 두꺼운 글자로 표현

- 글자크기는 h1>h2>h3>h4>h5>h6 순임

- 자동 줄바꿈이 일어나므로 <br> 태그가 불필요

○ 사용

- <h1>,<h2>,<h3> 태그 :  웹페이지의 각 영역의 제목으로 자주 사용

- <h5>,<h6>태그 : 거부권이나 저작권과 같은 정보를 표현할 때 사용

- <h4>태그 : 보통 웹 페이지 본문 텍스트와 같은 크기인 경우가 많다.

· 브라우저에서 보통 제목행을 굵은 글씨체로 표현하고 위쪽과 아래쪽에 빈줄을 한 줄씩 삽입함.

· 기본적으로 왼쪽 정렬 되어 있으며 마감태그를 적어주어야 함.

· align속성을 사용하면 정렬방식을 바꿀 수도 있음.

○ 속성

align=left, right, center =>정렬 방법을 결정

※ 정렬할 때 justice 로 지정하면 왼쪽정렬이지만 오른쪽 끝 부분이 매끄럽게 유지된다.

     ※ 속성은 보통 겹따옴표("")로 붙이지만 요즘은 생략해도 된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홈페이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font>태그  (0) 2013.01.30
5. 글자(Text) 태그  (0) 2013.01.30
3. 문단 태그  (0) 2013.01.28
2. HTML 태그 맛보기  (0) 2013.01.28
1. HTML의 개요  (0) 2013.01.07
:

3. 문단 태그

컴퓨터 활용/홈페이지 과정 | 2013. 1. 28. 21:23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p>태그 : paragraph

○ 형식 : <p>, <p> … </p>

○ 설명

- 문단을 나눌 때 사용하는 태그

- 정렬 방식은 left(justify), center, right가 있으며, 기본값은 left를 적용한다.

<p>태그는 연속적으로 사용했을 때 아무리 많이 적어도 한 번만 인정됨



2.<br>태그 : Line Break

○ 형식 : <br>

○ 설명 : 강제로 줄바꿈하는 태그, 마감태그</br>은 없음



3.<pre>태그 : Preformatted text

○ 형식 : <pre> … </pre>

○ 설명 : 문서가 편집되어 있는 모양 그대로 보여준다.



4. &nbsp; 기호 : non-breaking space

○ 형식 : &nbsp;

○ 설명

- 글자와 글자 사이를 띄어 준다.

- 글자와 글자 사이를 많이 띄어주고 싶으면 여러 번 중복해서 사용해야 함



5. 특수문자 입력


특수문자 이름

설명

특수문자 입력 

화면에 나타나는 문자 

less-than symbol

~보다 작다

&lt;

<

great-than symbol

~보다 크다

&gt;

>

ampersand

엠퍼센트

&amp;

&

quotation mark

인용부호

&quot;

"

soft hyphen

하이픈

&shy;

-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홈페이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font>태그  (0) 2013.01.30
5. 글자(Text) 태그  (0) 2013.01.30
4. 선그리기와 제목 태그  (0) 2013.01.29
2. HTML 태그 맛보기  (0) 2013.01.28
1. HTML의 개요  (0) 2013.01.07
:

2. HTML 태그 맛보기

컴퓨터 활용/홈페이지 과정 | 2013. 1. 28. 20:22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 <head>...</head>부분

    • <head>부분에 삽입되는 내용은 웹 페이지에 그 모습을 드러내 놓지는 않지만, html파일의 각종 중요한 정보를 담아 놓은 곳.
    • 즉, <head>안에 사용되는 내용은 웹 브라우저상에 보여지지는 않지만 문서의 중요정보를 담고 있거나 다른 부분에 스폰서 역할을 담당한다.



◈ <head>...</head>의 특징

    1. html문서에 육안으로 드러나지 않으며, 문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
    2. html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곳.
    3. <head>...</head>사이에는 많은 정보를 넣을 수 있다.



● <head>부분에 삽입되는 <title>태그


 기본형식 : <title>...</title>

  설      명 : <title>태그는 웹 브라우저 상단에 사이트의 제목을 보여 주는 태그


※ title 이름 지정 시 주의점(title 이름은 본인의 사이트를 홍보 할 수 있는 훌륭한 마케팅 도구가 되므로 좋은 title 이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주의해야 한다.)

①되도록이면 영어를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해 title이름은 한글로 설정.

②굳이 사이트의 설명을 적고자 한다면 짧고, 명료하게 사이트의 특성을 전달.

③사이트의 브랜드 명을 적는다.

④사이트의 도메인 네임을 한글로 적는다.



● 메모장 실행하는 2가지 방법

①[시작]단추 →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메모장]을 클릭

②[시작]단추 → [실행] → [열기: notepad]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누르면 메모장이 실행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홈페이지 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font>태그  (0) 2013.01.30
5. 글자(Text) 태그  (0) 2013.01.30
4. 선그리기와 제목 태그  (0) 2013.01.29
3. 문단 태그  (0) 2013.01.28
1. HTML의 개요  (0) 2013.01.07
:
반응형

1. 다산의 생애

  • 다산은 조선 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철학자이다.
  • 젊었을 때 천주교 교리에 대한 연구 모임을 갖기도 하였다.
  • 1801년 천주교 관련 사건에 연루되어 전라도 강진으로 18년 동안 유배되었다.
  • 다산은 일표이서-『경세유표(經世遺表)』(1817) 『목민심서(牧民心書)』(1817) 『흠흠신서(欽欽新書)』(1819)-를 비롯하여 소학(小學), 육경(六經), 사서(四書), 경세(經世) 등 유학 전 분야에 걸쳐 저서를 집필하였고( 여러 단편 논문의 글들도 지었다.


2. 다산의 학문적 특색

  • 한대(漢代)의 훈고학(고증적 방법)과 송대(宋代)의 성리학(사변적 방법)을 비판하였다.
- 學而不思(학이불사) : 세세한 것을 배우는 데 힘쓰지만 근본 이론에 대한 깊은 사고는 하지 못함
而不學(사이불학) : 근본 이론에 대한 깊은 사고는 하지만 세세한 것을 배우는 데 힘쓰지는 않음
  • 중국 중심의 ‘천하(天下)’ 관념과 중화주의(中華主義)을 부정하였다.
  • 리(理)의 형이상적 실체성을 부정하고 운동성을 지닌 기(氣) 중심의 새로운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만물의 생성은 물론 사단(四端)에 이르기까지 기(氣)가 발동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였다.
  • 사람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嗜好), 즉 선에로의 경향성이 있다. 그리고 의지와 행위에 관한 자주적 권능을 갖추었다.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사단(四端 : 측은지심(惻隱之心) 수오지심(羞惡之心) 사양지심(辭讓之心) 시비지심(是非之心))의 마음을 실천에 옮길 때 형성되는 덕이다.
  • 민본사상은 “백성이 귀한 존재다.”라고 한 맹자로부터 직접 계승한 것이다.
<탕론(湯論)> : 백성에 의한 통치자의 추대가 언급
- <원목(原牧)> : 목(牧 : 행정 관료)이 민(民)을 위한 존재임을 역설
『목민심서』 : 행정관료의 부임(赴任), 율기(律己), 봉공(奉公), 애민(愛民), 이(吏)·호(戶)·예(禮)·병(兵)·형(刑)·공(工)의 육전(六典), 진황(賑荒), 해관(解官)으로 구성
· 율기(律己) : 자기 관리에 관한 것. 칙궁(勅躬 : 몸가짐과 옷차림 등을 단속함), 청심(淸心 : 청렴한 마음가짐), 제가(齊家 : 집안을 단속함) 세 항목으로 되어 있다.
· 봉공(奉公) : 각종 공무 수행에 관한 것(상부의 행정 명령을 받는 절차와 형식, 국법을 바로 지킴, 예의 바르게 교제를 함, 보고문서의 처리방식, 세금과 공물(貢物)을 바치는 일, 수령 고유의 업무 이외에 특별 업무를 명(命) 받았을 때의 처리 방식 등)
· 애민(愛民) : 양로(養老 : 노인에 대한 봉양), 자유(慈幼 : 어린이 특히 고아에 대한 양육), 진궁(振窮 : 천하에 의지할 곳 없는 이들에 대한 보살핌), 관질(寬疾 : 폐질廢疾, 독질篤疾에 걸려 제힘으로 살아갈 능력이 없는 이들에 대한 구제)
· 진황(賑荒 : 흉년에 빈민에 대한 구휼)과 해관(解官 : 후임자와 임무 교대시 한 점의 티끌도 없게 하여 유종의 미를 거둠)

  • 다산의 토지제도 :「전론(田論)」의 여전제(閭田制)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에 따라 양반과 부호들이 토지 소유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지주소작제의 철폐와 놀고먹는 양반들을 제도적으로 생산노동 혹은 교육에 참여시킬 것을 목표로 하였다.
1) 30호(戶)를 일려(一閭)라는 기본 단위로 한다.
2) 여민(閭民)은 토지를 공유하고 공동으로 경작한다.
3) 여장(閭長)은 생산작업을 감독하며 매일 개개인의 노동량을 일역부(日役簿)에 기입한다.
4) 가을에 수확한 곡물을 공회당에 갖다놓고 공세(公稅)와 여장(閭長)의 봉급을 공제한 다음 일역부(日役簿)에 기입된 노동투하량에 따라 분배한다.
5) 농민 가족의 전출과 전입의 자유를 허용한다.
6) 세금은 십분의 일로 한다.
7) 여전제(閭田制)는 병농일치(兵農一致)의 원칙을 따른다.
8) 상인과 수공업자는 여전의 공동경작에 참여시키지 않는다.
9) 양반은 농공상(農工商)에 종사하거나 교육을 담당하지 않으면 생산물의 분배에 참여 못한다.





반응형
:
반응형

1. 율곡의 생애

  • 율곡은 조선 중기 대표적 성리학자로 현실적 사회 개혁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 율곡은 사임당 신씨와 부친 이외에 따로 스승을 둔 적이 없다.
  • 34세(1570) 때 <동호문답(東湖問答)>, 39세(1575) 때 <만언봉사(萬言封事) : 당시 사회의 폐단 기술, 자연재해 방지 대책 제시, 도덕 수양의 문제를 언급함>와 <성학집요(聖學輯要) : 임금의 자기 함양과 국가를 다스리는 방법과 목표를 상론함>를 지었다.
  • 35세(1571) 때 청주(淸州) 목사(牧使)를 지낼 때 서원향약(西原鄕約)을 시행하였고, 42세(1578) 때 황해도 해주(海州)에서 향약(鄕約)을 시행하였다.(백성들에게 유학의 규범을 교육시킴으로써 공동체 사회의 성원으로서 더불어 사는 생활 방식을 익히게 하고, 공동체 성원들 간에 자치적으로 서로를 돕는 풍속 진작을 목표로 함)


2. 『성학집요』의 내용

  • <통설(統說)><수기(修己)><정가(正家)><위정(爲政)><성현도통(聖賢道統)>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성외왕(內聖外王), 즉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핵심사상은 <수기(修己)><정가(正家)><위정(爲政)>에 잘 나타나 있다.
- 내성외왕(內聖外王) : 안으로는 성인의 덕을 갖추고, 밖으로는 임금의 풍모를 갖춤
- 수기치인(修己治人) : 자기 자신을 수양하고 남을 다스림
  • <수기(修己)>
- 입지(立志) : 성인(聖人)이 되고자 하는 뜻을 세워야 한다.
- 수렴(收斂) : 공부를 통하여 몸가짐과 마음가짐에 흐트러짐이 없도록 해야 한다.
- 궁리(窮理)객관 사물의 이치인 물리(物理), 즉 그 본질 및 속성에 대한 인식 사람됨의 도리인 윤리(倫理)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
성실(誠實) : 사람됨의 도리를 실천함에 있어서 성실(誠實)의 중요하다.
교기질(矯氣質)사람은 품수한 기의 편차에 따른 자신의 기질상 단점을 극복하고 개선해야 한다.
- 양기(養氣) : 바른 기[正氣]를 보존하고 북돋우는 것으로 양심(養心)의 공부와 맞물려져 있다.
기타
· 정심(正心) : 함양(涵養)과 성찰(省察)을 통하여 마음을 바르게 함
· 검신(檢身) : 몸을 단속하여 용모, 보고 듣는 자세, 말씨, 행동거지를 단정하게 함
· 회덕량(恢德量) : 타인을 포용할 수 있는 덕량을 넓힘
· 보덕(輔德) : 좋은 친구를 통하여 충고를 듣고 잘못을 바로 잡는 것
· 돈독(敦篤) : 끝까지 힘써 노력함
 
  • <정가(正家)>
- 효경(孝敬) : 효도는 모든 행동의 으뜸이 되는 것, 집안을 바르게 다스리는 도(道)는 효도와 공경하는 일
형내(刑內) : 아내가 바르게 처신하고 아내를 법도에 알맞게 대우해야 한다.
교자(敎子) : 태교로부터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에 이르기까지 자녀 교육이 중요하다.
친친(親親) : 친척을 친애해야 함
절검(節儉) : 집안을 경영함에 있어서 절약과 검소가 필요함
  • <위정(爲政)>
- 용현(用賢) : 인재 등용이 중요하다.
취선(取善) : 통치자가 선(善)을 성심껏 좋아할 때 선인(善人)들을 취할 수가 있다.
식시무(識時務) : 통치자와 지도층은 바로 고루한 인습, 시대에 부합하지 못하는 법, 그리고 해이해진 제도 등을 나라의 문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그래야 정확한 문제 인식에 기초한 개혁과 혁신의 방안을 강구할 수가 있는 것이다.
입기강(立紀綱) : 임금이 사사로운 마음[私心]이 없이 정치에 임하고, 상벌을 공정하게 시행함으로써 기강을 바로 잡아야 한다.
안민(安民) : 백성들을 평안하게 하는 것을 위정(爲政)의 목표로 삼아야 한다.
명교(明敎) : 백성들을 먹고 살 만하게 한 뒤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오륜, 예절, 표준, 공교육)


3. 오늘날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의 의의
  • 유학의 관점
 사람은 자연 생명인 몸과 도덕 생명인 마음을 지난 한 존재로서 삶을 영위함에 있어 몸가집과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는 것이 중요함 ⇒ 심신의 수양은 자신의 의지와 주체적인 실천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공동체 사회
- 개인이 어떠한 인간관계 혹은 객관적 상황에 놓이느냐에 따라 그 나름의 도리가 있게 마련 ⇒ 사람의 도리를 충실히 실천함으로써 조화로운 공동체 사회의 건설이 뒤따름

  사회적 실천에 앞서 개인의 수양이 중요하다는 것은 유학의 일관된 사상 !






반응형
:
반응형

1. 롤즈의 생애와 『정의론』의 의의

  • 롤즈는 평생 “정의”(justice)라는 단일 주제를 연구한 학자이다.
  • 롤즈의 『정의론』은 이후 윤리학과 정치철학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지금까지도 “정의”(justice)에 대한 논의는 롤즈의 문제의식 틀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롤즈 『정의론』은 당시의 주도적인 공리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훼손할 수 있다는 부정의의 가능성을 비판한다.
  • 롤즈의『정의론』은 도덕철학, 정치철학, 법철학 등의 실천철학의 영역에서 “계약론적 전환”(contractarian turn)이라고 불리는 전환점을 제공한다.


2. 정의론의 합의 방법론

  • 롤즈의 방법론은 근대 사회계약론의 현대적 변용으로 원초적 입장이라 명명되며, 정의의 원칙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이다.
  • 원초적 입장(original position)의 합의 당사자는 무지의 베일(veil of ignorance)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이나 처지 등에 무지함으로 정성을 확보한다.
  • 원초적 입장이라는 불확실성의 상황 하에서 합의 당사자은 합의 이후에 알게 될 자신의 처지가 설령 사회에서 가장 불리한 상황인 최소수혜자(the least favored)라고 하더라도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최소극대화 규칙(maximin rule)에 입각해서 합의한다.


3. 정의의 두 원칙(Two Principles)

  • 원초적 입장에서 합의되는 정의의 두 원칙은 제1원칙인 자유의 원칙과 제2원칙인 차등원칙과 공평한 기회의 원칙이다.
  • 정의의 두 원칙은 서열화되어, 제1원칙이 제2원칙에 우선하며, 제2원칙에서는 공정한 기회의 원칙이 차등원칙에 우선한다.
  •  제1원칙인 자유의 원칙은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다.(자유가 사회적, 경제적 효율성을 위해 희생될 수 없다.)

  • 제2원칙인 차등원칙은 정의론의 공동체주의적 측면을 강조하여,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사회의 최소수혜자에게 이익이 될 때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원칙이다.
  • 사회적 약자들이 자선의 대상이 아닌 그들에게 이득이 되도록 돕는 것이 정의(justice)라는 새로운 태도 제시




반응형
:
반응형

올해(2013년) 달라지는 제도와 시책입니다.


내용이 많아 파일로 올립니다.


필요하신 분 다운받아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2013달라지는제도(20130107).hwp


반응형
:
반응형

1. 루소의 생애와 『사회계약론』의 주요 논점

  • 루소는 학문과 문명이 인간을 속박한다고 보면서 자연 상태를 이상적으로 생각한 사상가로 계몽주의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 루소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고 보았으며, 인간 내면의 감성과 양심을 옹호했다.
  • 국가 권력은 일반의지를 실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하며 계약이 주권의 실질적 근거가 된다.
  • 루소는 사회계약을 통해 개인이 서로의 자유를 존중하면서 공동체 속에서 함께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 인간이 자연 상태에서 누렸던 자유와 평등을 회복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회계약론』을 저술한 핵심이유다.



2. 『사회계약론』의 주요 내용과 핵심 개념

  • 인간은 사회계약을 통해 자연 상태에서 사회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전환하며 개인은 시민이 된다.
  • 주권은 항상 국민에 속하며 정부는 다만 대리인으로서 법을 집행하는 역할을 한다.
  • 루소는 직접 민주제를 선호했는데 주권재민의 원칙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 반의지는 공공의 선을 목적으로 하며 보편의지라고도 불린다. 단순히 구성원 모두의 이익을 합친 것처럼 산술적 합이 아니다.
  • 개인이 법에 복종해야 하는 것은 법이 일반의지를 실현하기위해 제정되었으며 개인이 이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3. 기타 사회계약론과의 차이

  • 사회계약론자들은 국가를 신의 창조물이 아니라 시민의 계약을 통해 형성된 정치적 산물로 본다.
  • 홉스는 안전과 자기 보존의 필요성 때문에 사회계약을 체결했고 국가의 절대 권력에 국민들이 무조건 복종해야 한다고 말했다.
  • 재산권에 대한 절대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자연권의 핵심이며, 사회계약도 시민의 이익을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 루소는 자연 상태를 평화롭고 평등한 이상적 상태로 보았으며 인간성 회복을 주장했다.
  • 루소는 개인의 삶이 공동체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평등을 실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응형
:
반응형

1. 로크의 생애와 시대적 분위기

  • 의학공부를 통해서 과학적이고 실험적인 경험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정부의 필요성을 명시하는 자연법과 이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인간지성론』과 『관용에 관한 시론』을 저술하여 정치권력의 유일한 목적은 사회성원들의 선(善), 안전 및 평화를 실현하고 보장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왕권신수설에 근거한 절대군주론의 관념을 부정한다.

    2. 『통치론』의 집필 배경 및 전반적인 구성과 내용

    • 『통치론』은 시기를 달리하여 쓰여진 두 개의 논문으로 구성되어있다.
    • 제1론」은 「로버트 필머 경 및 그 추종자들의 그릇된 원칙과 근거에 대한 지적과 반박」(“The False Principles and Foundation of Sir Robert Filmer and His Followers are Detected and Overthrown”), 그리고 「제2론」은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목적에 관한 시론」(“An Essay Concerning the True Original, Extend, and End of Civil-Government”)으로 '자연상태와 자연권'/'사회계약'/'정치사회와 시민사회'/'정부의 목적'등을 담은 자신만의 고유한 정치이론의 내용이다.


      3. 로크의 『통치론』과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몇 가지 키워드


      (1) ‘자연상태’와 ‘자연법’ - 절대군주제를 뛰어넘어 민주주의로 나아가기 위한 이론적 출발점

        • 로크 정치사상의 출발점은 ‘자연상태’와 ‘자연법’이다.
        • 이 ‘자연상태’ 안에서 인간은 자신의 행동과 소유물에 대해 완전히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평등하며 독립적이다.
        • 자연상태를 지배하는 ‘자연법’이 있기 때문에 이 상태는 단순히 방종의 상태는 아니다.
        • 하지만 한편으로 자연상태는 비록 자연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가지고 있지만 그 권리가 매우 불확실하고 끊임없이 다른 사람이 침해할 위험에 놓여 있는 상황인 것이다.


      (2) 개인의 ‘소유권’ - 만인의 동등한 자유와 평등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로서 소유권

        • 로크 정치이론에서 소유(재산)는 넓은 의미로 ‘생명, 자유, 자산’(life, liberty, estate)을 지칭하며, 좁은 의미로는 ‘경제적 재화’를 지칭한다.
        • 소유는 인간의 권리에 속하는 것이며 그것의 보존이 최고의 가치를 갖는다.
        • 자신의 노동이 투여되면 타인의 공통된 권리가 배제되며 자신만 독점적인 권리를 가지게 된다.
        •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소유물에 대해 명백한 권리를 가지며 따라서 소유권을 갖는 한에서 모든 이들은 평등한 존재이다.


      (3) 이상적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사회계약’ - 민주주의 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첫 번째 발걸음

        • 사회계약설은 상호대립과 투쟁의 상황에 놓인 개인들이 자신들의 안전과 재산 그리고 권리를 지키기 위해 서로 간의 계약을 체결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이론이다. 이 이론이 널리 퍼진 것은 17~18세기 유럽에서이다.
        • 사회계약설은 국가(정치사회, 정치권력)의 성립과 관련된 개인들의 역할을 바탕으로 당시 봉건적 절대군주제의 지배를 극복하고 민주주의에 기초한 정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로크에 따르면 사람들은 명시적인 상호 계약을 맺어 공동체를 세우고, 이 계약에 자신들의 자연권의 일부를 종속시켜 각종 분쟁과 투쟁상황을 해결하도록 만든다.
        • 로크에 의하면 사람들이 계약을 통해 공동체를 건설하는 이유는 재산을 안전하게 향유하고 공동체에 속하지 않는 자들로부터 좀 더 많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4) 계약을 통해 형성된 정치적 공동체의 의미와 역할 - 민주주의 사회의 목적과 역할

        • 로크가 ‘정치사회’(또는 시민사회)라고 부르는 참된 정치적인 공동체는 서로 평등하고 자유로운 사람들이 계약과 동의를 통해 결성한 공동체이다.
        • 로크는 정치권력을 ‘사형 및 모든 처벌에 대한 법률을 제정하는 권리이며, 또한 재산을 규제하고 보존할 목적으로 법률을 집행하고,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기 위해서 공동체의 무력을 사용하는 권리이며, 이 모든 것을 오직 공공선을 위해서만 행사하는 권리’라고 규정한다.
        • 로크는 정치사회(시민사회)가 자연상태와 다른 점을 ‘공통의 척도로서 법률’, ‘공평무사한 법의 집행자로서 재판관’, ‘올바른 판결을 제대로 집행할 수 있는 권력’ 등에서 찾고 있다.
        • 로크는 공적 권력 사용의 제한 조건을 분명히 한다.


      (5) 저항권 - 민주주의를 지탱하는 마지막 보루

        • 로크 정치사상의 몇 가지 키워드 중 그 마지막은 절대군주제의 상황에서 왕을 비롯한 부당한 권위에 맞서 시민들의 능동적 불복종의 권리를 옹호하는 ‘저항권’을 들 수 있다.
        • 권력의 집행자들이 계약 이상의 권력을 행사할 때 시민들은 권력을 집행하는 자들이 자신들과의 신뢰를 깨뜨렸다고 판단하게 된다.
        • 정치적 공동체가 사람들의 동의 없이 권력을 행사한다면 인간의 권리와 생명, 자유, 재산은 예측할 수 없는 위험에 놓일 것이다.
        • 이런 위험에 저항해 계약을 위반한 정부를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제거 할 수 있다는 로크의 주장이 바로 ‘저항권’이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