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63 Page)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07 00:12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2623

  1. 2012.07.04 [1-3강] 대영백과사전 vs 위키피디아
  2. 2012.07.03 [1-2강] 잠재지 풀려나다
  3. 2012.07.02 [1-1강] 누구나 지식인이 되는 세상
 

[1-3강] 대영백과사전 vs 위키피디아

카테고리 없음 | 2012. 7. 4. 16:5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어떻게 지식을 생산하는가?

  ① 오마이뉴스 - 기자 4만 명, 기존 뉴스매체와 다름, 다양한 계층 존재

  ② 대영백과사전 - 지식의 결정체

  ③ 위키피디아 - 많은 기고자, 무료

 

2. The worth of Networks - Yochai Benker의 개념

 - 사회적 생산방식 peer production(동료생산)의 등장

  ① 물리적인 자본은 아무나 가질 수 없으므로 생산을 할 수 있는 주체는 제한되어 있다.

  ② 물리적자본의 불필요성 : 생산에서 물리적 요건이 완화,

                                        비 시장적이고 비 소유적인 동기와 조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게 됨

  ③ 산업경제에서 네트워크정보경제로 넘어오면서 생산의 물리적 요건이 완화

     예) 위키피디아의 사례 : 엄격한 기고와 편집방식에서 개방적 기고와 편집방식으로 전향,

                                      2008년 현재 1천만 개 항목, 75% 비 영어권, 90회 편집

 - 동료생산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 : 공유지식의 영역에 근거

 

3. 인터넷의 진정한 힘은 혁신을 위한 공유지였으나 점점 약화 됨

  ① 인터넷이 창조적인 공간으로 남기 위해서는 공유지식을 보존하기 위한 집단적 노력이 필요

 

4. 디지털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변화

 - 지식의 생산방식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

반응형
:

[1-2강] 잠재지 풀려나다

카테고리 없음 | 2012. 7. 3. 14:1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지식의 내용 변화

 

2.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산된 지식의 특징

  ① 전문가 집단이 인정한 지식 - 예) 전문학술지

  ② 표준화된 지식 - 예) 교과서

  ③ 시공간적으로 보편화된 지식

  ④ 상품가치가 있는 지식 - 예) 책 출판

  ⑤ 부의 창출에 기여하는 지식 - 예) 연구보고서

  ⑥ 이데올리기로서의 지식 - 생산자의 편향성을 반영하기 때문

 

3.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변화가 새로운 지식들을 지식대열에 추가하고 있음

  ① 사람들의 주목을 끄는 지식(보편성, 일반성이 부족해도 상관 없음)

  ②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켜 주는 지식(질투심, 경쟁심, 애국심 등으로 지식 생산)

 

4. 파생적 결과

  ① 전통적 지식인들의 입지 축소

  ② 암묵적 지식의 대부분이 형식적으로 전환 -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 "우리는 말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5. 지식의 탈신비화 : 지식의 독점 깨짐 - 더 이상 엘리트 없음

 

6. 대중들이 생산한 지식이 열등한가? - 쉽게 판단할 수 없다.

  예) 일반 대중이 찍어 올린 유투브의 명강의 동영상

반응형
:

[1-1강] 누구나 지식인이 되는 세상

카테고리 없음 | 2012. 7. 2. 16:48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정보사회의 획기적인 변화 :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의 변화

 

2. 디지털 기술 변동이 가져온 구조적 변화 :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변화

  ① 저비용으로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생김

  ② 누구나 물리적 제약 없이 다수를 향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가 생김

  ③ 혼자서도 자신이나 자신이 속한 집단의 뜻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김

 

3. 정보사회를 분석하는 축 : 지식, 참여, 이동

  ① 지식 : 지식 생산의 주체가 누구인가?

     - 지식 생산자는 소수의 엘리트, 소비자는 대중

     - 디지털 정보기술이 등장하면서 지식산업에서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이 없어짐

  ②  참여 : 지식 생산에 아무나 참여

  ③  이동 : 지식이 사이버 공간으로 이동하기 시작.

 

4. 유튜브, 블로그 등 주체가 바뀌면서 무슨 일 일어났나?

 

5. prosuming(엘빈 토플러) - <부의 미래>

  ① 뜻 : 전문적인 소비자(professional consumer)

  ②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참여하는) 소비자(produce + consumer

  ③ 생산을 직접 하는 소비자(producing consumer)

  ④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소비자(proactive consumer)

 

6. prosumer가 증가하는 이유

  ① 여가 증대 : 현대사회가 생산성이 높은 사회가 되어서

  ② 탈물질주의적 경향 : 삶의 질을 추구하므로

  ③ 소비자 권리의식 향상 + 단체 활동 경비 축소

     - 수동적 소비자에서 능동적 소비자로 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

  ④ 생산방식의 변화 : 유연한 생산방식

  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지식기반 생산에 있어서 다수의 협력을 쉽게 만듬

 

7. 프로슈머의 정신 : 선진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

  - 보건의료(의료지식 확산, 가정의 의료기기 보급, 학교에서 기초의학 교육하여 예방, 관리)

  ① 도덕경제 : 영국 농촌에서 시장 관계적으로 변하는 것에 위협 느껴 공동체 지키기 위해 저항

 

8. 도덕경제적 성격을 지닌 사회의 특징

  ① 비 시장적인 동기나 가치를 중시

  ② 자율적 집단행동 (예, 쇠고기 수입 개방 반발 촛불집회)

    - 정보사회의 주요한 특징으로 등장하는 도덕경제의 힘에 주목해야 함.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