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장들의 실험
1)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미국 뮤지컬 - 브로드웨이의 거대도시화
2) 1920년대 오스카 햄머슈타인2세/제롬캔
○ <쇼 보트>(1927)
▷ 최초의 심리묘사극, 높은 극성, 선명한 주제의식(인종문제를 주제로)
▷ 동시에 대중적 노래 지향,: '뮤지컬 넘버'란 개념 사용
▷ 현대 뮤지컬의 시초로 자리 매김
○ 향후 <남태평양>(1949), <왕과나>(1951), <사운드오브뮤직>(1959) 등의 극본 작가
3) 1930년대 조지 거슈인
○ <너를 노래한다>(1931, Of Thee I Sing) : 퓰리처상 수상, 뮤지컬 사상 처음, 뮤지컬 위상의 격상
○ <포기와 베스>(1935)
▷ 듀보스 헤이워드의 원작 소설, 주제곡 Summer Time
▷ 스펙타클보다는 노래와 댄스의 완벽한 조화에 관심을 둠
4) 뮤지컬 넘버의 진보된 개념 정립시기
1) 이야기 톤 조절 기능 2) 관객 집중 유도 기능 3) 플롯을 진행시키는 기능
2. 뮤지컬 소재의 혁신
1) 1940년대 토니상의 등장
○ 제2차 세계대전 발발 : 줄어든 공연으로 작품 숙성기
○ 토니상 제정(1946)
<토니상이란?> 창시자 Antoinette Perry 여사가 타계한 연도, 뮤지컬의 아카데미상, Antoinette Perry Awards 여사의 약칭인 ‘토니’로 쓰기로 하면서 1980년대부터 토니상으로 불려짐. 전국 TV 생중계, 미국의 아카데미상과 함께 세계적인 상으로 자리잡음 |
2) 1950년대 문학적인 소재
○ <마이 페어 레이디>(1956)
▷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 각색작, 문학적 소재의 시초, 연극과 대등한 위상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58)
▷ '로미오와 줄리엣' 번안, 지휘자 레오나드 번스타인의 작곡
○ 기타 : <사운드 오브 뮤직>, <아가씨와 건달들>, <파자마 게임>
3. 록 뮤지컬과 현대 뮤지컬
1) 1960년대 저항의 뮤지컬
○ 유럽의 메인 컬처 부정
○ 2차 대전후 태동한 록 음악
○ <헤어>(1968)
▷ 캘리포니아에서 출발 브로드웨이 상륙, 월남전 파병 반대
▷ 평화주의자 희피들의 이야기, 치열한 주제의식과 도발적 표현
▷ 만만찮은 냉소주의 철학, 외설과 나체로 파문
▷ 영국에 록 뮤지컬의 빌미를 제공(비틀즈, 로링스톤즈 등)
▷ 간소한 무대 : 뮤지컬에도 자유로운 무대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
2) 1970년대 격변기를 지나
○ 격변기 이후 권선징악, 해피엔딩 작품들
○ <코러스 라인>(1975)
▷ 미국 현대 뮤지컬의 정착 : 가장 미국적인 현대 뮤지컬
▷ 배우 개개인의 댄스와 가창력을 특별히 배려
▷ 한 집단 내의 아기자기한 이야기들, 개인의 특기가 극을 동일성 있게 이어가는 축
▷ 각종 등장인물들의 개성을 잘 살린 춤 : 뮤지컬 댄스의 새로운 지평
▷ 이후 개인의 화려한 기술을 중시하는 형태 : 미국 현대 뮤지컬의 주류
4. 뮤지컬 천국 브로드웨이
1) 부흥의 견인차
○ 발달된 교통수단이 안 몫 : 한 장소에서 안정된 공연
○ 뉴욕시의 정책 : 관광명소화 함
2) 오리지널 캐스트 레코드
○ 브로드웨이를 고부가 가치의 장으로
○ 공연 보고싶은 욕구 부추기기
○ 블로드웨이에 본기지 두는 음반사들 : 콜롬비아 방송, RCA Victor
3) 마지막 변수 : 높은 티켓 가격 - 위험한 수준
※ 꼭 감상해야할 작품 리스트
- Summer Time - <포기와 베스>
- Tonight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My Favorite Thing - <사운드 오브 뮤직>
- Aquarius - <헤어>
- One - <코러스 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