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유 소프트웨어의 재원
○ 스스로 재정적 기반을 만들어야 했음
2. 공개 소프트웨어의 재원
○ 공개 소프트웨어를 위한 사용자 교육, 컨설팅, AS 등으로 인한 수익
○ 정부 예산
○ 응용 소프트웨어
3. 비 상업적인 영역에 국가와 시장이 의존하는 현상
○ 국가와 시장의 공유자산 접근이 가지고 있는 우수성과 효율성 인정
4. 쓰게 해 주는 저작권인 CCL의 조건
○ 저작자 표시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저작자 표시 + 변경금지 ⇒ 상업적으로 쓸 수 있다.
○ 저작자 표시 + 동일조건 변경허락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 저작자 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 변경허락
CCL(Creative Commons License)에 대한 참고사이트 : 도란도란 문화놀이터(http://culturenori.tistory.com/725) |
5. 널리 쓰이는 용어 : Copy left
○ 공유자산을 지향하는 집단들 내부적으로는 미묘한 입장차 존재
○ 공개 소프트웨어, 자유 소프트웨어 등
○ 지식의 사용자에게 얼마나 자유를 허용하느냐의 차이
○ 지식을 공유자산으로 보는 근본정신은 같고, 그 근본정신 요약이 Copy left
- GNUGPL, CCL, OSS, 아파치 라이선스, 모질라 OS, Copy left 라이선스 등
6. 현 제도에 불만 있지만 법 테두리 내에서 인류의 공유자산
7. 공유자산 유통 방안 및 공유방식
○ 공유자산적인 접근
- 지식유통에 있어 매우 유력한 하나의 방안으로 과감하게 고려되어야 함
○ 양분법적인 사고 탈피,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맞는 우리 나름 지식유통,
공유방식을 만들어 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