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당사주⑨ - 가택궁(家宅宮)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07 00:12

당사주⑨ - 가택궁(家宅宮)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30. 07:4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사주(四柱) 상의 가택 좌향(坐向)

  주택과의 인연과 어느 좌향의 가택이 자신에게 합당한가를 찾는다.

  보는 법은 생시(生時)로 찾는다.

생시(生時) 가택궁(家宅宮)
()
(23:30~01:30)
자귀(子貴)
()
(01:30~03:30)
축액(丑厄)
()
(03:30~05:30)
인권(寅權)
()
(05:30~07:30)
묘파(卯破)
()
(07:30~09:30)
진간(辰奸)
()
(09:30~11:30)
사문(巳文)
()
(11:30~13:30)
오복(午福)
()
(13:30~15:30)
미역(未驛)
()
(15:30~17:30)
신고(申孤)
()
(17:30~19:30)
유인(酉刃)
()
(19:30~21:30)
술예(戌藝)
()
(21:30~23:30)
해수(亥壽)

 

자귀
(子貴)
초년에 일을 실패하고 고향을 떠나 한번 고생을 한다.
옛터에 오래 살게 되면 물려받은 업을 지키기 어렵다.
집을 임좌(壬坐)에 잡으면 입고 먹는 것이 스스로 족하다.
사람됨이 맑고 곧으니 점차 오복을 갖추리라.
축액
(丑厄)
여러 액이 몸에 따르니 편안하고 고요함을 얻기 어렵다.
축좌미향(丑坐未向)으로 집을 옮기면 운세가 다시 돌아온다.
몸이 편안하고 집이 윤택하니 여생을 스스로 즐길 수 있다.
물가에 집을 지으면 횡액을 만날까 두렵다.
인권
(寅權)
재주와 지혜가 보통이 아니니 이름을 금방에 걸 것이다.
좋은 집터는 어느 쪽일꼬 축좌미향(丑坐未向)의 방위이다.
이 터를 가려서 살게 되면 복록이 스스로 오게 된다.
이른 자식의 운이 좋지 않으니 적선을 많이 하면 면하리라.
묘파
(卯破)
물길이 천리나 멀기만 한데 온갖 파란이 많기만 하다.
만약 화마의 피해가 아니면 물로 말미암아 한번 놀란다.
좋은 터를 도모하려면 사좌해향(巳坐亥向)으로 할 것이다.
늦게 광영이 있게 되니 석숭(큰 부호)의 복이라 부른다.
진간
(辰奸)
지혜와 꾀가 뛰어나지만 스스로 뜻을 정하지 못한다.
일을 경망스럽게 일으키니 흥하고 패함이 자주 있다.
터를 자좌오향(子坐午向)(남향)에 잡으면 흉한 것이 도리어 복으로 된다.
자손이 훌륭히 성장하며 하는 일이 잘 이루어진다.
사문
(巳文)
좋은 터는 어느 곳인가. 묘좌유향(卯坐酉向)(서향)의 집이다.
좋은 방위에 터잡아 살면 일이 뜻대로 통달한다.
좋은 별이 문에 비치니 여러 살이 스스로 사라진다.
사람과 더불어 믿음으로 사귀니 세상이 군자라 칭송하리라.
오복
(午福)
부자집에서 태어났으며 학문을 크게 이룰 수 있다.
가택으로 좋은 방위는 진좌술향(辰坐戌向)의 집이다.
음과 양이 서로 화합하고 서기(瑞氣)가 스스로 일어난다.
권세와 영귀를 겸하였으니 나가면 장수요 들면 정승이다.
미역
(未驛)
몸을 곤한 말에 의탁하고 강산을 두루 돌아다닌다.
돈 씀을 물쓰듯 하나 풍상을 면하기가 어렵다.
좋은 터는 어떤 곳일까. 건좌손향(乾坐巽向)의 집이다.
좋은 터를 잡아 살면 화가 도리어 복으로 된다.
신고
(申孤)
해는 서산으로 지는데 광양한 벌판에 홀로 섰다.
자신의 기교(技巧)를 믿지 마라. 횡액을 당할까 두렵다.
진좌술향(辰坐戌向)에 집터를 잡으면 위난이 스스로 해결된다.
불기운에서 흙이 생하니 점점 전지(田地)를 이룰 것이다.
유인
(酉刃)
뜻을 얻음은 비범하지만 중간에 꺾임이 자주 있다.
사람으로 하여금 해를 입으니 사()년 술()년을 조심하여라.
좋은 집터를 잡으려고 하면 건좌손향(乾坐巽向)으로 정하라.
모든 액이 스스로 없어지고 말년에 크게 발복하리라.
술예
(戌藝)
고기가 변하여 용이 되니 조화가 무궁하기만 하다.
지혜와 꾀가 남보다 뛰어나니 경영하는 일을 이룰 수 있다.
정남향으로 집터를 잡으면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척된다.
일찍이 좋은 집터를 정해 살면 복록이 스스로 올 것이다.
해수
(亥壽)
만리나 멀리 구름이 없으니 바다와 하늘이 한빛으로 푸르다.
문과 무가 겸하여 온전하니 복록이 무진하게 많다.
집터로서 좋은 방위는 정서향에 잡을 것이다.
수와 복을 누리려고 하면 먼저 집의 좌향을 잘 잡아라.

 

2. 주택방위가상법(住宅方位家相法)

  주택은 가족의 안식처다. 주택의 길흉상은 그 가정에 대한 생활 상태와 그 가도(家道)에 대한 길흉상의 연장으로 볼 수 있다. 주택의 가상이 길하면 가정이 부윤(富潤)하여 사업이 발전하고 자손이 영화하고 만사가 형통하듯 좌향의 길흉과 구조의 양상, 환경의 정화에 따라 가운과 가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여기에서 가상에 대한 환경 정화의 일례를 들어 볼 때, 주택의 문경(門經-대문길)이 청정하면 하객이 부절(不節)하고 정경(井徑-우물길)이 청정하면 가도가 불패(不敗)하고 측경(厠徑-화장실)이 청정하면 질병이 불침하나니, 이것도 예로부터 삼경(三徑)의 청정(淸淨)이라 말한다.

  본법은 첫째 주택의 중심에서 이십사방을 정확히 정한 다음 대문, 현관, 부엌, 우물, 하수구, 화장실, 목욕실, 창고, 점포 등이 위치하고 있는 방위의 길흉상을 관찰하여 구조 양상의 개선과 방위의 전환 등으로 가상의 품위를 아담하게 가꿈으로써 가정 생활의 향상과 가도의 부흥 발전을 기할 수 있는 비결이다.(다만, 단독주택이 아닌 공동주택이나 다가구주택이 많은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애매한 면도 있다.)

   방위는 아래 방위표를 참고하면 된다.

방위표

자방
(子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으면 가주(家主)에 위장병이나 가족 중 정신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는 것은 길하고 대문, 변소, 점포는 불길하다.
계방
(癸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어도 지장이 없다. 장독대가 있으면 길하고 화장실도 길하다.
축방
(丑方)
이 방위에 부엌이 있으면 가정에 풍파가 부절하고 오물처가 있으면 환자가 생긴다. 창고가 있으면 불길하다.
간방
(艮方)
이 방위에 부속 건물이 있거나 달아나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면 화재가 난다.
인방
(寅方)
이 방위에 화장실이나 오물처가 있으면 가주(家主)가 중풍병에 걸리고 상속자에게도 재액이 있다. 창고는 불길하다.
갑방
(甲方)
이 방위에 달아나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귀한 자년를 두어 가문에 영화가 있다. 대분, 화장실이 길하고 우물은 특히 대길하다.
묘방
(卯方)
이 방위에 본가보다 높은집이 있으면 타인으로부터 박해와 손재수가 있다. 대문, 화장실, 창고로 불길하다.
을방
(乙方)
이 방위에 부엌이나 우물이 있으면 대길하고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금전의 낭비가 많다. 대문, 화장실은 길하다.
진방
(辰方)
이 바위에 신불(神佛)을 모시면 대길하고 부엌이나 하수구가 있으면 가정이 불화하다.
손방
(巽方)
이 방위에 목욕실이 있으면 가내에 유산(流産)이 있고 화장실이 있으면 화류병자가 생긴다. 신불(神佛)을 모시면 길하다.
사방
(巳方)
이 바위에 부엌, 우물, 화장실 등이 있어도 지장이 없다. 창고도 좋으나 본가보다 높아서는 안된다. 대문도 길하다.
병방
(丙方)
이 방위에 정원이 있으면 길하고 수목은 본가보다 낮아야 좋다.
오방
(午方)
이 방위에 화장실, 오물처가 있으면 불량자가 나고 낮은 수목이 있으면 대길하다. 우물, 하수구가 있으면 눈병이 생긴다. 대문도 불길하다.
정방
(丁方)
이 방위에 하수구가 있으면 주색으로 패가하는 자가 난다.
미방
(未方)
이 방위에 신불을 모시면 대흉하고 오물처가 있으면 불구가 생긴다.
곤방
(坤方)
이 방위에 하수구나 화장실이 있으면 주인이 위장병에 걸리고 주부가 자식을 낳지 못한다.
신방
(申方)
이 방위에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처자에게 불길하다.
경방
(庚方)
이 방위에 하수구, 화장실, 목욕실이 있어도 좋다. 신불을 모시면 가정이 번영한다.
유방
(酉方)
이 방위에 하수구, 기타 오물처가 있으면 딸이 가출한다. 대문, 화장실도 불길하다.
신방
(辛方)
이 방위에 들어간 간수(間數)가 있으면 자녀가 부정(不貞)을 범한다. 화장실은 길하다.
술방
(戌方)
이 방위에 오물처가 있으면 주인이 병신이 되거나 남과 시비하는 일이 많다. 우물, 창고는 길하다.
건방
(乾方)
이 방위에 신불을 모시면 대길하고 본가보다 높은 창고나 부속 건물이 있으면 만사가 형통하다.
해방
(亥方)
이 방위에 우물, 목욕실, 화장실 등이 있으면 길하고, 창고나 부속 건물이 있으면 가운이 왕성한다.
임방
(壬方)
이 방위에 부엌, 우물, 화장실 등이 있으면 좋다. 기타 오물처가 있어도 무방하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