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옴부즈만 제도의 등장
○ 옴부즈만 제도의 등장배경
▷ 기존 권리구제 제도의 한계
- 행정재량의 영역은 3권 분립 원칙하에서 국회에서 다루기에는 지나치게 개별적인 사안인 경우가 많음
- 사법제도를 통하여 다루기에는 抽象性(추상성)을 띄고 있음
- 사법적 구제절차의 경우 시간과 비용의 소요로 국민의 권익침해 처리에는 부적당한 경우가 많음
- 이의신청 및 행정심판제도 등 행정기관내의 구제제도는 심판 받아야 할 자가 스스로 심판하게 됨
▷ 옴부즈만 제도란
- 행정기관의 위법․부당한 행정행위로 인하여 일반 국민의 권리나 이익이 침해되었을 때 옴부즈만이 국민의 대리인 입장에서 이를 신속히 조사하여 시정케 함으로써 국민의 침해받은 권익을 구제
- 1809년 최초로 스웨덴에서 설치, 주변 스칸디나비아 국가에 전파되었고, 1950년대에 세계 여러 나라에 보급됨
2. 옴부즈만 제도의 의의
○ 옴부즈만의 정의
▷ 학자들 정의
- 공무원의 직권남용이나 불량행정의 횡포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국회나 정부가 임명한 일종의 사법관(law officer)
- 관료들의 횡포와 권력의 남용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제도
- 행정감찰관의 성격을 띤 고위직 인사로 공무원의 위법․부당한 행위로 말미암아 권리의 침해를 받은 시민이 제디가흔 민원․불평을 조사하여 시정을 권고하는 사람
- 의회가 임명한 직원으로 정부관료에 대한 민원을 조사하여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인정될 경우 이를 구제하는 사람
- 공공기관의 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의회가 임명한 일종의 사법관
▷ 국제법률가협회(International Bar Association)의 정의
- 행정기관에 대한 시민의 권리침해를 구제하기 위해 설립
- 헌법 또는 법률에 설치근거를 두고 입법부에 대해 책임을 짐
- 행정기관으로부터 독립된 고위공무원을 기관장으로 두어 스스로의 발의에 의하거나 또는 시민으로부터 고충민원을 직접 접수 받아 이를 조사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의 존재
- 과오행정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한 시정조치를 권고하고 그 이행상황을 국회에 보고할 수 있는 권한의 존재
○ 옴부즈만 개념의 핵심적 요소
▷ '헌법 또는 법률‘에 근거
▷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짐
▷ “민원”을 처리하는 기관
▷ 직접조사 처리
▷ 민원해결의 수단으로 ‘권고권(recommendation)'을 행사
▷ 국회 또는 행정수반에 대해 운영상황의 ‘정례보고와 특별보고’
○ 옴부즈만 제도의 기능
▷ 일반국민과 행정기관과의 간격을 좁혀 행정을 보다 인간화하는 기능
▷ 행정처분에 대한 적정성여부 조사를 통하여 행정 통제 기능 수행
▷ 권익의 보호, 인간의 존엄성이나 민주주의적 과정에 대한 신뢰의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분쟁해결수단
▷ 합의․조정 기능
▷ 행정개혁의 중요한 역할 수행
▷ 행정의 공개성을 확대하는 기능 수행
○ 옴부즈만 제도의 유형(설치하는 곳에 따른 유형)
▷ 의회형 옴부즈만
- 스웨덴, 영국, 독일 등 채용
- 행정부로부터 독립하여 행정감시기능을 공정하게 수행
-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짊
- 순수의회형(스칸디나비아 국가), 수정의회형(나머지 국가)
▷ 행정부형 옴부즈만
- 행정부 수반의 권한에 의거 행정내부를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민원사안을 간이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음
- 행정수반에 대해 책임을 짐
- 우리나라, 프랑스 등
○ 옴부즈만 제도의 유형(업무관할 범위에 따른 유형)
▷ 일반 옴부즈만 : 전체 행정기관의 행정 전반을 관할 대상
▷ 전문 옴부즈만 : 특정한 행정분야 또는 특정한 해정기관만을 관할
○ 옴부즈만 제도의 유형(의사결정 방식에 따른 유형)
▷ 독임형
-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
- 스웨덴(4인), 오스트리아(3인), 뉴질랜드(2인)
- 개별 민원을 단독으로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간이․신속성을 우선적으로 확보
▷ 합의형
- 위원회제도의 특성상 독임형이 아닌 합의형태의 의사결정을 함
- 행정기관에 대한 시정권고 등의 결정에 있어 여러 사람의 중지를 모아 보다 신중하게 판단
3. 옴부즈만 제도의 특징
○ 간의 신속한 고충민원의 접수․처리
▷ 일반 국민이 접근하여 활용하기가 매우 용이
▷ 국민의 사소한 권리침해라도 간이 신속하게 처리
○ 공정하고 중립적인 고충민원 조사
▷ 타 행정기관으로부터의 독립성이 강함
▷ 민원조사와 결정과 관련, 어느 누구로부터 지시나 영향을 받아서는 안 됨
○ 법적 구속력이 없는 시정권고
▷ 엄격한 사법적 절차에 의하지 않고 유연한 절차로 활용 가능
▷ 사법절차상의 엄격한 대심주의 채택도 불필요
▷ 폭넓은 합의 조정권의 행사를 통하여 민원 해결 가능
○ 기존 권익구제 제도에 대한 보완
▷ 행정재량의 영역
- 지나치게 개별적인 사안인 경우가 많음
- 사법제도를 통하여 다루기에는 추상성을 띄고 있음
- 사법적 구제절차의 경우 시간과 비용의 과다로 사소한 국민의 권익침해 처리에는 부적당한 경우가 많음
4. 각국의 옴부즈만 제도
○ 스웨덴
▷ 옴부즈만이 가장 먼저 생긴 나라(1809년)
▷ 옴부즈만 권한, 임기, 해임, 예산 등 법률로 제도화하여 높은 독립성 보장
▷ 공공부문의 옴부즈만 운영이 활발
▷ 고충민원철차의 접근 용이성, 조사과정에서의 독립성, 옴부즈만의 전문성, 조사 결과의 투명성체계 등이 잘 갖추어져 있음
○ 뉴질랜드
▷ 세계에서 4번째, 영연방국가에서는 최초로 의회옴부즈만을 도입하여 성공
▷ 영국과 영연방국가들은 행정민원을 다루는 행정법원시스템을 두고 있지않는 국가이므로, 잘못된 행정처분으로 인한 국민의 권리를 구제하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
▷ 법원의 잘못에 대핸 옴부즈만의 감시/감독을 부여하지 않음
▷ 의회의 추천을 받지만 의회가 아니라 총독이 임명
▷ 공공부문 옴부즈만의 권위성 확보를 위해 옴부즈만이라는 명칭의 민간부문 사용 엄격히 제한
▷ 제도화 된 권한, 임기, 급여 등 옴부즈만의 독립성 중시 및 전문성 확보 노력
▷ 민원 관련 행정서류를 일반국민과 언론에 공개(정보공개는 전적으로 옴부즈만 자유재량)
○ 오스트리아
▷ 강력한 권한과 임기, 예산 등을 바탕으로 매우 독립적으로 운영
▷ 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옴부즈만 활동에 투명성 제고
▷ 학력, 경력, 전공, 근무경력이 매우 다양하고 오래됨
○ 미국
▷ 연방정부차원의 옴부즈만 제도가 없음
- 주정부 차원 : 아리조나, 오하이오, 미시간, 오레곤, 아이오와, 알라스카, 하와이
- 시정부 차원 : 위싱턴의 시애틀
▷ 미국에서 옴부즈만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
- 인구 및 면적 규모가 너무 큰 연방제 국가
- 대통령 중심제 하의 강한 권력분립으로 제3의 기관이 행정부 기능을 감시하는데 한계가 있음
- 옴부즈만의 기본적 요건인 중립성, 공평성, 직무집행의 독립성 유지가 어려움
※ 전문 옴부즈만 도입이 활발(교도소 옴부즈만, 의료 옴부즈만, 대학 옴부즈만, 소비자 옴부즈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