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홈게이트웨이
○ 홈게이트웨이는 다양한 가정 내 정보 기기들을 외부의 다양한 통신망에 접속시켜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사용자의 간섭 없이 자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정 내 네트워크 장치
- 홈게이트웨이 표준화 단체 및 활동 내용
표준단체 |
활동내용 |
OSGi(Open Service Gateway initiative) |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정의 |
TIA/EIA TR-41.5 |
미국 내의 건물 자동화와 관련되어 효율적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분배하기 위한 홈게이트웨이 표준을 정의 |
ISO/IEC JTC1 SC25 WG1 | 홈게이트웨이의 스펙 및 요구 사항 등을 정의 |
VESA(Video Electronic Standard Association) |
IEEE1394 기술에 근간을 두고 AV 기기, 셋탑박스 등으로 이루어진 홈네트워크 기기를 활용 |
- 홈게이트웨이 분류
○ Telemetry/Control Gateways
- 초기의 홈게이트웨이 형태는 원격 측정을 바탕으로 한 게이트웨이
- 원격지에서 가정에서 소비된 에너지의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구현,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환경을 이용하여 진화
○ Two-Box Broadband Access Gateways
- 기본적인 외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인터넷을 가정의 홈네트워크 장치들로 연결해 주는 게이트웨이로서 홈게이트웨이의 대규모 시장 솔루션
- 기본적으로 이더넷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형태로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이런 형태의 좋은 예로서 Compaq사의 iPAQ Connection Point가 있음
○ Broadband Access Data Gateways
- Two-Box 솔루션과 기능면에서 유사하지만 디지털 모뎀 접속 능력이 있다는 점에서 다름. 디지털 모뎀과 달리 인터넷 공유, NAT나 방화벽과 같은 보안 정책 및 프로토콜 변환기능 등을 포함
- 단기간 내에 확산되기엔 한계가 있으나 서비스 제공 사업자들은 홈게이트웨이 업체들과 함께 가격과 상호운용성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하고 있음
○ Voice/Data Gateways
- 기본적으로 음성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하나로 통합하고자 하는 것
- 주요 특징은 음성 트래픽을 가정으로 전달하고, 보안 서비스, 프로토콜 변환기능 및 스트리밍 비디오 전송 기능 등을 가짐
○ Integrated Services Gateway(ISG)
- 최종단계의 홈게이트웨이 형태로서 궁극적으로 음성, 영상 및 데이터의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홈게이트웨이 표준단체인 Open Services Gateway initiative(OSGi)가 바라보는 목표와 유사
-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대역폭과 QoS 뿐만 아니라 홈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로 다른 종류의 기기 간에 지능적인 프로토콜 변환 및 동적인 우선권을 지정하며, 원격으로 콘텐츠를 전송하고 홈게이트웨이를 관리, 진단 및 업그레이드하는 기능을 가짐
2. 홈서버
- 개념
○ 비디오, 전화, 웹, 전자우편, 팩스 등 가정에 있는 각종 미디어의 정보들을 저장, 통합, 분배하는 일종의 컴퓨터 장치를 의미
○ 홈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들이 아직 정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국가나 업계 단체별로 상정하는 홈서버의 구조 및 기능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
- 대상별 홈서버의 정의
대상 |
홈서버 정의 |
일본 전자업계 |
디지털 TV, 디지털 셋톱박스, DVD 플레이어 등에 대용량 저장 장치가 부가되어, 방송이나 전화 및 인터넷을 통하여 가정으로 들어오는 외부 콘텐츠를 저장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여 필요에 따라 가정 내의 기기들에게 재분배하는 것을 홈서버의 주요 기능으로 정의 |
디지털 방송 업체 |
양방향 기술을 이용한 대화형 TV에서 수신기가 시청자의 기호에 맞는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녹화해 주고,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언제라도 꺼내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통신사업 관련업체 |
외부 네트워크와 홈네트워크 간의 게이트웨이에 원격 관리/제어 및 응용관리 기능을 부가 |
게임기업체 |
게임기에 저장장치와 네트워크 기능을 부가 |
3. FTTH
○ FTTH(Fiber To The Home)의 직접적인 의미는 모든 가입자 가정 내까지 광케이블을 포설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인프라. 현재는 고품질(QoS) 및 대역폭 보장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기술적 제약없이 제공할 수 있는 궁극적인 가입자 네트워크 구조로 이해됨
- 필요성
○ 현재 가입자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초고속인터넷(xDSL), 케이블망(HFC), 랜 기술들은 대역폭을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인터넷 검색에 적합한 품질의 서비스를 저가에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 하지만, 다음과 같은 현재 가입자망들의 단점으로 인해 FTTH 기반의 가입자망 기술의 개발이 필요
▷ IP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서비스와 같이 QoS와 대역폭이 절대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서비스에는 부적합
▷ 최근에 상용화된 50Mbps 초고속디지털가입자회선(VDSL)의 경우에도 최대로 제공 가능한 속도가 50Mbps 라는 의미
▷ 실시간 영상서비스나 IP TV 서비스와 같은 대용량 서비스를 다수의 가입자에게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로 기능 하기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
▷ HFC 기술의 경우 대역폭 확장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가입자 수에 의한 속도 제한이 매우 심각
▷ xDSL의 경우 거리에 따른 속도 제한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xDSL에서 제공하는 최고속도를 향유할 수 있는 가입자는 제한적
▷ 대역폭 공유와 거리 제한 문제로 인해 기존의 가입자망 기술들은 완벽한 대역폭 및 QoS 보장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HD급 이상의 고화질 IP TV 서비스는 제공이 불가능
▷ 우리나라가 xDSL 대량 보급을 통해 확보한 IT 강국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FTTH 분야에서는 매우 낙후
▷ 일본의 경우 이미 FTTH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었으며, 2006년까지 5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