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학습(공부)하는 블로그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5-10 00:00

반응형

1. 숫자가 나오는 말의 띄어쓰기

 

  '스물여섯'의 띄어쓰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부터 미리 말하면 '스물여섯'으로 붙여 쓴다. 하지만 구성 요소인 '스물'과 '여섯'에서 의미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스물V여섯'으로 띄어 써도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왜 '스물여섯'으로 붙여 쓸까? '스물여섯'으로 붙여 쓰는 근거는 <한글 맞춤법> 제44 항에서 찾을 수 있다.

 

 

 

2. '사과나무'? '사과V나무'?

 

  전문어의 띄어쓰기 원칙은 “단어별로 띄어 쓰되 붙일 수 있다(한글 맞춤범 제50 항)”이다. 전문적인 내용을 담은 전문어는 단어별로 띄어서 제시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러한 원칙이 생긴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다.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금동V미륵보살V반가V사유상'을 비교해 보면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한 경우가 뜻을 짐작하기가 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붙일 수 있도록 한 것은 전문 영역에서는 붙여 쓰더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전문어에 속하는 말은 모두 단어별로 띄어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한 단어로 굳어진 아래와 같은 경우가 그러한 예이다.

 

  염화-나트륨, 포유-동물, 사과-나무, 삼국-유사

 

  화합물이나 동식물의 분류상의 명칭, 책명 처럼 이미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경우에는 전문어라 하더라도 띄어 쓸 수 없다.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쓰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한글 맞춤법 제49 항)"라고 되어 있다. 단위별로 띄어 쓰도록 한 것은 자연스러운 띄어쓰기 직관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지만 다음과 같은 고유 명사는 이러한 조항에 적용을 받지 않는다.

 

 

 

 


반응형
:
반응형

1.‘집에서처럼’? ‘집에서∨처럼’?

 

  조사는 “철수가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에서 ‘철수’, ‘식당’, ‘밥’과 결합하는 ‘가, 에서, 을’을 가리키는 말이다. 조사는 자립성이 없어서 다른 말에 의존해서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자립적인 명사와 달리 조사는 구체적인 의미를 나타내기보다는 그것이 결합하는 체언의 문법적 기능을 표시한다. 이러한 점에서 조사는 앞말과 띄어 쓰지 않는다.

  조사의 띄어쓰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잘못은 여러 개의 조사가 겹칠 경우 띄어 쓰려고 하는 것이다. 조사는 둘 이상 겹치거나 어미 뒤에 붙는 경우에도 붙여 쓴다.

 

 

  아래의 밑줄 친 말들은 조사라는 사실을 잘 모르고 앞말과 띄어 쓰는 일이 많다.

 

 ㄱ. 가을같이 좋은 계절은 없다.

 ㄴ. 역시 친구밖에 없어.

 ㄷ. 사과는커녕 오히려 화를 내던데?

 ㄹ. “알았구나.”라고 말씀을 하셨어.

 ㅁ. 너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도 그래.

 

  ‘가을같이’의 ‘같이’는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쓴다. 단 ‘가을과 같이’처럼 조사가 앞에 오는 경우는 조사가 아니므로 띄어 쓴다.

 

 ‘밖에’는 조사인 경우와 명사인 경우로 나누어진다. 조사로 쓰일 때는 아래의 ‘없다, 못하다, 모르다’처럼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온다는 특징이 있다.

 

 ㄱ. 가진 것이 천 원밖에 없어.

 ㄴ. 이런 일은 철수밖에 못할걸

 ㄷ. 아직은 “맘마”라는 말밖에 몰라.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면 “이 밖에도 다른 사례가 많이 있다.”의 ‘밖에’는 조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사과는커녕’은 ‘사과는∨커녕’으로 띄어 쓰는 일이 많지만 ‘는커녕’이 하나의 조사이므로 붙여 쓴다. ‘“알았구나.”라고’의 ‘라고’는 인용을 나타내는 조사이다. 그러므로 앞말과 띄어 쓰지 않는다. ‘라고’와 비슷한 ‘하고’는 조사가 아닌 용언의 활용형이므로 앞말과 띄어 쓴다.

 

 


2. ‘데’의 두 가지 띄어쓰기(혼동하기 쉬운 의존 명사와 어미의 띄어쓰기) 

 

 

 

 

3. 쉬어 가기

 

 


<학습 정리 >

 

  띄어쓰기는 한글맞춤법보다 적용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국어사전을 이용하거나 전문 상담전화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립국어원 ‘가나다 전화’ 02-771-9909

 


 


반응형
:
반응형

1. 데이터 형식 및 단위 변환하기


  1) ROMAN 함수

○ 개요 : 아라비아 숫자를 텍스트인 로마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ROMAN(Number, [Form])

○ 인수

▷ Nunmber : 필수 요소, 변환할 아라비아 숫자

▷ Form : 선택 요소, 로마 숫자의 스타일을 지정하는 값.

- 고전 스타일에서 단순 스타일에 이르는 다양한 값 사용 가능

- form 값이 커질수록 스타일이 간결해짐


○ Form 인수에 따른 스타일 비교

  2) CONVERT 함수

○ 개요: 다른 단위 체계의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

예) 마일 단위의 거리 → 킬로미터 단위

○ 구문 =CONVERT(Number, From_unit, To_unit)

○ 인수

▷ Nunmber : 필수 요소, 변환할 From_unit의 값

▷ From_unit : 필수 요소, 숫자의 단위. 인용 부호로 묶은 텍스트 값 사용

▷ To_unit : 필수 요소, 결과 단위. 인용 부호로 묶은 텍스트 값 사용


○ From_unit 및 To_unit에 사용할 수 있는 단위 텍스트


<사용 예시>

- E13셀은 왼쪽 출시일을 기준으로 순위를 정해서 로마 숫자로 변환하라는 수식이다.

- I13셀부터 K13셀까지는 F13셀부터 H13셀까지의 제품크기의 단위가 cm인 것을 inch로 변환하라는 수식이고, M13셀은 L13셀의 Kg 중량을 온스로 변환하라는 수식이다.



2. 나눗셈으로 몫과 나머지 구하기


  1) MOD 함수

○ 개요: 숫자를 제수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하는 함수, 결과는 제수와 같은 부호를 가짐

○ 구문 : =MOD(Number, Divisor)

○ 인수

▷ Nnmber : 필수 요소, 나머지를 구할 숫자

▷ Divisor : 선택 요소, number를 나눌 제수


  2) QUOTIENT 함수

○ 개요 : 나눗셈 몫의 정수 부분을 반환하는 함수, 나눗셈을 하고 나머지를 버릴 때 사용

○ 구문 =QUOTIENT(Numerator, Denominator)

○ 인수

▷ Numerator : 필수 요소, 피제수 (나눠지는 수)

▷ Denominator : 필수 요소, 제수 (나누는 수)


<사용 예시>

- H15셀은 포인트 합계를 1,000으로 나누었을 때 몫을 가져오라는 수식이다. 

- I15셀은 위와는 달리 포인트 합계를 1,000으로 나누었을 때 남는 나머지를 가져오라는 수식이다.

- 포인트 합계 = 쿠폰 지급 + 예상 잔액



3. 정수로 변환하기


  1) INT 함수

○ 개요 :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함수

○ 구문 =INT(Number)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정수로 내림할 실수


  2) 짝수 또는 홀수를 반환하는 함수

○ 개요

 EVEN 함수 : 가장 가까운 짝수로 올림한 수를 반환

 ODD 함수 : 가장 가까운 홀수로 올림한 숫자를 반환

※ 두 함수 모두 음수가 대상일 경우 내림하여 반환하게 됨

○ 구문 =함수명(Number)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올림 또는 내림할 값. Number의 부호와 상관없이 0에서 먼 방향으로 올림


  3) 특정 배수로 올림 또는 내림하는 함수

○ 개요

 CEILING 함수 : 양수 → 지정한 수의 배수로 올림을 하여 가장 가까운 수 반환

                             음수 → 지정한 수의 배수로 내림을 하여 가장 가까운 수 반환

▷ FLOOR 함수 : 양수 → 지정한 수의 배수로 내림을 하여 가장 가까운 수 반환 

                          음수 → 지정한 수의 배수로 올림을 하여 가장 가까운 수 반환

○ 구문 =함수명(Number, Significance)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올림 또는 내림할 값

▷ Significance  필수 요소, 배수의 기준이 되는 수


<사용 예시>

- D13셀은 풀어서 보면 int(2800-2800*6.81%)=int(2800-190.68)=int(2609.32)=2609가 된다.

- E13셀 역시 풀어서 보면 2800-even(2800*6.81%)=2800-even(190.68)=2800-192=2608이 된다.

- I13셀은 H13에 있는 숫자를 500의 배수로 올림을 하라는 식이므로 4,821,410은 4,821,500으로 변하게 된다.





반응형
:
반응형

1. 알쏭달쏭 헷갈리는 말


가리키다/가르치다


  ※ ‘가리키다’와 ‘가르치다’는 서로 다른 말이다. 일깨워서 알게 하는 것은 ‘가르치다’이고, 어떤 대상을 손가락 등으로 집어서 말하는 것은 ‘가리키다’이다.


  ㄱ. 친구에게 길을 가르쳐 주었다.
  ㄴ. 시곗바늘이 오후 3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내가 가르켜 준 거 잘 기억해.”와 같이 ‘가르치다’를 써야 할 자리에 ‘가리키다’를 잘못 쓰는 일이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반응형
:
반응형

1. 날짜와 시간 입력 및 정보 분리하기


  1) 인수가 없는 TODAY, NOW 함수

○ 개요

▷ TODAY 함수 : 현재 날짜의 일련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결과값은 날짜 서식으로 변경됨

▷ NOW 함수 : 현재 날짜와 시간의 일련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결과값은 제어판의 '국가별 날짜 및 시간 설정'과 동일한 형식으로 변경

○ 구문 =함수명()


  2) 날짜 정보를 분리하는 함수

○ 개요

▷ YEAR 함수 : 일련 번호로 나타낸 날짜에서 연도를 반환하는 함수. 연도는 1900~9999 사이의 정수로 제공

▷ MONTH 함수 : 일련 번호로 나타낸 날짜에서 월을 반환하는 함수. 월은 1(1월)~12(12월) 사이의 정수로 제공

▷ DAY 함수 : 제공된 날짜에서 일을 반환하는 함수. 일은 1~31 사이의 정수로 제공

○ 구문 =함수명(Serial_number)

○ 인수

▷ Serial_number : 필수 요소, 년 · 월 · 일을 구할 날짜

▷ 날짜 : DATE 함수, 다른 수식, 함수의 결과로 입력


<사용 예시>

- I2셀은 오늘이 속하는 달을 추출해내는 수식이다.

- 아래 D14, E14, F14셀은 B14셀의 날짜에서 생년, 생월, 생일을 추출해내고, G14셀은 오늘이 속하는 연도에서 생년을 뺀 나이를 계산하는 수식이다.


  3) 시간 정보를 분리하는 함수

○ 개요

▷ HOUR 함수 : 시간 값의 시를 반환하는 함수, 시간은 0(오전 12:00)~23(오후 11:00)사이의 정수로 제공

▷ MINUTE 함수 : 시간 값의 분을 반환하는 함수, 분은 0~ 59사이의 정수로 제공

▷ SECOND 함수 : 시간 값의 초를 반환하는 함수, 초는 0~ 59사이의 정수로 제공

○ 구문 =함수명(Serial_number)

○ 인수

▷ Serial_number : 시, 분, 초를 계산할 시간 값 

▷ 따옴표로 묶은 텍스트 문자열(예: "6:45 PM") ,  십진수(6:45 PM을 나타내는 0.78125) 다른 수식이나 함수의 결과(예: TIMEVALUE("6:45 PM")) 입력 가능


<사용 예시>

- F18셀은 퇴근시간에서 출근시간을 뺀 뒤에 시간만 가져오는 수식이다.

- I9셀은 왼쪽 표에서 '한지연'의 근무시간만 추출하여 합해라는 수식이다.



2. 날짜 간격 계산하기


  1) DATEDIF 함수

○ 개요 : 두 날짜 사이의 간격을 계산하는 함수

○ 구문 =DATEIF(시작일,종료일,"단위")

○ 인수

▷ Y → 년, M → 월, D → 일 

▷Ÿ YM : 년을 빼고 월만 구하는 경우

▷ MD : 월까지 빼고 일자 사이의 간격만 구하는 경우

<사용 예시>

- D14셀과 E14셀은 입사일부터 B3셀에 있는 기준일까지의 년수와 개월수를 구하는 수식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개월수의 경우 년수를 고려하지 않은 숫자다.

- F14셀의 수식을 보면 인수에 "YM"과 "MD"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월 단위를 계산할 때 년수를 뺀 나머지 월만 구하고, 일 단위 역시 월까지는 뺀 나머지 일자를 구하라는 수식이다. 연결 연산자 &를 사용한 것에 주목하자.


  2) NETWORKDAYS 함수

○ 개요 : Start_date와 End_date 사이의 전체 작업 일수를 반환하는 함수. 작업 일수에 주말과 휴일은 포함되지 않음

○ 구문 =NETWORKDAYS(Start_date, End_date, [Holidays])

○ 인수

▷Ÿ Start_date : 필수 요소, 시작 날짜

▷Ÿ End_date : 필수 요소, 끝 날짜

▷Ÿ Holidays : 선택 요소, 국경일·공휴일·임시 휴일 등 작업 일수에서 제외되는 한 개 이상의 날짜 목록

<사용 예시>

- C15셀은 작업착수일부터 2011-6-30 까지 작업일수를 구하라는 수식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두 날짜 사이에 있는 주말(토요일, 일요일)은 자동으로 제외하지만, 국경일·공휴일·임시 휴일 등은 제외할 대상으로 지정해줘야 한다는 점이다.


  3) WORKDAY 함수

○ 개요 : 특정 일(시작 날짜)로부터 지정된 작업 일수의 이전 또는 이후에 해당하는 날짜를 반환하는 함수.  작업 일수에 주말과 휴일은 포함되지 않음

○ 구문 =WORKDAY(Start_date, Days, [Holidays])

○ 인수

▷Ÿ Start_date : 필수 요소, 시작 날짜

▷Ÿ Days : 필수 요소, Start_date 전이나 후의 주말이나 휴일을 제외한 날짜 수

▷Ÿ Holidays : 선택 요소, 국경일·공휴일·임시 휴일 등 작업 일수에서 제외되는 한 개 이상의 날짜 목록

<사용 예시>

- F11셀은주문일자(2011-9-7)부터 배송일수(3일) 마감일이 언제인지 계산하는 수식이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주말은 자동으로 제외하지만 제외해야 할 국경일 등은 따로 지정해야 한다.

- 9월 7일부터 3일 이내라면 주말과 공휴일을 감안하지 않는다면 9월 10일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주말(9월10일 토요일)과 공휴일(추석연휴)이 있어 3일이 늘어난 9월 13일이 되는 것이다.




3. 날짜, 주, 요일의 일련번호 구하기


  1) 날짜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 DATE 함수

▷ 개요 : 특정 날짜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DATE(Year,Month,Day)

▷ 인수

- Year : 필수 요소, 년도를 나타내는 한 자리에서 네 자리 숫자

- Month : 필수 요소, 1월에서 12월 사이의 월을 나타내는 양의 정수나 음의 정수

-Ÿ Day : 필수 요소, 1일에서 31일 사이의 일을 나타내는 양의 정수나 음의 정수


○ DATEVALUE 함수

▷ 개요 : 텍스트로 저장된 날짜를 Excel에서 날짜로 인식할 수 있는 일련 번호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DATEVALUE(Date_text)

▷ 인수

-Ÿ Date_text :필수 요소

· 날짜를 Excel 날짜 형식으로 표현하는 텍스트

· 날짜를 Excel 날짜 형식으로 표현하는 텍스트가 들어 있는 셀 참조


<사용 예시>

- C13셀은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을 텍스트로 추출한다.

- G13셀은 C13셀에 추출한 생년월일 텍스트를 날짜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한 수식이다.

- H13셀은 사원번호에서 입사일을 추출해내는 수식이다.


  2) 주 번호와 요일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 WEEKNUM 함수

▷ 개요 : 특정 날짜의 주 번호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WEEKNUM(Serial_number,[Return_type])

▷ 인수

- Serial_number : 필수 요소, 해당 주에 속하는 날짜

· 날짜는 DATE 함수를 사용하거나 다른 수식 또는 함수의 결과로 입력

-Ÿ Return_type : 선택 요소, 주의 시작 요일을 결정하는 숫자

· 1 또는 생략하면 일요일, 2이면 월요일


○ WEEKDAY 함수

▷ 개요 :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을 반환하는 함수, 기본적으로 요일은 1(일요일)~7(토요일) 사이의 정수로 제공

▷ 구문 =WEEKDAY(Serial_number,[Return_type])

▷ 인수

-Ÿ Serial_number : 필수 요소, 찾을 날짜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

· 날짜는 DATE 함수를 사용하거나 다른 수식 또는 함수의 결과로 입력

- Return_type : 선택 요소, 반환 값의 형식을 결정하는 숫자

§ 1 또는 생략 : 1(일요일)에서 7(토요일) 사이의 숫자

§ 2 : 1(월요일)에서 7(일요일) 사이의 숫자

§ 3 : 0(월요일)에서 6(일요일) 사이의 숫자

<사용 예시>

- A11셀은 B11셀의 날짜가 몇 주에 해당되는 지 알려주는 수식이다.

- C11셀은 B11셀의 날짜에 해당되는 요일을 추출하는 수식인데, 2번 타입으로 했기 때문에 일요일인 7번으로 반환된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