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역학 배우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07 00:12

 

'역학 배우기'에 해당되는 글 15

  1. 2025.01.19 당사주② - 전생론(前生論)
  2. 2025.01.19 당사주① - 일반적인 이야기
  3. 2024.12.25 12신살을 이용한 개운법
  4. 2024.11.24 명리학의 기본정신 2
  5. 2024.11.10 주역 8괘의 괘상과 의미
 

당사주② - 전생론(前生論)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19. 15:2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태어나기 전에 무엇이었고 이 세상에서는 어떤 개성과 특징의 인간으로서 무슨 일을 할 것인가에 대하여 알아보려는 것이다. 보는 법은 각자의 자신의 띠(生年 地支)와 태어난 월(生月)에 따라 아래 표에서 그 해당란의 해설을 보면 된다.

(예를 들면 토끼띠로 음력 6월에 태어났다면 금계(金鷄)의 해당하고 그 해설을 보면 된다. 당사주는 모든 것을 음력으로 찾는다.)

 

봉황
(鳳凰)
쥐가 봉황으로 변했으니 사람됨이 총명하도다.
이르는 곳마다 공이 있어 이름이 사해에 널리 떨친다.
평생 동안 맑은 직업에 종사하며 태평스럽게 편안히 산다.
형살이 명에 들게 되면 한때 위태로운 액운이 있다.
사자
(獅子)
소가 사자로 변했으니 권세와 위엄이 널리 떨친다.
괴로움을 참고 견디니 스스로 큰 성공을 이룬다.
성격에 고집이 많으니 구설수가 두렵다.
일생동안의 직업은 군인, 농업, 토건업이 알맞다.
금계
(金鷄)
범이 금계()로 변하였으니 남에게 공을 베풀어도 덕이 없다.
옛 땅은 이롭지 못하며 타향으로 떠나는 것이 좋다.
매사를 성실히 하지만 손재수가 늘 따른다.
술장사나 요식업을 하면 끝내 성공할 것이다.
노치
(老雉)
토끼가 노치()로 변하였으니 지혜와 꾀가 출중하다.
재주가 넘쳐 박덕하니 중도에 좌절함을 면하기 어렵다.
너무 빨리 이루려 하지 말라. 세월만 헛되게 보낸다.
일생 동안의 좋은 직업은 제조업이나 행상 등이다.
연자
(蓮子)
용이 제비로 변하였으니 자기 마음대로 살 수 있다.
천성이 조급하기는 하지만 널리 인정을 베풀며 산다.
고달픈 노력을 하지 않고서도 입고 먹는 것이 자족하다.
술장사나 여관업을 하거나 관직 생활이 알맞은 직업이다.
홍곡
(鴻鵠)
뱀이 따오기로 변하였으니 모든 일에 실패가 많다.
사는 곳이 편안하지 못하고 마음과 몸이 분주하게 바쁘다.
늘 삼가고 부지런히 힘쓰면 입고 먹는 것이 안정된다.
잡화상이나 옷장사를 하면 끝내 성취할 수 있다.
백록
(白鹿)
말이 사슴으로 변하였으니 몸을 세우고 이름을 드날린다.
널리 세상 사람을 구제하니 사람마다 우러러 공경한다.
집안이 모두 화합하고 오복이 스스로 들어온다.
의사나 정신 노동의 직업이 알맞고 관록직에 종사함이 가장 좋다.
공작
(孔雀)
양이 공작으로 변하였으니 식록이 자연히 유족하다.
선대의 살던 곳은 이롭지 못하고 고향을 떠나 사는 것이 좋다.
부모의 은덕이 그리 많지 않고 좋은 공을 베풀어도 덕이 없다.
기술이나 예술 또는 출판업이 평생의 직업으로 알맞다.
적구
(赤鳩)
원숭이가 비둘기로 변하였으니 재주가 뛰어나고 성질이 온순하다.
집안이 화목 단란하지만 남과는 잘 어울리지 못한다.
초년에는 고달프고 어려움이 있으나 중 말년부터 운이 트인다.
유흥업이나 요식업을 경영하면 큰 돈을 손에 넣을 수 있다.
주작
(朱雀)
닭이 주작(공작)으로 변하였으니 이루고 패함이 자주 있다.
초년은 한스러움도 많지만 중년이 되면 운수가 돌아온다.
언변이 남보다 뛰어나지만 형벌의 액운이 두렵다.
농업, 상업, 의사 등에 종사하면 성공을 기대할 수 있다.
청학
(靑鶴)
개가 학으로 변하였으니 한 평생을 태평하게 산다.
처세를 맑고 곧게 하니 명성은 높으나 이익은 박하다.
분수 밖의 것을 탐하지 마라. 어려운 가운데에 즐거움이 있다.
언론, 예술계에 종사하거나 교사의 직업이 알맞다.
앵무
(鸚鵡)
돼지가 앵무새로 변하였으니 언변이 남보다 능하다.
성공, 실패가 빈번하게 많으나 끝내 회생할 것이다.
지혜와 꾀가 출중하고 큰 포부가 남보다 뛰어나다.
법조계, 변호사 또는 의사나 언론계에 종사하면 좋다.

 

 

 

 

 

 

 

 

 

 

반응형
:

당사주① - 일반적인 이야기

역학 배우기/당사주 | 2025. 1. 19. 15:03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일반 사주와는 보는 방법이 다르다. 일반 사주는 생년월일시에 해당되는 간지(干支)의 상생·상극과 오행의 강약, 대운(大運)과 세운(歲運)의 순환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는 법이지만, 당사주는 간지의 상생과 상극에는 상관이 없고 오직 12성의 조우(遭遇)로 길흉을 판단한다.

  이 점법은 원래 당나라 때 이허중(李虛中)이 하늘에 있다고 하는 천귀(天貴천액(天厄천권(天權천파(天破천간(天奸천문(天文천복(天福천역(天驛천고(天孤천인(天刃천예(天藝천수(天壽)12성을 인간의 생년월일시와 관련시켜 인간의 길흉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당사주라고 불렀다.

  그 뒤 송나라의 서자평(徐子平)이 이허중의 설에 간지·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길흉을 가미하여 연해자평(淵海子平)을 지었는데, 뒤에 당사주와 사주로 분리되어 발달하였다.

  우리나라에 들어와서는 민간의 신앙으로 발전되어 이허중의 원문에 그림을 삽화하여 서민들이 알기 쉽게 만들어졌다.

  이에 따르면 일생을 초년·중년·말년·평생 등 4단계로 구분하고 인명(人命골격(骨格유년행운(流年行運심성(心性)·12(부모·형제·부부·자녀·직업·길흉·가택·신상·관살(關煞수명 등 인간생활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관계가 있는 사항이 모두 첨가되어 있어, 사람의 일생을 예견하고 자기가 나아가는 방향을 결정하는 데 참고가 되게 하였다.

  당사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당나라 개국 전후의 중국 역사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고조로 알려진 이연 장군은 원래 터키계의 피가 반은 섞인 인물로 서기 618년 수()나라를 제거하고 당나라를 개국하였다. 그 후 아라비아인들에 의해 회교 사원이 세워지고 그 문화가 급속도로 중국 내로 전파되었다. 원래 점성술은 중동지역의 아라비아인들에 의해 시작되고 전파되었다. 따라서 당사주는 당나라 개국 이래 아라비아 문명과 함께 들어온 점성술이 중국인들의 의식구조에 맞도록 정리된 것이다. 일부 전문인들은 당사주를 정통 명리학이 아니라 하여 가볍게 여기는 경우도 있지만 당사주만으로도 귀신같다는 평을 듣는 유명 역술인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당사주는 연구해 볼 가치가 충분히 있다. 또한 옛날 시골 노인들이 손가락만 짚고도 사주를 보았다는 그 학술이 바로 당사주인 것이다.

  당사주는 인간의 운명이 12개의 성좌에 의해 주재 된다는 설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12 성좌와 인간의 운명을 주재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참고자료: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3895)

 

당사주(唐四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2. 뒤죽박죽 지식마당 - 당사주 보는법( https://audg11.tistory.com/15784398 )

 

당사주 보는 법

사주는 맞는다고도 안맞는다고도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사주가 아무리 좋아도 사람의 됨됨이가 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사주를 보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을 먼저 알고 사주를 보아

audg11.tistory.com

                   3. 무료 당사주 보는 곳: https://www.asiae.co.kr/fortune/saju.htm?v=HERITAGE

 

아시아경제 사주·운세 - 당사주

평생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그림 점

www.asiae.co.kr

 

반응형
:

12신살을 이용한 개운법

역학 배우기/명리학 | 2024. 12. 25. 21:12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어제 배운 건데 까먹지 않기 위해 인터넷 구글링을 통해 내용을 좀 더 보충해서 요약해봤습니다.

 

1. 12신살 방향

띠별 亥(돼지)·卯(토끼)·未(양) 巳(뱀)·酉(닭)·丑(소) 申(원숭이)·子(쥐)·辰(용) 寅(호랑이)·午(말)·戌(개)
반안살(攀鞍殺)
(좋은 색)
辰(동남) - 4시 방향
(황금색)
戌(북서) - 10시 방향
(황금색)
丑(북동) - 1시 방향
(황금색)
未(남서) - 7시 방향
(황금색)
장성살(將星)
(나쁜 색)
卯(동) - 3시 방향
(파란색)
酉(서) - 9시 방향
(흰색)
子(북) - 12시 방향
(검은색)
午(남) - 6시 방향
(빨간색)
도화살(桃花煞)
(긍정적인 색)
子(북) - 12시 방향
( 검은색 )
午(남) - 6시 방향
( 빨간색 )
酉(서) - 9시 방향
(흰색)
卯(동) - 3시 방향
( 파란색 )
천살(天殺) 戌(북서) - 10시 방향 辰(동남) - 4시 방향 未(남서) - 7시 방향 丑(북동) - 1시 방향
재살(財殺)
(색상)
酉(서) - 9시 방향
(흰색)
卯(동) - 3시 방향
(파란색)
午(남) - 6시 방향
(빨간색)
子(북) - 12시 방향
(검은색)
육해살(六害殺) 午(남) - 6시 방향 子(북) - 12시 방향 卯(동) - 3시 방향 酉(서) - 9시 방향

 

 

2. 일반적인 이야기(회사원이나 가정주부의 경우 가정집 기준) - 본인의 띠(생년)로 찾는다.

   - 장성살은 해로운 기운이 나오는 방향이고 옷이나 침구류도 해당색은 당사자에게 불길하다.

   - 반안살 방향은 항상 평온, 안정, 편리함을 주는 방향이다.

   - 잠잘 때는 반안살 방향으로 머리를 둔다.

     (여명은 남편 기준이나, 가정의 주소득원이 부인일 경우에는 남편이 부인의 기준으로 따르면 된다.)

   - 상·하수도, 육해살 방향은 항상 깨끗하게 청소해야 한다.

   - 집안에 금고를 둘 경우 반안살 방향에 둔다.

   - 공부할 때는 천살 방향으로 책상을 둔다.

   - 남자에게 좋은 색상은 재살이다.

 

3. 장사나 사업을 하는 경우(사업장을 기준) - 사업자(사장)의 띠(생년)로 찾는다.

   - 업소 출입문은 재살 방향이 좋다.(장성살의 반대 방향)

   - 업소 출입문은 장성살 방향은 피한다.(어쩔 수 없는 경우 반대방향에 보조문이라도 있으면 폐운은 면한다.)

   - 금고 위치는 반안살 방향에 둔다.

 

4. 잘 안풀릴때는 출행 개운법 - 일진의 지지를 기준으로 찾는다.

   - 오늘 일진을 기준으로 반안살 방향으로 출행한다.

   - 가능한 4Km를 벗어난 거리를 가야하고, 차나 음료를 마시고 소변을 보고 올 것

   - 단, 기운을 누적시킨다고 생각하고 자주해야 한다.

 

<12지지 방위표>

반응형

'역학 배우기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리학의 기본정신  (2) 2024.11.24
:

명리학의 기본정신

역학 배우기/명리학 | 2024. 11. 24. 09:38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퇴직하고 처음 시작한 명리학 공부 !

혼자 독학으로 기초까지 나름 왔는데, 사주를 보면 통변이 안되니 답답해서 10월부터 시작한 평생학습강좌 중에 <명리와 타로>, <관상학>이 있어 수강 중인데, 지난 주 <관상학> 선생님이 알려주신 "명리학의 기본정신"이다.

 

정확한 출처를 찾으려고 나름 구글링하면서 찾아봤지만, 겨우 알아본 건 원광대학교 교재에 이런 게 있었다는 정도.(이것도 저작권에 위배될려나??)

 

나중에라도 정확한 출처가 밝혀지면 그때 이 글을 수정하기로 하고, 강의를 통해 배운 건 아래와 같다.

 

命理學(명리학)의 기본 정신

安分知足(안분지족) 분수를 편안히 여기고 만족할 줄 알면

趨吉避凶(추길피흉) 길함을 추구하고 흉함을 피할 것이고
制欲中節(제욕중절) 욕망을 제어하고 절도를 지키면     
敎化治平(교화치평) 가르침의 조화와 정치가 태평할 것이다,
然而(연이) 그러나
逆命不知足(역명부지족) 운명을 거스르고 만족할줄 모른다면
趨吉反避凶(추길반피흉) 길함을 추구해도 오히려 재앙이 될 것이다.
過欲不中節(과욕부중절) 지나친 욕망을 절제하지 못하면
敎治必爲亂(교치필위란) 교육이든 정치든 반드시 혼란이 올 것 이다,

 

 

 

반응형

'역학 배우기 > 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신살을 이용한 개운법  (0) 2024.12.25
:

주역 8괘의 괘상과 의미

역학 배우기/주역 | 2024. 11. 10. 21:06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주역의 8괘에 대해 오래 전부터 알고 싶었던 건데 오늘 여러 자료를 보고 단순하게 8괘에 대해 괘상과 의미를 정리해봤습니다.

 

하도와 낙서를 이해하고 싶어서 도서관에서 책도 뒤지고, 인터넷에서 자료도 뒤지는데 머리가 나쁜 지 이해가 잘 가지 않네요.

 

자꾸 보다보면 이해할 때도 있겠지요.

 

어려운 한자 일일히 배워가면서 할려니 참 젊었을 때 뭐했나 싶기도 합니다. ^^

 

 

※ 참고자료

    1. 위키 실록사전  : https://url.kr/t313n7

 

괘상(卦象) - sillokwiki

『주역』의 8괘 또는 64괘가 상징하는 물상. 개설 『주역』「계사전」에서 "역이란 상(象)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주역』의 핵심이 상(象) 그 자체이며 상을 떠나서 이해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dh.aks.ac.kr

  2. 주역입문 : 윤상철 | 대유학당 | 2017-09-02 출간 https://url.kr/q9fc7c

 

주역입문

주역입문

www.aladin.co.kr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