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떻게 지식을 생산하는가?
① 오마이뉴스 - 기자 4만 명, 기존 뉴스매체와 다름, 다양한 계층 존재
② 대영백과사전 - 지식의 결정체
③ 위키피디아 - 많은 기고자, 무료
2. The worth of Networks - Yochai Benker의 개념
- 사회적 생산방식 peer production(동료생산)의 등장
① 물리적인 자본은 아무나 가질 수 없으므로 생산을 할 수 있는 주체는 제한되어 있다.
② 물리적자본의 불필요성 : 생산에서 물리적 요건이 완화,
비 시장적이고 비 소유적인 동기와 조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게 됨
③ 산업경제에서 네트워크정보경제로 넘어오면서 생산의 물리적 요건이 완화
예) 위키피디아의 사례 : 엄격한 기고와 편집방식에서 개방적 기고와 편집방식으로 전향,
2008년 현재 1천만 개 항목, 75% 비 영어권, 90회 편집
- 동료생산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 : 공유지식의 영역에 근거
3. 인터넷의 진정한 힘은 혁신을 위한 공유지였으나 점점 약화 됨
① 인터넷이 창조적인 공간으로 남기 위해서는 공유지식을 보존하기 위한 집단적 노력이 필요
4. 디지털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커뮤니케이션 구조의 변화
- 지식의 생산방식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