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58 Page)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07 00:12

 
 

[2강] 공정한 직무수행(1)

카테고리 없음 | 2012. 8. 4. 09:26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지시에 대한 처리

 

 

 

○ 공직자는 상급자가 공정한 직무수행을 현저히 해치는 지시를 한 경우 그 사유를 상급자에게 소명하고 지시에 따르지 않거나 행동강령책임관에게 상담할 수 있음.

 

○ 행동강령책임관은 지시 내용을 확인 하여 지시를 취소하거나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면 소속 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함

 

○ 부당한 지시에 대하여 해당 상급자에게 소명하고 따르지 아니하였음에도 재차 부당한 지시를 반복한 상급자는 징계 가능

 

※ 소명 시 구두소명은 지양하고 자신의 인적사항, 지시내용, 지시에 따르지 아니하는 사유 등을 기재하여 서면, 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소명

 

 

 


2. 이해관계 직무의 회피

 

 

○ 공직자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가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 직무의 회피 여부 등에 관하여 직근 상급자 또는 행동강령책임관과 상담 후 처리하여야 함

▷ 자신, 배우자, 자신과 배우자의 직계 존 · 비속의 금전적 이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경우

▷ 4촌 이내 친족이 직무관련자인 경우

▷ 자신이 2년 이내에 재직하였던 단체 또는 그 단체의 대리인이 직무관련자인 경우

▷ 공공기관의 장등이 공정한 직무수행이 어려운 관계에 있다고 정한 자가 직무관련자인 경우

※확인 · 발급 등 단순 민원업무의 경우에는 제외

 

○ 직근 상급자 또는 행동강령책임관은 해당공직자가 그 직무를 계속 수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아니하다고 판단되면 소속 기관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함

 

○ 보고를 받은 소속 기관의 장은 직무가 공정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인력을 재배치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반응형
:

[1강] 행동강령의 개요 및 적용

카테고리 없음 | 2012. 8. 3. 23:21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공직자 행동강령“이란

공직자가 직무시행 과정 중 당연하게 되는 갈등상황에서 공직사회가 추구하는 바람직한 가치기준 공직자가 준수하여야 할 행위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규정임

 

   강령이란 특정 조직·집단이 지향하고 있는 바람직한 가치를 행위 유형별로 명문화한 것

   이러한 강령 중 공직사회에 적용하고 있는 것이 『공직자 행동강령』이다.

 

 


2. 행동강령의 필요성


○ 공직자의 역할 및 중요성 중대

○ 부패의 사전예방을 위한 수단

○ 공직자의 윤리성과 정부의 신뢰성을 제고

○ 공직자를 보호

○ 국제적 흐름에 부응


 

3. 행동강령의 법적 근거 및 적용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조(공직자 행동강령)

▷ “공직자가 준수하여야 할 행동강령을 대통령령으로 제정” 하도록 명시함.

▷ 해당 기관 규칙으로 제정 :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관위

▷ 공직유관단체 : 공직유관단체 내부규정("공직유관단체별 「임직원 행동강령」")

○ “공직자 행동강령”은 국가 및 지방공무원과 공직유관단체 임직원에게 적용됨


 

4. 행동강령의 주요 용어


○ 공직자의 직무관련자

▷ 공직자의 소관 업무와 관련하여 이익 또는 불이익을 직접적으로 받는 개인이나 단체.

▷ 시책, 사업 등의 결정이나 집행으로 이익 또는 불이익을 직접적으로 받는 개인이나 단체

▷ 행정기관의 장과 공직유관단체의 장은 직무관련자, 직무관련공무원 범위, 직무관련임직원의 범위를 기관별 특성에 따라 정할 수 있음.

※ 소관 업무를 수행하는 공직자의 상급자는 하급자의 직무관련자와 직무관련이 있음.

 

○ 공직자의 직무관련공직자

▷ 공직자의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이익 또는 불이익을 직접적으로 받는 다른 공직자 중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공직자

- 공직자의 소관 업무와 관련하여 직무상 명령을 받는 하급자

- 인사 · 예산 · 감사 · 상훈 또는 평가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공직자의 소속 기관 공직자 또는 이와 관련되는 다른 기관의 담당 공직자 및 관련 공직자

- 사무를 위임 · 위탁하는 경우 그 사무를 위임 · 위탁하는 공직자 및 사무를 위임 · 위탁 받는 공직자

※ 공직자의 상급자는 하급자의 직무관련공직자와 직무관련이 있음.

 

○ 선물

▷ 대가 없이 제공되는 물품 또는 유가증권, 숙박권, 회원권, 입장권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모든 것

※ 승진, 영전 시 주고 받는 화환 등은 경조금품이 아니고 선물에 해당

 

○ 향응

▷ 식사대접 · 콘도제공 · 공연초청 · 골프초대 등의 접대 또는 교통편제공 · 숙박제공 · 골프예약 등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

※ 공직자는 직무와 관련하여 선물 및 향응을 받을 수 없음.

반응형
:
반응형

1. 번역(수입) 뮤지컬 뜯어보기


  1) 원작의 수상 경력

    ○ 작곡상, 작사상, 인기상, 스태프 상 등

    ○ 기획자(수입자)
    ○  라이센스 계약인가? - 라이센스 없는 무단 공연은 저 품질 공연
    ○  좋은 조건의 계약인가? : 억지 계약 -> 공연 무산


  2) 오리지널 캐스트
    ○ 오리지널 캐스트 사전 정보
    ○ 뮤지컬 넘버 사진 점검 -> 국내 배우 인기와 비교감상


  3) 번역자
    ○ 좋은 번역자를 만나는 즐거움, 발견하는 즐거움
    ○ 대사 : 내공 있는 무대 언어
    ○ 가사 : 원전 노래의 운율을 무시한 번역 -> 이미 뮤지컬 번역으로서 실패

    ○ 1차 비슷한 느낌의 단어, 2차 비슷한 음운의 선택, 3차 어려울 때는 원어 그대로

      ▷ "안녕, 안녕, 친구" -> "바이, 바이, 마스터"

        - 어려운 외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관객을 위해 배려하지 않아도 되는 일 


  4) 웬만하면 보지 말아야 할 번안극
    ○ 오리지널의 2차 창작물 : 대등한 입장료, 제작자들만 재미있는 작업
    ○ 차라리 창작물에 투자 : 원작 감각 유지, 행복한 투자자 마인드

 


2. 창작 뮤지컬 뜯어보기


  1) 창작 뮤지컬의 개념

    ○ 초연 국내극, 재공연 국내극

    ○ 공통 체크 사항 : 작곡/작사가의 이력과 기존 작품 성향


  2) 초연 뮤지컬 뜯어보기

    ○ 독창성, 미래성 존재 여부
    ○ 차별화된 소재 여부, 재탕 소재 피하기, 번득이는 소재 찾기

      - <Annie>연재 만화각색, <마이 페어 레이디>각색, <지저스 크라이스트수퍼스타>각색,

        <Cats>각색, <코러스 라인>오리지널 컨셉


  3) 재공연 뮤지컬 뜯어보기
    ○ 초연 정보 : 제작자, 연출, 안무, 무대디자인, 공연->오리지널 캐스트 기록이 있는지
    ○ 재연 정보 : 얼마나 리바이벌 되었는지
    ○ 오리지널/재공연에 대한 평

 


3. 스태프 뜯어보기


  1) 연출

    ○ 관록이 연출가를 만나는 재미, 신진 연출가를 발견하는 재미
    ○ 연출이 계보 지식 - 극단/학파/동인
    ○ 연출의 무대 장악력 지식 : 스펙터클, 시각 요소, 사운드


  2) 안무
    ○ 무용을 위한 안무가 : 미진한 안무가
    ○ 극을 위한 안무가 : 제2의 연출, 배우의 연기를 책임, 반가운 안무가
    ○ 전공의 차이 : 라틴/현대무용/고전무용

    ○ 발레를 통과 못한 안무가는 넌센스


  3) 무대 디자이너
    ○ 무대 디자이너의 변천

    ○ 연극무대/무용무대 -. 뮤지컬 뮤대 디자이너
    ○ 무대 미술가의 팬들 -> 고정 관객(박동우 등)


  4) 조명 디자이너

    ○ 환영의 예술

    ○ 뮤지컬 전문 조명 디자이너->조명 회사의 종류

 


4. 배우 뜯어보기


  1) 보기 싫은 배우 : 들리지 않는 가사, 타락한 연기 등
    ○ 19세기 말 배우들이 폐해 : 스타니슬라브스키의 배우론, 윤리론


  2) 뮤지컬 배우의 기본 : 열정보다 기본을
    ○ 성악, 발레, 연극, 지성(독서량)


  3) 미래 스타 찾기 : 예견하는 재미
    ○ 앙상블 자세히 보기 : 주연급으로, 영화배우로

 


5. 뮤지컬 팬 되기


  1) 클래식 음악 접근법
    ○ 연주자 펜클럽 : 음반 사들이기, 연주회 가기, 다른 연주자와 비교해보기 -> 클래식에 접근

 

  2) 작곡가 알아가기

    ○ 해당 곡 작곡가의 다른 곡 듣기

    ○ 해당 작곡가의 연주회 찾아 다니기 -> 가장 잘 해석하는 악단/지휘자/연주자


  3) 뮤지컬 접근법
    ○ 스타 따라 다니기 : 가장 쉬운 방법(배우가 가장 많이 노출)
    ○ 스타 작가 따라 다니기 : 작가의 작품 꿰기, 신작 놓치지 않기(배우는 계속 바뀐다)
    ○ 연출가 골라 보기 : 미진한 원작 -> 새로운 해석, 연출가와 작가의 움직임 파악


  4) 진정한 뮤지컬 팬 되기
    ○ 자부심 : 최고의 종합 무대 예술, 인문의 보고 그리고 부가 가치인 여흥 -> 엔터테인먼트
    ○ 뮤지컬 넘버 소장 :CD, 프로그램, 포스터, 적어도 관극한 작품 넘버는 소장
    ○ 오리지널 캐스트 : 갈라쇼 정보
    ○ 관극평 남기기 : 더 좋은 공연을 위한 팬의 의무, 전문적인 평론 수준까지
    ○ 많이 보기 위해 싸게 보자 : 인터넷, 동호회, 이벤트, 극단 후원회 가입, 펜 카페 가입
    ○ 취미가 직업으로? : 쇼닥터, 캐스팅 디렉터, 프로덕션 디자이너

반응형
:

[7강] 뮤지컬의 텍스트

카테고리 없음 | 2012. 7. 30. 10:16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뮤지컬의 구성


  1) 주제와 소재
    ○ 흔히 쓰이는 소재 : 알고 있는 소재, 가사 가청을 위한
    ○ 가장 오래된 소재 : 신데렐라류
    ○ 그러나, 한계는 없다.


  2) 뮤지컬적 플롯
    ○ 뮤지컬 넘버들의 배치가 곧 플롯
      ▷ 음악은 가장 강력한 감정 기복의 표현
      ▷ 자상한 내러티브 구조는 피곤
    ○ 뮤지컬 넘버 개념을 생각하며 풀어나가면 큰 무리는 없다!


  3) 뮤지컬 넘버 전개
    ○ Overture(서곡) : 시작하기 전에 울리는 오케스트라 곡, 극이 시작됨을 알리는 기능
                               뮤지컬의 형태와 무드를 암시
    ○ Opening Number : 막이 열린 후 울리는 첫 노래, 대게 전체 코러스 등장으로 큰 범위
                                  무대장치를 살펴볼 수 있는 시간, 뮤지컬의 스케일 감지
                                  극 몰입을 위해 이목을 잡아두는 역할
    ○ Exposition : 설명적 가사, 장치, 안무, 주요 케릭터 소개, 장소와 시대 소개
                          이후, 주인공에게 사건 발생, 점정 사건에 연루되어 가는 주인공
                          주제와 극적 문제점 돌출
    ○ Show Stopper : 뮤지컬적 재미를 돋구는 인물, 극 진행과 관계없이 파격적인 노래와 행동
                               곧 일어날 갈등을 유보 : 갈등 압축
    ○ Production Number : 중간 휴식 시간으로 들어가는 전 차례, 2막에 시작될 갈등을 위한 이완
                                      지루해질 때쯤의 최대 볼거리,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것, 노래/춤 총동원

    ○ Opening Number : 2막 시작을 알리는 기능, 멈췄던 갈등을 재환기 : 이후 최고조의 갈등
    ○ Reprise : 클라이맥스 과정에서 연주되는 반복곡, 가장 대중적인 음악 기능, 극 몰입을 보조
                      극 전체를 통해 가장 안배를 잘 해야 하는 부분 : 극의 여운을 기억
    ○ Ending : 긴장이 와해되면 대단워, 객석 퇴장 음악, "엔딩 음악도 텍스트다!"
                     Reprise 또는 새로운 곡


2. 뮤지컬 작사


  1) 극본 체화
    ○ 뮤지컬 종류 확인(코미디, 환타지, 비극 ...) : 가사의 문제와 관련
    ○ 플롯의 가독성(한번에 읽히는지...) : 가사의 강약 배분에 중요
    ○ 장면의 서브텍스트 확인(저번의 의미...) : 가사의 함축 여지 발견하는데 필요
    ○ 케릭터 분석(주인공의 이상...) : 가사의 말투, 억양 창조
    ○ 이 작품이 내게 의미가 있는가(한 땀 한 땀...) : 시인의 마음

    ○ 작사 : 뮤지컬 넘버의 위치 확정/ 노래와 춤의 성격 확정
    ○ 좋은 가사는 '전진적인 가사' !


  2) 최종 체크 리스트

   ○ 배우 배려(캐릭터에 맞는 단어/발음 구조)
    ○ 작곡자 배려 : 가사와 음악이 부조화를 이룰 소지
                           고저, 강약, 빠르기, 음질 등이 상상되도록(아닐 경우 멜로디 작곡때 고생)


  3) 뮤지컬 작사가

   ○ 음악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는 사람
    ○ 적어도 음악을 설명할 줄 알아야 한다
    ○ 시창력/독보력이 있으면 최고의 작사가


3. 뮤지컬 작곡

      ▷ 작곡/작사의 선후 관계 : 강한 영감 소유자로부터 시작
      ▷ 그러나, 작곡가의 그 영감이 가장 뮤지컬적인 영감
      ▷ "작곡이 먼저 된 뮤지컬 - 가장 이사적인 뮤지컬"


  1) 작곡의 기본 순서
    ① 테마곡 : 극을 관통하는 주된 멜로디 도출
    ② 솔로형 곡 : 각 캐릭터에 맞는 음악과 톤 확정

    ③ 대화형 곡 : 전진하는 형태의 작곡, 받은 의사를 비약적으로 이어나가는 노래
    ④ 배경곡
       ▷ 주도곡 : 대사 없는 장면에서 독자적 역할, 배우를 대신할 수 있는 개성있는 악기 선택
       ▷ 배경곡 : 배우의 대사를 도와주는 역할(배우의 보조자)

    ⑥ 서곡과 엔딩곡 : 대게 주요 태마곡을 편곡, 처음부터 신경쓰지 않아도 됨


  2) 노래의 종류
    ○ Lead Song : 작품을 이끄는 노래, 소위 테마송
    ○ Company Song : Lead Song 등장을 유도, 대게 Lead Song을 돕는 합창곡, 가사가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도 되고, 합창곡의 특성상 그리 될 수도 없는 단순한 가사
    ○ I Want Song : 상황의 임박을 암시하는 노래, 해설적인 노래, 갈등의 단초를 대개 I am Song 유도
    ○ I Am Song : 장면의 주축이 되는 사람이 부르는 노래, 자신 피력, 서사적 가사 전달을 배려 작곡

                         필요, 강한 타악기 배제, 가사와 충돌되는 멜로디 주의
    ○ Ballad Song : 연인끼리의 곡, 고급관객을 위해선 가장 어려운 부분, 뮤지컬의 단골 메뉴
    ○ Show Stopper Song : 광대들의 특별 넘버, 쇼 스토퍼가 엉성할 때, 뭔가 빠진 느낌을 줌
    ○ Charm Song : 밝은 분위기의 노래
    ○ Special Material Song : Productio Number를 위한 것

반응형
:

[6강] 뮤지컬의 형식

카테고리 없음 | 2012. 7. 29. 00:01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오페라냐 뮤지컬이냐

 

  1) 오페라
    ○ 음악성 위주 스토리가 약해도 됨
    ○ 그를 위해 음향을 자제


  2) 뮤지컬의 극장주의
    ○ 극장에 와 있음을 자각하게 하는 연출
      ▷ 줄거리 중시
      ▷ 극창성 위해 특수 효과도 동원
      ▷ Production Number까지 의도적 임

 

  3) 대중성
    ○ 주제가 무겁더라도 대중적인 연출->뮤지컬 작품
    ○ 가벼운 이야기라도 차원 높은 음악성->오페라

 

 

2. 극 형태별 분류

 

  1) 뮤지컬 종류의 결정
    ○ 관객을 대하는 뮤지컬의 태도
    ○ 텍스트 작업과 연출 작업의 동일성

 

  2) 극 형태의 분류 : 연극성과 무대형태가 기준
    ○ 리얼리즘/형식주의
    ○ 상징주의/표현주의
    ○ 인상주의/구성주의
    ○ 서사극/멀티미디어

 

  3) 선택적 리얼리즘

    ○ 화려함/장대함 추구하는 동일

    ○ 그러나 소품, 무대장치 등 연극적 장치들은 사실적 예) 레미제라블


 

  4) 형식주의

    ○ 미리 세팅된 무대 없이 대 도구 등을 의미 없이 배치

    ○ 나중에 대사/가사 등으로 규정 예) 시카고


  5) 인상주의

    ○ 강력한 인상의 수단 강구, 사실적/비사실적 무관, 극 분위기 고조

   ※ 표현주의는 심리 이미지, 인상주의는 무대 이미지, 예) 오페라의 유령


  6) 서사극

    ○ 극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이화를 유도
    ○ 티브이, 프로젝터 등을 사용, 해설자가 나오기도
    ○ 해설자의 노래는 다른 형태로 작곡, 이성이 필요한 교육용 뮤지컬에 사용
       예) 에비타 (체 게바라-> 해설자)


  7) 멀티미디어

    ○ 배우와 음악 그리고 각종 멀티미디어의 요소들이 거리낌없이 버무려지는 형태

    ○ 평범하지 않은 조명, 특효, 멀티스크린 등, 예) Grease

 

 

3. 뮤지컬 양식별 분류

 

  ○ 뮤지컬이 고유하게 발전시켜 온 뮤지컬 자체 양식의 종류
    ▷ 오랜 기간 정형화된 것과 새롭게 창조된 것
  ○ 레뷰/Book show/컨셉트 뮤지컬/카바레 뮤지컬/룩 뮤지컬/오페라틱 뮤지컬/오페레타 뮤지컬

 

  1) 레뷰

    ○ 나이트 클럽, 카바레, 오프 브로드웨이 공연, 버리이어티 쇼
    ○ 가장 보기 편한 뮤지컬 형식
    ○ 규정된 플롯 없이 노래, 춤, 코메디 반복
    ○ 시자/풍자가 주된 소재
    ○ 작곡자에 의해 테마별로 작곡 또는 공동 작곡->버라이어티 쇼

 

  2) Book show
    ○ 탄탄한 스토리 구조와 대본
    ○ 연극적 극단의 역점 둔 뮤지컬 ->레뷰와 상대 개념, 예) 오클라호마


  3) 컨셉트 뮤지컬

    ○ 특정 주제를 갖지만 주된 컨셉만 말하며 특정 플롯 부재
    ○ 컨셉트 뮤지컬에피소드 나열 형식
    ○ 여러 가지 일들이 혼재하며 결말, 예) Company->결혼을 주제로 좌충우돌하는 에피소드

 

  4) 캬바레 뮤지컬
    ○ 극장 식당 쇼와 동일
    ○ 큰 줄거리는 노래와 무희들의 춤
    ○ 개그와 코메디가 중간중간 삽입
    ○ 극이라기보다는 쇼


  5) 록 뮤지컬
    ○ 전자악기의 록이 주축
    ○ 강한 주제의식 극들이 대부분, 예) 헤어,Tommy


  6) 오페라의 뮤지컬
    ○ 대사를 완전히 배제한 뮤지컬
    ○ 통일성 있는 극 진행, 예) 오페라의 유령


  7) 오페레타 뮤지컬
    ○ 오페라성 음악(2옥타브)을 기본으로->보통 뮤지컬: 음역이 1옥타브 내외
    ○ 대사와 유머를 허용
   ※ 그랜드 오페라/오페레타->대형 오페라/소형 오페라
       오페라틱 뮤지컬/오페레타 뮤지컬->대형/소형, 예) Rose Marie

 

 

4. 뮤지컬 내용별 분류

  1) 뮤지컬 코메디
    ○ 코메디에 기초한 과장된 표현
    ○ 대개 해피엔딩, 예) Annie get your gun


  2) 뮤지컬 파스
    ○ 소극, 광대짓, 실수연발, 슬랩스틱
    ○ 해피앤딩

    ○ 예) Funny thing happened on the way


  3) 뮤지컬 판타지
    ○ 환상적인 소재
    ○ 이상한 장소와 이상한 캐릭터 등장->신비 경험을 위한 관객용
    ○ 예)스코틀랜드 마을의 환상적인 전설을 소재


  4) 뮤지컬 비극
    ○ 어려움에 직면, 불행한 결말
    ○ 잘 쓰지 않는 소재이나 잘 다루면 오히려 득, 예) West side story


  5) 뮤지컬 드라마
    ○ 전통적인 비극 양식
    ○ 진지한 표현과 주제의 작품들 통칭, 예) Carousel


  6) 뮤지컬 멜로 드라마
    ○ 몰입을 유도하는 복잡한 스토리->권선징악이 주류
    ○ 인물까지 복잡하면 불리->전형적인 캐릭터(악인,선인 등), 예) Sweeney Todd

 

반응형
:
반응형

1. 미국의 새로운 뮤지컬

 

  1) Try to remember(1960)-Fantastics
    ○ 주눅 든 80년대
      ▷ 영국의 브로이드웨이 점령
      ▷ 코러스 라인 이후 신작 무->기존 작품의 리바이벌
    ○ 부활 90년대
      ▷ 일본 자본의 가세->늘어나는 미국 오리지널 수작들<The Secret Garden>
      ▷ 영국적인 것에 휩쓸리지 않고, 브로드웨이 특유의 소재로 대응


  2) 부활의 요소 1- 레뷰 공연
    ○ 고정 관객을 확보하고 있는 전통 공연
    ○ 영국이 침범할 수 없는 독특한 분야
    ○ 지켜야 할 마지막 아성


  3) 부활의 요소 2- 오프 브로드웨이
    ○ 1990년대의 컴퓨터의 발달 - 멀티미디어 정신
    ○ 다양한 뮤지컬 실험 - 각 장르의 크로스 오버
    ○ 기존 대형 뮤지컬과 차별화 뮤지컬 탄생


  4) 넌버벌 뮤지컬
    ○ 대사 없애기-> 영국 뮤지컬
    ○ 가사까지 없애기-> 액션과 음향
    ○ Non-verbal Musical 탄생 : 언어의 장벽을 넘는 새로운 뮤지컬, 한국에까지 영향


  5) '지킬과 하이드'의 등장
    ○ 정통 영국식으로 직격탄
    ○ 1990년 미국 지방(텍사스주)초연
    ○ 1997년 브로드웨이

 

 

2. 일본의 뮤지컬

 

  1) 전통 뮤지컬 - 노오(能)
    ○ 13세기 ‘사루카쿠’라는 연예물에서 발전
    ○ 춤과 함께 코러스

 

  2) 전통 뮤지컬 - 가부키(歌舞伎)
    ○ 17세기 초 - 인형극/이야기/무용의 잡종극
    ○ 전용 극장이 있는 일본 대표 음악극
    ○ 패턴화된 무용 동장, 코러스
    ○ 해설자가 연기에 참여 ->대중들의 사랑
    ○ 여자, 젊은 남자 등장 불가 -> 쇼군의 통제
    ○ 쇼군 퇴장 후 활기

 

  3) Takarazuka Revue Company(다카라즈카 공연단)
    ○ 조기 문호 개방
    ○ 상인 계층의 투자와 공인 형식 작품의 활성화
    ○ 서구 뮤지컬 형식을 일본화 : 일본이 특화시킨 독자적인 양식
    ○ 작품성보다 연예적인 면, 정기적인 외국 순회 공연
    ○ 가부키와 달리 모두 여자배우 : 가창력/미모, 연예인 팬클럽 능가
    ○ 1막 : 유명 소설 각색->서구 소재
    ○ 2막 : 스토리 없는 쇼 무대

 

 

3. 한국의 뮤지컬

 

  1) 판소리
    ○ 18세기 중엽 일인극 공연 형식
    ○ 20세기 초 배우들 등장하는 창극으로 발전

 

  2) 신파극
    ○ 영화가 등장하며 인기가 추락 -> 악극

 

  3) 악극
    ○ 1930년대 말 타카라츠가 내한공연에 자극->서구화된 편곡과 반주
    ○ 6.25 전쟁 중 퇴장

 

  4) 예그린
    ○ 1961년 본격 뮤지컬 극단 예그린 악단 - 살짜기 옵서예(1966)
    ○ 현대 뮤지컬 이해->대중음악가 최창권의 가세

 

  5) 세계4강 제작국

    ○ 제작자들의 가세, 대형수입물 범람, 뮤지컬 협회, 공모전, 쏟아지는 창작물들 등


 

  6) 소극장 작가들의 대두

    ○ 대형/중형 뮤지컬의 포화

    ○ 배우/스태프 공급을 위한 소극장 문화

    ○ 벤처기업의 아픈 경험

 

 

4. 유럽의 뮤지컬

 

  1) 뒤늦은 자각
    ○ 대륙 뮤지컬 축스타의존이 아닌 독보적 개성->아크로바틱, 상징적 무대, 예술성
    ○ 아직 가세한 수준

 

  2) 프랑스의 3대 뮤지컬
    ○ 노트르담 드 파리 : 1998년 프랑스 초연, 천만자의 음반 판매, 프랑스 국민 뮤지컬
    ○ 십계 : 스펙터클, 블록버스터 뮤지컬
    ○ 로미오와 줄리엣 : 2년 동안 트레이닝 시킨 배우들

 

  3) 독일어권 뮤지컬

    ○ 오스트리아와 독일이 주측, 영미권 작품 번역 번한 위주
    ○ 오스트리아의 움직임 - 뮤지컬 모차르트

 

  4) 이탈리아 뮤지컬

    ○  뮤지컬< 일 삐노끼오>

      ▷ 이태리 작각 까들로 꼴로디의 작품->2003년 밀라노 초연,

      ▷ 이탈리아 오페라의 품위에 브로드웨이 뮤지컬 결합->새로운 양식->아직 미지수

 

  5) 체코 뮤지컬
    ○ 동유럽의 새로운 작품을 찾는 사람들

    ○ 음악적 국가이면서 공연의 국가, 약소국의 정서

    ○ 드라큘라, 햄릿, 삼총사, 살인마 잭

 

  6) 유럽 뮤지컬의 향방
    ○ 영국 : 후속작 미미

    ○ 미국: 수입 뮤지컬 시장화
    ○ ‘스케일도 질렸다. 개성 있는 뮤지컬 없나?’를 고민
    ○ 개성 심화가 관건

    ○ 프랑스는 드라마가 약하고, 체코는 임팩트가 떨어짐

 

 

5. 뮤지컬의 앞날

 

  1) 다시 극장을 찾는 사람들

    ○ 극장으로 다시 끌어들이는 큰 손 : 뮤지컬
    ○ 발전 요소들을 재배급 : 타 무대예술까지 활기

 

  2) 향후 패권 : 영국과 미국의 기 싸움
    ○ 쟁탈전에 합류 가능한 국가들 리스트 : 중국의 무서운 경극
    ○ 중요한 것은 a.대중이 목표, b.강력한 기획력, 탄탄한 제작 여건
       ▷ 예술성이나 실현성은 그 이후의 문제

 

  3) 두 얼굴-> 3천년 전의 것, 겨우 100년 된 것
    ○ 갈등과 반전의 역사 : 아무도 장담 못한다
    ○ “인류에는 반전의 역사가 있고, 뮤지컬도 인류가 하는 일이기 때문”

 


※ 감상해야 할 작품 리스트

 

  - Try to remember - Fantastics
  - This is the moment - 지킬과 하이드
  - Once upon a dream - 지킬과 하이드
  - Le Temps des cathedrales(대성당의 시대) - 노트라담 드 파리
  - 천국의 문 - 드라큘라

 

반응형
:

[4강] 명작열전(2) - 영국의 역습

카테고리 없음 | 2012. 7. 27. 07:13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록 뮤지컬의 개념

 

  1) 1969년 토미

    ○ 록 시대의 거성 비틀즈, 롤링스톤즈->연주에만 전념

    ○ 그룹 The who

      ▷ 록 정신에 입각한 록 뮤지컬<토미(Tommy)>

      ▷ 반항아들 이야기

      ▷ 바보가 된 어린 소년이 등장

      ▷ 왜곡된 성장 과정

      ▷ 기성세대의 부도덕성

      ▷ 1907년 뉴욕으로 건너가 매트로폴리탄 오페라 공연


  2) 1971년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헤어(1968),토미(1969)와 함께 세계 3대 록 오페라

    ○ 미국 뮤지컬 제압의 신호탄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영국 뮤지컬의 부흥

    ○ 향후 미국 시장을 흔들어 놓게 되는 영국 뮤지컬

    ○ 엔드루 로이드 웨버

      ▷ 원래 영국 왕립음악학교에서 작곡을 가르치던

      ▷ 조기 교육으로 관현악 편곡까지 할 수 있는 실력

      ▷ 이후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악에 심취

      ▷ 대중적인 록 음악으로 진로 변경



2. 앤드루 로이드 웨버


  1) 특징

    ○ 강한 소재

      ▷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기 전까지의 일주일간

      ▷ 인간적인 갈등으로 묘사

      ▷ 배신자 유다에게 많은 변론의 기회

      ▷ 창녀인 막달라 마리아가 예수를 남자로서 사모

      ▷ 강한 록 사운드

      ▷ 저주와도 같은 비판/경악에 가까운 찬사


    ○ 팀 라이스

      ▷ 소재 자체부터 발상의 전환->뮤지컬 계의 무서운 소재

      ▷ 몸에 밴듯한 탄탄한 극전개->전통적인 영국 연극의 영향 탓


    ○ 영국에서 부는 바람

      ▷ 미국에서 시작된 오리지널 캐스트 레코딩 붐

      ▷ 그것을 입은 음반 작업->대히트

      ▷ 영국으로

        ->저렴해진 항공운임

        ->런던으로 날아드는 미국인들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동기


    ○ 미국 상륙 작전

      ▷ 웨버의 작품들 속속 브로드웨이에 상륙

      ▷ 본격적으로 미국 뮤지컬 제압

      ▷ 에비타(1978)

        -> 천한 신분에서 퍼스트 레이디가 되기까지 영국 공연을 끝내고 브로드웨이 진출->빅히트

        -> 1981년 발표된 캐츠와 함께 20년 가까이 브로드웨이를 장악


    ○ 음반의 위력

      ▷ 토미,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에비타의 공통점

        ->레코드 산업의 덕을 톡톡히 본 작품들

        ->모두 음반부터 알려져 흥행

        ->뮤지컬 제작 규모상 그러한 절차를 밟는 것이 도움

        ->뮤지컬의 음악들이 대중 음악계보의 한 부분을 차지


3. 춤과 연출력의 가세


  1) 댄스의 가세 - 캐츠(1981)

   ○ 미국보다 댄싱이 부족하다는 지적

      ▷ 대사가 거의 없는 오페라 형식의 음악으로 시작

      ▷ 그것으로 색다른 관심

      ▷ 반면, 오페라 형식의 것은 지나치게 음악에 의존

      ▷ 무대를 장악하는 동적 요소들을 도외시

      ▷ 음악에 치여 무대 요소가 들어갈 여지가 부족


    ○ 대안으로 나선 캐츠 - 연출력의 결과


  2) 연출가 트레버넌

    ○ 정규연극으로 다져진 연출가의 필요성

    ○ 영국 왕립 셰익스피어 극단의 예술 감독, 관객들의 감동 요소 간파하는 전문가

    ○ 뮤지컬에 영국의 오래된 연극 정신을 결합, 합리적이고 총체적인 무대 예술

    ○ 격조있는 현대 뮤지컬의 정형을 남기는 업적, 무대미술가 내피어의 가세

    ○ 품격을 지니면서도 가장 완벽한 엔터네인먼트를 추구


  3) 보편성 획득


    ○ <토미>,<에비타>영국 특유의 뮤지컬 시대


    ○ <캐츠>

      ▷ 영국의 드라마성 견지와 동시에 가장 보편적인 세계 뮤지컬 무대성

      ▷ 중요한 인식 전환의 결과



4. 영국 국립극단의 지원


    ○ <캐츠>의 성공으로 국가 차원의 지지를 획득

    ○ 국립극단가지 동참

      ▷ 영국 왕립 극단과 국립 극단이 뮤지컬에 참여

      ▷ 재정적인 이유도 한 몫

    ○ 영국의 고차원 연극 정신과 다져진 인적 자원의 투입

      ▷ 보다 중후한 뮤지컬이 탄생될 것임을 예고 



5. 제작자 매킨토시

 

    ○ 뮤지컬 빅4와 그 제작자

      ▷ 세계 뮤지컬의 빅4 - 모두 영국의 작품

        -><캐츠>(1981),<레미제라블>(1986),<오페라의 유령>(1986),<미스 사이공>(1987)

      ▷ 탁월한 기획력이 바탕

      ▷ 홍보가 없으면 작품도 사라질 것

      ▷ 캐머린 매킨토시- 빅4 모두 제작

        -><캐츠>공동제작, <레미제라블>단독제작, <오페라의 유령>웨비와 공동제작,

      ▷ <미스 사이공> 다시 단독 제작

 

   ○ 빅4의 제작 스토리


  (1) <레미제라블>(1986)

      ▷ 댄스에 대한 기대에 완전히 등을 돌린 작품

      ▷ 오히려 더욱 영국적인 드라마 구조를 갖고 승부를 걸었던 점

        ->어떠한 비극일지라도 완벽하게 소화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

        ->유럽식 서적 뮤지컬이란 말의 등장


  (2) <오페라의 유령>(1986)

      ▷ 공연 일년 전에 음반 출시- 공연에 대한 기대감 극대

      ▷ 빅4중에서 가장 많이 예매가 된 작품으로 기록

      ▷ 고전적인 오페라풍의 음악을 전편에 배치->고품격 분위기 자랑, 클래식인들의 갈채


  (3) <미스 사이공> (1987)

      ▷ 영국에 의한 미국적 소재

      ▷ 월남판 오페라 <나비부인>, 처음부터 미국 시장을 겨냥

      ▷ 과감한 투자

        -> 무대에 실물 크기의 헬리곱터를 등장시켜 운행

        -> 기획력과 함께 거대 투자금으로 브로드웨이 장악



6. 뮤지컬 메카 웨스트 엔드


    ○ 셰익스피어 후손의 거리

        ->런던 국립 미술관을 중심으로 늘어선 극장가


    ○ 뮤지컬거리

        ->웨버 효과, 브로드웨이 제작 편수를 넘는 작품들, 미국을 제압했다는 자신감


    ○ 원조를 찾는 관광 효과

        ->빅4 공연의 진원지



※ 꼭 감상해야할 작품 리스트

     - I don't know how to love him -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

     - Don't cry for me Argentina - 에비타

     - Memory - 캐츠

     - On my own - 레미제라블

     - The Phantom of opera - 오페라의 유령

     - I still believe - 미스 사이공


반응형
:
반응형


1. 분야별 개선 방안


  ○ 고비용 정치구조 개선

    ▷ 지구당 운영 폐지(정당법, 공직선거법, 정치자금법)


  ○ 공직자 비리 조사처 신설

    ▷ 2009년 대법관 재판 개입 사례


  ○ 청렴교육 의무화: 기관별 평가


  ○ 내부고발자 보호

    ▷ 공기업->사기업 영역까지 확대

    ▷ 일반인의 인식 변화 필요


  ○ 수사기관의 철저한 독립

    ▷ 직위고하 막론하고 수사하고 처벌할 수 있어야


  ○ 정보공개 강화 : 공기업, 교육기관


  ○ 대통령과 측근들의 청렴 실천 의지


  ○ 사법부의 엄정한 법집행


  ○ 감사원, 감사기구의 활성화


  ○ 공기업 감시

    ▷ 정치권 낙하산 인사 금지


반응형
:

[9강] 한국 부패의 특징

직무관련/청렴국가로 가는 길 | 2012. 7. 26. 11:3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한국 부패의 특징

 

  ○ 학연,지연,혈연 등의 구조적 상납

    ▷고리로 얽혀 상납 형태를 띤다.


  ○ 오랜 역사

    ▷ 예로부터 국민을 통치 내지는 지배의 대상


  ○ 일상에 만연
    ▷ 정치인, 고위 공직자 등에 편중되지 않고 민간부분까지 만연

 

  ○ 약한 처벌

    ▷ 처벌이 약하다(그래서 재발된다.)

    ▷ 유전무죄(有錢無罪) 무전유죄(無錢有罪)

 

 

2. 사회환경 변화

 

  ○ 네트웍 강화
    ▷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여건

 

  ○ 정보공개 보편화

    ▷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 사회감시기능 강화(시민단체, 언론)

 

  ○ 기대치 향상

 

 

3. 부패문제 처리 방식 (청렴/부패)

 

  ○ 공직에 대한 인식: 국민에 봉사/국민 위에 군림

 

  ○ 거짓해명 : 높은 처벌/약한 처벌
    ▷ 1도 2부 3빽(일단 도망, 무조건 부인, 빽 총동원)

 

  ○ 고위공직 : 특권의식 부재/만연한 특권의식

 

  ○ 사법부 : 철저한 독립/이중잣대, 처벌의 형평성(공평/편파)

 

  ○ 사면권 : 제한적, 한정적/무분별

반응형
:
반응형

1. 거장들의 실험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 뮤지컬 - 브로드웨이의 거대도시화


  2) 1920년대 오스카 햄머슈타인2세/제롬캔
     ○ <쇼 보>(1927)

        ▷ 최초의 심리묘사극, 높은 극성, 선명한 주제의식(인종문제를 주제로)
        ▷ 동시에 대중적 노래 지향,: '뮤지컬 넘버'란 개념 사용
        ▷ 현대 뮤지컬의 시초로 자리 매김
     ○ 향후 <남태평양>(1949), <왕과나>(1951), <사운드오브뮤직>(1959) 등의 극본 작가


  3) 1930년대 조지 거슈인
     ○ <너를 노래한다>(1931, Of Thee I Sing) :  퓰리처상 수상, 뮤지컬 사상 처음, 뮤지컬 위상의 격상
     ○ <포기와 베스>(1935)

        ▷ 듀보스 헤이워드의 원작 소설, 주제곡 Summer Time
        ▷ 스펙타클보다는 노래와 댄스의 완벽한 조화에 관심을 둠


  4) 뮤지컬 넘버의 진보된 개념 정립시기
     1) 이야기 톤 조절 기능  2) 관객 집중 유도 기능  3) 플롯을 진행시키는 기능

 

 

2. 뮤지컬 소재의 혁신


  1) 1940년대 토니상의 등장
     ○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줄어든 공연으로 작품 숙성기
     ○ 토니상 제정(1946)

   <토니상이란?>

   창시자 Antoinette Perry 여사가 타계한 연도, 뮤지컬의 아카데미상, Antoinette Perry Awards 여사의 약칭인 ‘토니’로 쓰기로 하면서 1980년대부터 토니상으로 불려짐. 전국 TV 생중계, 미국의 아카데미상과 함께 세계적인 상으로 자리잡음

 

  2) 1950년대 문학적인 소재
     ○ <마이 페어 레이디>(1956)

        ▷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 각색작, 문학적 소재의 시초, 연극과 대등한 위상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58)

        ▷ '로미오와 줄리엣' 번안, 지휘자 레오나드 번스타인의 작곡
     ○ 기타 : <사운드 오브 뮤직>, <아가씨와 건달들>, <파자마 게임>

 


3. 록 뮤지컬과 현대 뮤지컬


  1) 1960년대 저항의 뮤지컬
     ○ 유럽의 메인 컬처 부정
     ○ 2차 대전후 태동한 록 음악
     ○ <헤어>(1968)

         ▷ 캘리포니아에서 출발 브로드웨이 상륙, 월남전 파병 반대
         ▷ 평화주의자 희피들의 이야기, 치열한 주제의식과 도발적 표현
         ▷ 만만찮은 냉소주의 철학, 외설과 나체로 파문
         ▷ 영국에 록 뮤지컬의 빌미를 제공(비틀즈, 로링스톤즈 등)
         ▷ 간소한 무대 : 뮤지컬에도 자유로운 무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


  2) 1970년대 격변기를 지나
     ○ 격변기 이후 권선징악, 해피엔딩 작품들
     ○ <코러스 라인>(1975)
         ▷ 미국 현대 뮤지컬의 정착 : 가장 미국적인 현대 뮤지컬
         ▷ 배우 개개인의 댄스와 가창력을 특별히 배려
         ▷ 한 집단 내의 아기자기한 이야기들, 개인의 특기가 극을 동일성 있게 이어가는 축
         ▷ 각종 등장인물들의 개성을 잘 살린 춤 : 뮤지컬 댄스의 새로운 지평
         ▷ 이후 개인의 화려한 기술을 중시하는 형태 : 미국 현대 뮤지컬의 주류

 


4. 뮤지컬 천국 브로드웨이


  1) 부흥의 견인차
     ○ 발달된 교통수단이 안 몫 : 한 장소에서 안정된 공연
     ○ 뉴욕시의 정책 : 관광명소화 함


  2) 오리지널 캐스트 레코드
     ○ 브로드웨이를 고부가 가치의 장으로
     ○ 공연 보고싶은 욕구 부추기기
     ○ 블로드웨이에 본기지 두는 음반사들 : 콜롬비아 방송, RCA Victor


  3) 마지막 변수 : 높은 티켓 가격 - 위험한 수준


※ 꼭 감상해야할 작품 리스트
     - Summer Time - <포기와 베스>
     - Tonight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My Favorite Thing - <사운드 오브 뮤직>
     - Aquarius - <헤어>
     - One - <코러스 라인>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