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매출원가, 재고자산, 매입채무의 의미
○ 재고자산 : 판매를 위해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
○ 상품 : 상품매매기업이 보유하는 재고자산
○ 매입채무
▷ 유동부채 : 1년 이내에 갚을 매입채무
▷ 비유동부채 : 1년 이후에 갚을 매입채무
2. 매출원가의 계산
○ 매출원가 : 수익을 얻기 위하여 발생한 비용, 고객에게 인도한 상품의 원가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상품매매기업 : 인도한 상품의 구입금액
(매출원가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상품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상품매매기업 매출원가(예시)
- 매출원가의 산출과정을 표시하는 포괄손익계산서
- 산출된 매출원가만 표시하는 포괄손익계산서
▷ 제조기업 : 인도한 제품생산에 소요된 재료비, 인건비 등
3.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가. 재고자산 취득원가의 조정항목
○ 매입환출 : 상품에 결함이나 파손 등으로 반품
○ 매입에누리 : 상품에 결함이나 파손 등으로 판매대금의 일부를 에누리
○ 매입할인 : 조기에 외상매입대금을 지급할 경우 외상대금의 일부를 깎아주는 것
나.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의 계산
4. 재고자산의 평가방법
○ 개별법(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 판매할 때마다 판매된 상품의 취득원가를 일일이 확인하는 방법
▷ 단점 : 비용이 많이 들고 힘들다.
○ 실물의 흐름과 관계없이 일정한 가정으로 계산
▷ 선입선출법(fifo : first-in first-out)
- 먼저 구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되었다고 가정하는 방법
- 실물의 실제 흐름과 일치할 가능성이 높음
▷ 후입선출법(lifo : last-in first-out)
- 나중에 구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되었다고 가정
- 일반적으로 실물의 흐름과는 일치하지 않음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후입선출법을 허용하지 않음
· 물가가 상승하는 시기에 세금 절감을 위해 개발 ⇒ 재무보고 목적으로 부적합
· 재고자산의 실제 흐름을 반영하지 못함 ⇒ 재무상태와 경영성과 왜곡 보고 가능성
▷ 총평균법(weighted average)
- 상이한 가격으로 구입한 상품이 고르게 판매된다고 가정하는 방법
- 가중평균법이라고도 함 : 구매수량에 가중하여 총평균단가를 계산
○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