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학습(공부)하는 블로그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주로 인재개발원 등의 사이버학습을 정리, 요약하는 상시학습 블로그입니다. 깨비형
« 2025/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2-06 09:06

반응형

1. IaaS의 서비스 개념 이해

 

  ○ IaaS란(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스터럭쳐, 예를 들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들을 서비스로 제공
        하는 형태입니다.
    ▷ SW를 서비스 하기 위해서는 IDC라는 공간과 그 공간안에서 서버나 스토
        리지, 네트웍 장비들이 필요하게 됩니다.
    ▷ 이런 것들을 클라우드 환경(가상화 환경)으로 만들어 필요에 따라 인프라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지금까지 스토리지가 부족할 경우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를 확장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IaaS 서비스를 통해 필요한 용량만큼 논리적으로 늘리기만
        하면 됩니다.
    ▷ 서버도 가상화된 환경으로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늘릴 필요없이 필요한 만큼
        추가하면 됩니다.
    ▷ 예를들면 아마존의 EC3(웹서비스 가상화)나 S3(스토리지 가상화) 같은
        서비스 형태나 국내에서는 클루넷의 스토리지 가상화 서비스 같은 형태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 IaaS 클라우드에서는
    ▷ 가상 서버, 데이터 스토리지 및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일련의 빌딩 블록이나
        기본 서비스를 제공한다.
    ▷ 사용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조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전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 또한, 시스템을 편리하게 구축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 IaaS 서비스는 SOAP나 REST 기반 메시지를 사용하는 API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다.

 

  ○ IaaS 클라우드는
    ▷ 스크립트를 통해 자동화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환경이며 필요 시 프레임
        워크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다.
    ▷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전개 환경을 빠르게 어셈블하는 기능은 오늘날의
        IT 부서에 매우 유익한 기능으로 필요에 따라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 이러한 탄력성 외에도 서비스를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한다는 장점이
        있다.
    ▷ 사용자는 사용한 서비스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며 더 이상 자원을
        미리 할당할 필요가 없다.

  ○ IaaS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 테스트와 스테이징
      - 완전한 테스트 환경과 스테이징 환경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경우에는 해체할 수 있다.
      - 더 이상 환경을 준비하거나 하드웨어를 조달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 테스트하고자 하면 언제든지 새로운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는 구축한 환경을 해체할 수 있다.
    ▷ 웹 애플리케이션 전개 환경
      - 사용자는 IaaS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를 실행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는
        자원을 확장하여 트래픽 증가량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 IaaS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특정 마케팅 캠페인이나 영업 전략을
        제공하는 임시 웹 사이트를 추가로 작성할 수도 있다.
    ▷ 스토리지 니즈
      - 엔터프라이즈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파일이나 기타 고객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클라우드 서비스의 기능을 사용하여 대용량 데이터 세트를 처리하고
        대규모 병렬 처리를 활용할 수 있다.
      - 필요 시에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그리드를 작성한 후, 처리가
        끝난 다음, 이 그리드를 해체할 수 있다.

 

2. IaaS의 대표적 사업자와 서비스 활용 내역

 

  ○ 아마존 웹 서비스 (Amazon Web Service)
    ▷ 2002년 7월 처음 소개됐을 때, AWS는 개발들이 아마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제한된 양의 제품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었다.
    ▷ 대표적인 서비스 제품
      - 아마존 E - Commerce 서비스 (ECS)
      - Alexa 웹 정보 서비스 (AWIS)
      - 아마존 심플 큐 서비스 (ASQS)
    ▷ ECS는 가장 오래 운영 중인 서비스로 오랫동안 AWS로 불리기도 했다.

    ▷ 아래 사진은 아마존 웹 서비스 홈페이지(http://aws.amazon.com/ko/)


  ○ 아마존 E - Commerce 서비스
    ▷ ECS는 아마존의 제품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며 개발자들로 하여금 아마존
        에서 팔렸던 적이 있거나 아마존 사이트를 그들의 온라인 상점으로 이용하는
        제3의 판매자들에 의해 팔린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발자들은 ECS를 사용하여 전자 장바구니를 만들기도 하고 장바구니에
        담겨있는 제품을 Amazon.com 웹 사이트에 넘겨 요금을 산출할 수도 있다.
    ▷ 앞서 언급했듯이 ECS는 AWS로 알려져 왔다. 그 결과, ECS는 현재 4.0 버전
        이다. 이전 버전들은 AWS 1.0, AWS 2.0 그리고 AWS 3.0으로 불린다.

        하지만 AWS 3.0에서 ECS 4.0으로 전환은 이름이 바뀐 것 이상이다.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의 상당 부분을 다시 작업했기 때문이다. AWS 3.0과
        ECS 4.0은 현재 공존하고 있지만, AWS 3.0 사용은 디프리케이트
        (deprecate)되고 있다.
    ▷ ECS 4.0은 여섯 개 아마존 사이트의 제품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제공한다.
      - Amazon.com (미국)
      - Amazon.de (독일)
      - Amazon.ca (캐나다)
      - Amazon.fr (프랑스)
      - Amazon.co.uk (영국)
      - Amazon.co.jp (일본)
    ▷ 개발자들은 그들의 필요에 가장 잘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ECS 4.0을 사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정보는 단순한 제품 정보 이상

        이다. 아마존은 갖고 싶은 상품 목록(wish list)과 고객 리뷰 같은 기능도 제공
        한다.
    ▷ AWS 가입 ID를 등록하고 AWS 이용허용(주요 제한 사항은 같은 IP 주소에서
        1초에 한 번 이상 아마존 웹 서비스를 호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에 동의만
        하면 공짜로 ECS 4.0을 사용할 수 있다.

 

  ○ Alexa 웹 정보 서비스
    ▷ 온라인 시장 운영으로 잘 알려졌지만, Amazon.com은 알렉사 인터넷도

        운영한다. 알렉사 인터넷은 웹을 검색하고 항해하는 포털 사이트로 구글과

        아마존의 데이터와 기술을 합쳐놓은 것이다.
    ▷ 알렉사의 핵심 특징은 브라우저 확장 기능인 알렉사 툴바를 사용하여 브라
        우저의 활동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인터넷 사용과 트래픽 통계를 모으는 것
    ▷ AWIS를 이용하면 개발자들은 알렉사가 웹 사이트를 탐색하고 브라우저의
        활동을 모니터링할 때 모아놓은 정보에 다음과 같은 질의를 할 수 있다.
      - 기본 웹 사이트 정보(도메인을 누가 소유하고 있는지, 사이트 순위는
        어떻게 되는지) ?
      - 누가 사이트(다른 웹 사이트)로 연결하는지 ?
      - 관련 사이트 ?
    ▷ 개발자들은 AWIS를 사용하여 웹을 검색할 수도 있으며 오픈 디렉터리
        (Open Directory)에 나열된 사이트를 탐색할 수 있다. 오픈 디렉터리는 무료
        웹 디렉터리로, 사이트를 주제별로 분류하고 구글 및 다른 회사들이 사용하는
        다수의 디렉터리의 토대를 제공한다.
    ▷ AWIS 사용 요금은 요청 당 0.00015달러이고 기본 요금은 없다.

 

  ○ 아마존 심플 큐 서비스
    ▷ ECS와 AWIS가 아마존에 접근하고 웹 사이트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

        하는 반면, ASQS는 약간 다르다.
    ▷ Amazon.com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ASQS는
        Amazon.com의 기술에 편승하는(piggyback)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한다.

    ▷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ASQS는 큐 시스템이다. 큐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이
        메시징 패러다임을 사용하도록 한다.
    ▷ 각자에게 직접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아니라, queues라는 단순한 데이터

        베이스에 각자를 위해 메시지(데이터)를 남긴다.
    ▷ 이 경우, 큐는 아마존이 소유한 컴퓨터에서 실행되므로 신뢰성과 확장성이

        강조된다.
    ▷ 큐는 웹 서비스로 공개된다.
    ▷ ASQS는 특별한 서비스다. AWIS처럼 ASQS 사용 요금은 사용한 만큼 낸다.

 

  ○ Amazon의 AWS (Amazon Web Service) 서비스 적용
    ▷ 아마존이 웹 서비스 기능을 선보이는 것은 전자상거래 경쟁사인 이베이가

        거의 2년 동안 진행해 온 방식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베이는 2000년 11월에
        자사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 XML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3자 업체는 이베이의 API를 이용해 해 자사 사이트에
        이베이의 제품 목록을 쉽게 가져올 수 있다.
    ▷ 아마존의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1단계는 아마존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개발자 프로그램인
        Developer’s Kit를 다운로드 받는다.
      - 2단계는 아마존닷컴의 웹 서비스에 엑세스할때마다 본인 확인을 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무료 개발자 토큰(Developer’s token)을 신청하여 받는다.
      - 마지막 단계는 사용자 또는 기업의 정보를 담은 지원서를 작성하면 된다.
    ▷ 아마존의 웹 서비스는 고객들이 아마존을 참조하는 대가로 웹사이트 운영자
        에게 수수료를 내도록 한 기존의 제휴 프로그램을 근간으로 해서 만들어졌다.
        하지만 기존의 제휴 프로그램은 개별 사이트에 단지 아마존에서 책이나
        제품에 대한 간단한 링크만을 배치하는 정도였다..
    ▷ 오라클이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쳐 솔루션(Oracle Optimized
        Solution for Enterprise Cloud Infrastructure)을 발표했다.
    ▷ DW 어플라이언스와 미들웨어 어플라이언스를 발표했던 오라클이 솔라리스 혹은
        리눅스 기반의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위한 모든 라인업을 통합해
        고객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나선 것.
    ▷ 오라클이 이번에 선보인 전략은 기존 DW 어플라이언스인 엑사데이터2나 미들웨어
        어플라이언스인 '엑사로직'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긴밀히 통합한 것과는 좀
        차이가 있다. 엑사데이터나 엑사로직의 경우 오라클이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보유한
        데이터베이스와 미들웨어를 하드웨어 통합했다는 장점이 십분 발휘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x86 시장에서는 이런 소프트웨어의 강점이 발휘되기가 쉽지 않다.
    ▷ x86 가상화 소프트웨어 시장에서는 VM웨어와 마이크로소프트, 레드햇, 시트릭스
        등이 이미 광범위한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고, 각 x86 벤더들은 이들 전문 업체들과
        초기부터 시스템 통합을 마쳤고, 자사의 각자 관리 소프트웨어와도 긴밀히 통합해
        왔다. 기존 고객들의 경우 오라클의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오라클의 가상화 제품이 시트릭스 기반이라고 하더라도 이미 내부적으로

        별도의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구매해 사용하는 기업 입장에서 또 다른 가상화 제품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 이번 인프라는 썬의 유니파이드 스토리지와 네트워킹, 썬 블레이드 모듈러 시스템에
        오라클의 독자적인 가상화 제품인 '오라클 VM 서버', 솔라리스와 오라클 리눅스를
        통합한 것이다. 이런 전체적인 IT 자원들은 오라클 관리 소프트웨어로 통합 관리
        하겠다는 것이다.
    ▷ x86 시장에서의 입지 마련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오라클 나름의 통합 전략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 기회를 엿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경쟁

        회사인 IBM이나 HP, 델, 시스코 등은 이미 1년 전부터 이 시장에서 동일한 통합

        제품으로 고객사들을 상당수 확보하면서 입지를 마련한 상황이기 때문에 오라클의

        뒤늦은 동일 전략이 얼마나 시장에서 파괴력을 가질지는 미지수다.

 


3. 국내외 IaaS 서비스의 사례
 

  ○ LGU+의 클라우드 N 서비스
    ▷ LG유플러스는 기업고객들의 IT인프라 강화를 위해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기반의 통합관리 서비스 ‘클라우드 N(www.cloudn.co.kr)’을 출시하고
        기업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나섰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IT환경에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가상화
        기술을 이용해 인터넷으로 빌려 쓰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 형태로
        기업시장에서 매년 2배 이상의 성장이 전망된다. 이에 LG유플러스의 신규 및

        기존 서비스 이전 컨설팅을 바탕으로 가상화 인프라와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결합한 차세대 기업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클라우드 N’ 서비스를 선보이게 된 것
        이다.
    ▷ ‘클라우드 N’은 기존의 가상화 서비스에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도입, 기업고객에
        최적화된 인프라와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이 IT인프라 자원을 필요한 만큼 언제
        든지 유동적으로 조절해 쓸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특히 도입부터 구축, 운영,
        보안까지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해 기업고객의 기존 IT자원들을 활용해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구축을 지원토록 했다.
    ▷ 또 리소스 할당을 비롯 플랫폼의 제어 및 관제의 모든 프로토콜 및 사용량 통계
        및 모니터링 데이터 등을 표준화된 XML을 사용, 극대화된 이기종 시스템 및

        다양한 파트너와 상호 호환성과 확장성을 보장해 진정한 의미의 오픈 플랫폼을

        구현시켰다.
    ▷ LG ‘클라우드 N’은 통합운영관리 서비스의 가상 머신(VM)을 통해 고객이 서버를
       실제 구축하고 서비스 운영에 투입하는 시간을 기존 1~2일에서 1분 내외로
       대폭 단축시켜 기업고객의 업무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이는 클라우드 N 서비스의
       경우 2000개 이상의 가상머신 및 풀 스냅샷을 1분 이내로 동시에 생성해 IT
       인프라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또 웹방식의 통합 GUI(Graphical User Interface),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해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스마트폰과 PC,

       태블릿PC 등 모든 기기에서도 통합운영관리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해 고객의

       이용편의성과 접근성을 한층 강화했다. 이와 함께 웹기반의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보안기능, 재해복구 서비스 등 통합운영관리 시스템을 활용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고객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현했다.
    ▷ 이외에도 IT인프라를 지역별, 서비스별 시스템으로 자유롭게 구성하고 운영/관리
        하는 토털 매니지드 서비스기 때문에 기업고객들의 실제 시스템 운영관리환경에
        가장 최적화돼 있을 뿐 아니라 기존 고객 시스템과 클라우드 시스템과의
        통합운영도 가능하다.
    ▷ 한편 LG유플러스는 통합운영관리 서비스를 기반으로 내년까지 분산처리,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등 다양한 솔루션과 결합한 PaaS(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를 출시하고, 향후 초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KT의 IaaS 베타 서비스
    ▷ KT는 서버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빌려쓰고 쓴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베타 서비스에 나선다. 올해안에 상용화를

        하겠다고 밝히고 관련 가격도 공개했다.
    ▷ KT의 IaaS 서비스 명은 ‘uCloud CS(Computing Service)’로 KT는 기존 고객과
        신규 고객 10여곳들 대상으로 클로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를 통해 연내

        에는 상용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uCloud CS’는 기업에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등 IT 장비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서비스이다.
    ▷ 그 외에 BS(Backup Service), SS(Storage Service), DS(Database Service)와
        같은 다른 서비스들도 함께 선보이기 위해 분주하다.
    ▷ ‘uCloud CS’는 서버를 임대하는 상품인 ‘CS  ▷Public’, ‘CS  ▷Dedicated’와 함께
        고객사 내 클라우드 기반의 IT인프라를 구축해 주고 컨설팅이나 유지보수를

        추가할 수 있는 ‘CS  ▷Private’등 세가지 상품으로 세분화, 고객이 니즈에 맞게 선택
        하도록 했다.
    ▷ KT가 내세우는 무기는 가격과 즉시성이다. 이용요금은 국내 최저가로 서비스

        한다는 계획이다. uCloud CS  ▷Public은 고객이 원하는 사양대로 맞춤식 주문이

        가능하며 주문 단위를 CPU 단위로 최소화해, 최저 월 3만원부터 다양한 가격을
        선보이고 있다.

 

 

반응형
:

[1-7강] 공개 소프트웨어의 재원

카테고리 없음 | 2012. 7. 8. 08:38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자유 소프트웨어의 재원

  ○ 스스로 재정적 기반을 만들어야 했음

 

2. 공개 소프트웨어의 재원

  ○ 공개 소프트웨어를 위한 사용자 교육, 컨설팅, AS 등으로 인한 수익

  ○ 정부 예산

  ○ 응용 소프트웨어

 

3. 비 상업적인 영역에 국가와 시장이 의존하는 현상

  ○ 국가와 시장의 공유자산 접근이 가지고 있는 우수성과 효율성 인정

 

4. 쓰게 해 주는 저작권인 CCL의 조건

  ○ 저작자 표시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저작자 표시 + 변경금지 ⇒ 상업적으로 쓸 수 있다.

  ○ 저작자 표시 + 동일조건 변경허락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 변경허락

 

 CCL(Creative Commons License)에 대한 참고사이트 : 도란도란 문화놀이터(http://culturenori.tistory.com/725)

 

 

5. 널리 쓰이는 용어 : Copy left

  ○ 공유자산을 지향하는 집단들 내부적으로는 미묘한 입장차 존재

  ○ 공개 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 등

  ○ 지식의 사용자에게 얼마나 자유를 허용하느냐의 차이

  ○ 지식을 공유자산으로 보는 근본정신은 같고, 그 근본정신 요약이 Copy left

    - GNUGPL, CCL, OSS, 아파치 라이선스, 모질라 OS, Copy left 라이선스 등

 

6. 현 제도에 불만 있지만 법 테두리 내에서 인류의 공유자산

 

7. 공유자산 유통 방안 및 공유방식

  ○ 공유자산적인 접근

    - 지식유통에 있어 매우 유력한 하나의 방안으로 과감하게 고려되어야 함

  ○ 양분법적인 사고 탈피,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맞는 우리 나름 지식유통,

      공유방식을 만들어 내야 함

반응형
:
반응형

1.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

 

  ○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어떤 서비스가 가능한지?
    ▷ 개인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기업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공공기관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개인의 일상 생활이나 기업, 공공기관의 업무 처리에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 일상 생활에서 컴퓨터 없이는 단 하루라도 제대로 살 수 있는지 의문이다.

 

  ○ 이러한 상황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매우 중요하다.


  ○ 우리가 스스로 인지하지 못할 뿐이지 이미 일정 수준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받고 있다. 예를들어 메일 서비스도 일종의 클라우드 서비스 이다.

 

  ○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개인,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어떠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가 활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본다.

 

  ○ 개인 사용자의 컴퓨터 환경
    ▷ 데스크탑 PC를 포함하여 스마트 단말기 등 다양한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필요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다.
    ▷ 사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이 구성되어 있다.
    ▷ 초기의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 : 웹 전자 우편 서비스, 온라인 데이터 저장

        서비스 (웹하드), 워드프로세싱 소프트웨어

 

  ○ 앞으로의 개인 사용자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IaaS 형태의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있다.
      - 운영체제,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 컴퓨팅 자원을 서비스로 사용 할 수
        있다.
      - 즉, 스마트 단말기 위주의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팅 사양을 높이고, 저장
        공간을 확장하기 위하여 신규 구매 없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하여 저장
        장치, CPU 등 컴퓨팅 자원을 빌려 쓸 수 있다.
      - 예를들어, 온라인 백업 서비스가 IaaS의 한 예다. 다양한 단말기를 소유
        하고 있고 개인 사용자들 위하여 저장공간의 대여를 통하여 개인의 정보를

        백업 및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온라인 백업 서비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 PaaS 형태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플랫폼)을 개인이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환경으로 클라우드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다.
      - 개인 개발자가 프로그램 제작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추세이다.
    ▷  SaaS 형태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 개인 차원에서 이용하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저장하지 않고 필요시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는 형태이다. 주로, 스마트 단말기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 주로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예는 워드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

        프리젠테이션 등 문서 작업용 소프트웨어

 

  ○ 개인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하는 이유
    ▷ 사용이 쉽고 편리함이 가장 큰 이유이고
    ▷ 언제 어디서나 접근이 가능하다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부분은 스마트

        단말기사용자의 증가로 앞으로 더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타인과의 정보 공유도 지속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된다.
    ▷ 여기에는 없지만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IT 장비의 구축에 필요한 초기

        경비가 들지 않는다는 점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2. 사용자별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활용 전략

 

  ○ 일반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 도입
    ▷ 주로, SaaS 측면에서 많은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고, 기업의 IT 업무 성격에
        따라 IaaS 측면의 서비스도 요청한다.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개발 업무가 없는
        일반 기업 형태의 경우는 PaaS의 측면은 적다고 볼 수 있다.
    ▷ 일반 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채택하는 것은 IT 투자 비용 절감이나 업무의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즉, 필요한 시점에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를 요청하여 컴퓨팅 자원과

        저장공간을 활용하여 비용 절감 및 IT 업무의 합리화를 거둘 수 있다.
      - IT 장치 설치 공간 부족 문제와 기기 비용이 절감된다.
      - 컴퓨팅 자원의 임대로 관리 및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
    ▷ 특히, 일반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으로 직원들의 PC의 부담이 경감한다.
      - 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직원들의 책상 위에 있는
        컴퓨터의 사양이 가장 먼저 교체 되고 있다.
      - 이는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SaaS, IaaS 등의 지원을 통하여 직원의 PC의

        사양이 경량해 지고 있다.
      - 즉, 저장장치가 없는 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업무 수행이 가능하다.

 

  ○ SaaS 형태의 서비스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 일반 기업이 업무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구입하거나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자사 IT 부서가 관리하는 전산 센터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에서 클라우드의 SaaS 서비스를 통하여 검증된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경비와 시간 절약 및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 할 수 있다.
    ▷ 특히, 중소기업 등은 인사관리, 회계관리, 자산관리 등에 사용되는 소프트
        웨어를 SaaS 방식으로 쉽게 사용 할 수 있다.
    ▷ SaaS 서비스의 채택으로 다음과 같은 해택을 얻을 수 있다
      - 기업의 업무에 필요한 응용 소프트웨어 등의 구입 비용 절감된다.
      -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각종 보안 패치, 유지 및 보수 등의 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 일반 기업들은 SaaS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 오피스 도구를 제공하는 구글 앱스, 어도비 제품 등과 같은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고, 이들을 지원하고 있다.
      - 전자우편, e-러닝, 인스터스메세지, 팀 협업, 화상회의 등의 응용 소프트
        웨어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 최근들어, 전사적 자원 관리, 고객 관리 등의 기업용 응용 소프트웨어 등도
        SaaS 형태로 지원되고 있다.

 

  ○ 이처럼 SaaS 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기업이 IT 부분의 비용 절감과 신속하게
      필요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도입할 수 있다는 SaaS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 도입
    ▷ 주로, PaaS 측면에서 많은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고, 기업의 IT 업무 성격에
        따라 IaaS 측면의 서비스도 요청한다. 기업의 일반 업무를 위해 SaaS의

        서비스도 요청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개발 환경을 자체적으로 모두 구축하여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환경을 빌려서 (PaaS)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컴퓨팅 자원을 빌려 (IaaS) 서비스 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광고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에
      - PaaS는 사용자관리, 광고 삽입 등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구성 요소들을
        전체를 제공하고 있다.
      - 개발자는 이런 요소들은 개발할 필요가 없다.
      - 따라서, 비용은 물론이고 개발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aaS를 통하여
      -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구축, 구현, 시험환경 제공 및 시험 등의 일련의

        환경을 제공한다.
      - 다양한 개발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지원도 가능하다.
      - 특히, 관련 소프트웨어의 버전 관리도 지원하여 원하는 버전을 쉽게 지원
        받을 수 있다.
      - 개발된 소프트웨어 시험도 가능하며 IaaS와 함께 시험 서비스도 가능하다.

 

  ○ 학교, 정부기관 등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 도입
    ▷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특정 기간에 컴퓨팅 자원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많이 이용된다. 따라서 주로 이용되는 서비스 형태는 IaaS
        형태 이다.
      - 예를 들어, 국가의 자료 처리 서비스, 대학의 수강신청 서비스, 공공 기관의
        입사처리 서비스 등 순간적으로 대용량의 컴퓨팅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 이유는, 순간적으로 특정 기간에 필요한 대용량의 컴퓨팅 처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필요한 IT자원을 구축하는 것은 이미 앞에서 여러 번 언급한 것과
        같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 고가의 IT 장비의 구입 비용이 필요하고
      - 이들 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고
      -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IT 인력이 필요하며
      - 지속적인 장비의 유지 비용이 요구된다.
      - 특히, 특정기간 외에는 컴퓨팅 파워가 낭비되고 있다.
    ▷ 기존의 공공기관은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도 IT 장비의 투자를 통한 자체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여 운영하였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IaaS

       서비스의 탄생으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되고 있다.

 

  ○ 연구 개발의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컴퓨터 서비스 도입
    ▷ 기상청, 의료 기관, 과학기술 연구소 등의 연구 개발 분야 공공 기관에서도
        대용량의 컴퓨팅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 이러한, 연구 개발에서 요구하는 컴퓨팅 자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구축되고 지원되고 있다.
      -  대전에 있는 KISTI 내의 클라우드 센터는 이러한 대용량의 컴퓨팅 자원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IaaS 형태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센터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는 컴퓨팅 능력과 저장장치의 규모가 엄청
         나서 일반적인 연구기관에서는 투자하기 힘든 예산 규모이며,
      - 이러한 장비의 설치 공간과 유지 등은 전문적인 기관에서 담당하여야
         하고, 현재 국가적인 차원에서 클라우드 센터에서 총괄 관리하고 있다.
      - 참고적으로, 견학 등을 통하여 센터 내의 규모를 실질적으로 보는 것도
        중요하다. 이유는 일반인이 상상보다 그 규모가 매우 크다.
      - 따라서, 현재 많은 대용량 컴퓨팅 처리를 요구하는 공공기관은 클라우드
        센터를 활용하여 필요한 IaaS 서비스를 지원 받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 참고로, 일부 연구기관에서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나 규모의 면에서 클라우드 센터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3.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사례

 

  ○ KT의 U-Cloud 서비스
    ▷ ucloud란?
      -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ucloud 서버에 안정하게 백업하고,
        언제 어디서든 빠르게 데이터를 열람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KT의 백업
        서비스이다. 강력한 보안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 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 서비스 개요
      - 고객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보관(자동백업) 해주고, 다양한 단말에서
        자유롭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Personal Cloud Storage’ 서비스
        이다.

    

▷  ucloud의 주요 기능
      - 응용 소프트웨어 실행에 따른 실시간 백업 서비스 기능
      - 연동된 디바이스 간의 자동 동기화 서비스 기능
      - 영구적인 보관을 위한 웹하드 기능
      - 버젼관리를 통한 자동 파일 버전 관리 기능
      - 유무선 통합을 통한 모바일 ucloud 서비스
      - 안전한 데이터 보안 기능
    ▷ 실시간 백업 서비스
        - ucloud 매니저의 ‘백업폴더’ 지정을 통해 파일이 자동으로 ucloud에
          백업된다.
      - 백업된 파일은 컴퓨터 전원이 꺼진 상태라도 원격으로 액세스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동시에 모든 변경 사항은 ucloud
        서버에서 자동으로 백업한다.
      - 음악, 사진, 비디오, 파일 데이터를 원격으로 모두 파일보기를 할 수
        있으며, 음악파일을 원격으로 재생 가능
      - ‘ucloud 앱’을 통해 모바일에서 파일 접근가능 (ppt, doc, xls, 사진 등)

 

    ▷ 자동 동기화 서비스
      - ucloud 매니저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들의 자료가 ‘매직폴더’로 자동
        동기화된다
      - 여러 개의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들이 서로 동기화 되어 있어서 수동적
        으로 컴퓨터간에 파일을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
      - 데이터를 자동으로 온라인 백업하여 데이터의 복사본을 ucloud 서버에
        보관하고, 컴퓨터간 자동 동기화

 

 

반응형
:

[1-6강] 공유지의 비극은 없다

카테고리 없음 | 2012. 7. 7. 07:59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공유자산(commons)

  ○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자산

 

2. 우리 사회는 사유자산에 대한 인식(소유의식)이 강해진 사회

 

3. 공유지의 비극

  ○  미국 UCSB 생물학과 교수인 가렛 하딘에 의해 만들어진 개념

  ○ 개인의 이기심 때문에 제한된 공유자원을 망치게 됨

 

4. 지식은 공유지의 비극 논리 적용되지 않음

  ○ 비경합적인 자원(아무리 사용해도 없어지지 않는다)

  ○ 지식은 사용할수록 사회적 후생이 증가한다.

 

5. 지식은 사유재산적 성격이 아닌 공유자산으로 이해되고 접근되어야

 

6. 공유자산은 공짜가 아닌 '누구에게나 자유롭게 접근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의미

 

7. 혁신적 공유자산으로서의 인터넷

  ○ 저작권은 사상, 철학이 담겨있는 책에 대한 권리, 책의 내용은 누구나 소유가 가능하다.

  ○ fair use 연구용으로 책 복사 허용

  ○ 교육제도, 공영방송 등

 

8. 사이버공간상에서 공유자산의 필요성 인정, 어떤 식으로 공유되어야 하나?

  ○ 소프트웨어 개발 사용 :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관점에서 추진된 자유 소프트웨어

  ○ GNU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규약

    - 누구나 소프트웨어 무료로 구할 수 있고

    - 소스코드 볼 수 있고

    - 수정, 편집, 배포를 할 수 있다.

 

9. 효율적 관점에서 자유 소프트웨어를 본 공개 소프트웨어

  ○ open source 라이선서 : 원제작자 명기, 공공도메인은 제약이 없음

    - 아파치서버, BSD, GNU리눅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질라 등

 

10. 공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한 재원마련에 대한 궁금증

반응형
:

[1-5강] 스티브 잡스의 고민

카테고리 없음 | 2012. 7. 6. 11:19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지식이 어떻게 유통 되는가?

  ① 지식의 생산, 소비 구분 어려움, 지식의 유통과 공유의 문제에 있어서 저작권 관련됨

 

2. 2007년 6월 스티브 잡스의 주장 - '음악에 대한 단상'

  ① 음반업자들에게 DRM free 음원의 제공 요구

    ※ DRM : 디지털로 만들어진 상품들의 저작권을 관리해 주는 기술

 

3. network시대에서 저작권 보호를 상징하는 기술

  ① 애플사는 IBM에 비해 저작권에 대해 폐쇄적이어서 호환성 떨어짐

  ② 폐쇄적 환경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③ 스티브 잡스의 DRM free 음원 비즈니스의 선언

     ※ DRM으로 mp3파일을 쓰기 까다롭게 만드는 것이 최선의 비즈니스 모델인가 하는

         것에 대한 의심

  ④ 스티브 잡스의 공개편지 이후 음원시장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남

  ⑤ 음원시장이 DRM 시장에서 DRM free 시장으로 급속하게 이동

 

4. DRM free로의 전환이 주는 시사점

  ① 인쇄매체의 저작권을 관리하던 사상과 방식에서 탈피,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 과정

  ② 지식을 접근 불가능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것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안을

      주창하는 흐름 형성 - 대안 : 공유지식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