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중첩법' 태그의 글 목록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1-18 15:29

 

'중첩법'에 해당되는 글 1

  1. 2013.10.08 한자 지식의 응용(1)
 

한자 지식의 응용(1)

카테고리 없음 | 2013. 10. 8. 00:00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한자 어휘의 생성 및 구조


  낱낱 한자에 대한 지식은 우리의 말과 글에 쓰이고 있는 한자말 즉 한자 어휘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한자에 대한 공부는 한자말 학습으로 완성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의 말과 글에 쓰이고 있는 한자 어휘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해 둘 필요가 있겠다.


  낱낱의 한자는 다른 한자의 도움 없이 그 자체로서 낱말이 되는 예가 많다. 이를테면 山(산)․江(강)․冊(책)․亡(망)․善(선) 등 같은 자립형태소는 독립적으로 낱말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예들은 {-이}․{-가}․{-을/를}․{-하다}․{-한} 같은 조사나 어미를 붙여서 한 가지 경우라도 말이 성립되면 자립형태소로 단정할 수 있다. 이것들을 붙여서 어느 경우에도 말이 되지 않는 것은 자립형태소가 아니라 依存형태소에 해당된다. 즉 다른 한자의 도움을 받아야 비로소 낱말이 된다. 이를테면 學(학)자는 자립형태소가 될 수 없음은 {學이}․{學가}․{學을}․{學하다}․{學한} 같은 예가 성립되지 않는 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그 뒤에 問(문) 등이 붙는다거나(學問) 그 앞에 漢(한) 등이 붙어야(漢學) 비로소 낱말이 된다. 따라서 學은 자립형태소가 아니라 의존형태소이다.

  자립형태소는 그 자체로서 낱말이 되지만 다른 것과 더불어 쓰일 수 없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대부분의 자립형태소는 다른 형태소와의 결합이 매우 자재로운 自在형태소이기도 하다. 山자를 예로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山 : ‘山河’류 2음절 어휘의 수 : 174개

         ‘江山’류 2음절 어휘의 수 :  45개   총219개


물론 의존 자재 형태소인 경우도 많다 學자를 예로 들어보자면 다음과 같다.


   學 : ‘學生’류 2음절 어휘의 수 : 72개

         ‘獨學’류 2음절 어휘의 수 : 20개   총92개


  위의 통계는 편의상 2음절 어휘로 국한시킨 것이다. 3음절 이상의 예를 포함시킨다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아질 것이다. 특히 學자는 거의 모든 2음절 어휘의 뒷 편에 첨가될 수 있을 정도로 자재력이 뛰어나다 이렇듯 한자는 自立-自在 형태소나 依存-自在형태소가 많다는 점은 造語力(조어력)이 대단히 강하다는 것을 뒷받침해준다. 바꾸어 말하자면 한자 학습이 어휘력 증강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임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한자 어휘는 2음절 어휘가 根幹(근간)을 이루고 있다. 2음절 어휘만 잘 파악해두면 3음절 이상의 多音節(다음절) 어휘는 그 구조를 저절로 알 수 있다. 2음절 한자 어휘의 형성은 대체로 派生法(파생법)․合成法(합성법)․重疊法(중첩법) 이상 세 가지 방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語根(어근) 형태소에 접두사나 접미사가 첨가됨으로서 낱말을 형성하고 있는 파생어는 수적으로 많지 않다. 한자말에 쓰이고 접두사로는 序數(서수)를 나타내는 第(제)나 假(가, 假-建物)․非(비, 非-道德)․沒(몰, 沒-廉恥)같은 소수의 準 접두사가 고작일 따름이다. 한자에는 접미사 발달도 매우 미미하다. 순수 접미사로는 子(자) 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예 女子․男子․卓子․孔子 등)

  어근 형태소가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는 微微(미미)․少少(소소)․疏疏(소소)․間間(간간) 등이 있다. 이러한 중첩어는 수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그 의미를 이해하는 데 크게 어려운 점은 없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파생어와 중첩어는 전체 한자 어휘의 3%도 안될 정도로 그 수가 매우 제한적이다. 반면, 합성법에 의하여 형성된, 즉 어근 형태소와 어근 형태소가 결합된 합성어는 97%에 달할 정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한자어=합성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합성어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구조 유형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도 있는 등 난해한 점이 많기 때문에 이에 대하여는 조목조목 잘 따져 보아야할 필요가 있겠다.(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일반적인 ‘한자말’은 모두 합성어를 가리킴)



(1) 2음절 한자말의 구조


  한자말 가운데 2음절 어휘가 대부분이고, 이것은 3음절, 4음절 등 다음절 한자말의 근간이 된다. 2음절 한자말의 의미는 그 구조를 파악해두면 의미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두 어근 형태소(AB)가 조합되어 있는 방식은 한문 문장에 보이는 것과 대체로 동일하다. 그 구조 방식과 유형은 세밀하게 보자면 20여종이 넘을 수도 있겠으나, 대체로 다음의 6종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