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학습(공부)하는 블로그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5-12 06:44

반응형

1. 유가증권의 수익률 구하기


  1) YIELD 함수

○ 개념

-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의 수익률을 반환하는 함수

- 주로 채권의 수익률을 계산할 때 사용

○ 구문 =YIELD(Settlement, Maturity, Rate, Pr, Redemption, Frequency, [Basis])

○ 인수

<필수 요소>

- Settlement : 유가증권의 결산일, 유가증권이 매수자에게 매도된 발행일 다음 날

- Maturity : 유가증권의 만기일, 유가증권이 만기가 되는 날짜

- Rate : 유가증권의 연간 확정 금리

- Pr :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 가격

- Redemption :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의 상환액

- Frequency : 연간 이자 지급 횟수

<선택 요소>

- Basis : 선택 요소, 날짜 계산 기준

0 또는 생략

1

2

미국 30/360

실제/실제 

실제/360 

실제/365 

유럽 20/360 


  2) YIELDMAT 함수

○ 개념 : 만기 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의 연 수익률을 반환하는 함수

○ 구문 =YIELDMAT(Settlement, Maturity, Issue, Rate, Pr, [Basis])

○ 인수

<필수 요소>

- Settlement : 유가증권의 결산일, 유가증권이 매수자에게 매도된 발행일 다음 날

- Maturity : 유가증권의 만기일, 유가증권이 만기가 되는 날짜

- Issue : 유가증권의 발행일

- Rate : 유가증권의 연간 확정 금리

- Pr :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 가격

<선택 요소>

- Basis : 선택 요소, 날짜 계산 기준


  3) YIELDDISC 함수

○ 개념 : 할인된 유가증권의 연 수익률을 반환하는 함수

○ 구문 =YIELDDISC(Settlement, Maturity, Pr, Redemption, [Basis])

○ 인수

<필수 요소>

- Settlement : 유가증권의 결산일, 유가증권이 매수자에게 매도된 발행일 다음 날

- Maturity : 유가증권의 만기일, 유가증권이 만기가 되는 날짜

- Pr :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 가격

- Redemption :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의 상환액

<선택 요소>

- Basis : 선택 요소, 날짜 계산 기준


<사용 예시>

- [G7]셀의 경우 : 결산일이 [B16]셀, 만기날짜가 [D7]셀 → [E7]셀의 이율 

              → $100 당 가격은 [C7]셀, 상환액은 [F7]셀 → 년간 2회 정기 이자 지급 

              → 수익률 24.94%

- [H7]셀의 경우 : 결산일이 [B16]셀, 만기날짜가 [D7]셀, 발행일이 [B7]셀 

              → [E7]셀의 이율 → $100 당 가격은 [C7]셀 → 연 수익률 24.16%

- [I7]셀의 경우 : 결산일이 [B16]셀, 만기날짜가 [D7]셀 → $100 당 금액은 [C7]셀,

 상환액이 [F7]셀 → 할인 증권의 연 수익률 15.09%



2. 감가상각액 구하기


  1) SLN 함수

○ 개념 : 단위 기간 동안 정액법에 의한 자산의 감가상각액을 반환하는 함수

○ 구문 =SLN(Cost, Salvage, Life)

○ 인수

▷ Cost : 필수 요소, 자산의 초기 취득가액

▷ Salvage : 필수 요소, 감가상각 완료 시의 가치, 즉 자산의 잔존 가치

▷ Life : 필수 요소, 자산의 총 감가상각 기간 수, 즉 자산의 수명 연수


  2) DB 함수

○ 개념 : 정률법을 사용하여 특정 기간 동안 자산의 감가상각을 반환하는 함수

- 정률법 : 고정 비율로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방법

- 사용 수식 : (구입 비용 - 이전 기간의 총 감가상각) * Rate

○ 구문 =DB(Cost, Salvage, Life, Period, [Month])

○ 인수

▷ Cost : 필수 요소, 자산의 초기 취득가액

▷ Salvage : 필수 요소, 감가상각 완료 시의 가치, 즉 자산의 잔존 가치

▷ Life : 필수 요소, 자산의 총 감가상각 기간 수, 즉 자산의 수명 연수

▷ Period : 필수 요소, 감가상각을 계산할 기간, Life와 같은 단위 사용

▷ Month : 선택 요소, 첫 해의 개월 수, 생략하면 12로 간주


  3) DDB 함수

○ 개념 : 이중 체감법이나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지정된 기간의 감가상각액을 계산하는 함수

- 이중 체감법 : 상각 비율을 달리하여 감가상각을 계산하는 방법

○ 구문 =DDB(Cost, Salvage, Life, Period, [Factor])

○ 인수

▷ Cost : 필수 요소, 자산의 초기 취득가액

▷ Salvage : 필수 요소, 감가상각 완료 시의 가치, 즉 자산의 잔존 가치

▷ Life : 필수 요소, 자산의 총 감가상각 기간 수, 즉 자산의 수명 연수

▷ Period : 필수 요소, 감가상각을 계산할 기간, Life와 같은 단위 사용

▷ Factor : 선택 요소, 잔액이 감소하는 비율, 생략하면 2(이중 체감법)로 간주


<사용 예시>

- [H5]셀의 경우 : 구입 시 가격이 [C2]셀 → 잔존가치는 [D2]셀 → 수명 연수는 [E2]셀인 자산의 첫 감가상각액 → 108,400(정액법은 (구입비용-잔존가치)한 값을 그냥 수명으로 나눠준다.)

- [I5]셀의 경우 : 구입 시 가격이 [C2]셀 → 잔존가치는 [D2]셀 → 수명 연수는 [E2]셀 

→ 첫 해 남은 개월은 '12-[B2]셀의 월'인 자산

→ [G5]셀의 기간의 감가상각액 → 184,223

- [J5]셀의 경우 : 구입 시 가격이 [C2]셀 → 자존가치는 [D2]셀 → 수명 연수는 [E2]셀인 자산 

→ [G5]셀의 기간의 감가상각액 → 255,200


 

3. 경과이자 및 할인율 구하기


  1) DISC 함수

○ 개념 : 유가증권의 할인율을 반환하는 함수

○ 구문 =DISC(Settlement, Maturity, Pr, Redemption, [Basis])

○ 인수

▷ Settlement : 필수 요소, 유가증권의 결산일, 유가증권이 매수자에게 매도된 발행일 다음 날

▷ Maturity : 필수 요소, 유가증권의 만기일, 유가증권이 만기가 되는 날짜

▷ Pr : 필수 요소,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 가격

▷ Redemption : 필수 요소, 액면가 $100당 유가증권의 상환액

▷ Basis : 선택 요소, 날짜 계산 기준


  2) ACCRINTM 함수

○ 개념 : 만기에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의 경과이자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ACCRINTM(Issue, Settlement, Rate, Par, [Basis])

○ 인수

<필수 요소>

- Issue : 유가증권의 발행일

- Settlement : 유가증권의 결산일

- Rate : 유가증권의 연간 확정 금리

- Par : 유가증권의 액면가,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000 사용

<선택 요소>

- Basis : 선택 요소, 날짜 계산 기준


  3) ACCRINT 함수

○ 개념 :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증권의 경과이자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ACCRINT(Issue, First_interest, Settlement, Rate, Par, Frequency, [Basis], [Calc_method])

○ 인수

<필수요소>

- Issue : 유가증권의 발행일

- First_interest : 유가증권의 최초 이자 지급일

- Settlement : 유가증권의 결산일, 유가증권이 매수자에게 매도된 발행일 다음 날

- Rate : 유가증권 발행일의 이율

- Par : 유가증권의 액면가,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000 사용

- Frequency : 연간 이자 지급 횟수

<선택요소>

- Basis : 날짜 계산 기준

- Calc_method : Settlement 날짜가 First_interest 날짜 이후일 때 총 경과이자를 계산할 방법을 지정하는 논리값

·Ÿ TRUE(1)로 지정하면 Issue에서 Settlement 사이의 총 경과이자 반환 

· FALSE(0)으로 지정하면 First_interest에서 Settlement 사이의 총 경과이자 반환

·Ÿ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TRUE 사용


<사용 예시>

- [F2]셀의 경우 : 결산일 '2011-07-01', 만기날짜 [D2]셀 → $100 당 가격 [E2]셀, 상환액 [C2]셀 

→  할인율 5.7%

- [G2]셀의 경우 : 발행일 [B2]셀, 만기날짜 [D2]셀 → 액면가 [E2]셀 → 이율 [F2]셀 

→ 경과이자 386,855

- [B15]셀의 경우 : 발행일 [B12]셀, 이자의 최초지급일 [C12]셀 → 액면가 [D12]셀 

→ 이율 [E12]셀 → 년간 이자 지급 회수 1 

→  유가증권의 [B4]셀의 날짜에 지급되는 경과이자 → 129,033






반응형
:
반응형

1. 투자의 미래 가치 구하기

 

  1) FV 함수

○ 개념 : 일정 금액을 정해진 기간 예치, 정기적으로 불입하여 일정한 이자율을 적용되는 투자의 미래 가치를 계산하는 함수

○ 구문 =FV(Rate,Nper,Pmt,[Pv],[Type])

○ 인수

<필수 요소>
    - Rate: 기간별 이율
    - Nper :총 납입 기간 수
    - Pmt : 정기적으로 적립하는 금액, 전 기간 동안 변경되지 않음
            Pmt를 생략하면 Pv 인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선택 요소>

- Pv : 현재 가치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
      생략하면 0으로 간주되며 Pmt 인수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 Type : 납입 시점을 나타내는 숫자
         기간 말 → 0, 기간 초 → 1, 생략하면 0으로 간주

 

  2) FVSCHEDULE 함수

○ 개념

▷ 초기 원금에 일련의 복리 이율을 적용했을 때의 예상 금액을 반환하는 함수
▷ 투자액에 다양한 이율을 적용했을 때의 예상 금액 계산 가능

○ 구문 =FVSCHEDULE(Principal, Schedule)

○ 인수

▷ Principal : 필수 요소, 현재 가치

▷ Schedule : 필수 요소, 적용할 이율로 구성된 배열

 

<사용 예시>

- [B4]셀의 경우 : [B2]셀의 금액 → [D3]셀의 연도를 F3:G12에서 찾아서 약정이율(4.7%)을 가져옴 → [D2]셀의 기간 → 15,097,834

- [D11]셀의 경우 : [B7]셀의 금액 → [F3:G12]의 이율로 → [D7]셀의 기간만큼 예치한 미래 가치 → 15,111,979

- [B16]셀의 경우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2. 투자 기간 및 대출 불입액 구하기

 

  1) NPER 함수

○ 개념 :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불입하고 일정한 이율을 적용되는 투자에 대한 투자 기간 수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NPER(Rate,Pmt,Pv,[Fv],[Type])

○ 인수

<필수 요소>

- Rate: 기간별 이자율
- Pmt : 각 기간의 납입액, 전 기간 동안 변경되지 않음
       Pmt에는 기타 비용과 세금을 제외한 원금과 이자 포함
- Pv : 현재 가치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

<선택 요소>

- Fv : 미래 가치 (최종 납입 후의 현금 잔고), 생략하면 0으로 간주
      예) 대출금의 미래 가치는 0
- Type : 납입 시점을 나타내는 숫자
        기간 말 → 0, 기간 초 → 1, 생략 → 0

 

  2) PMT 함수

○ 개념 : 정기적, 고정적인 지급액과 일정한 이율이 적용되는 대출금의 상환액을 계산하는 함수

○ 구문 =PMT(Rate, Nper, Pv, [Fv], [Type])

○ 인수

<필수 요소>

- Rate : 기간별 이자율
- Nper : 대출금의 총 상환 횟수
- Pv : 현재 가치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

<선택 요소>

- Fv : 미래 가치 (최종 납입 후의 현금 잔고), 생략하면 0으로 간주
- Type : 납입 시점을 나타내는 숫자
  기간 말 → 0, 기간 초 → 1, 생략 → 0

 

<사용 예시>

- [B6]셀의 경우 : [B4]셀의 이율로 → 매월 [B5]셀의 금액만큼 적립하여 [B3]셀의 금액에 도달하는 기간

- [E6]셀의 경우 : [E4]셀의 이율로 → [E5]셀의 금액을 예치하여 [B3]셀의 금액에 도달하는 기간

- [H6]셀의 경우 : [H4]셀의 이율로 → 매월 [H5]셀의 금액을 갚아나가면 [H3]셀의 대출금을 다 갚는 기간

- [B13]셀의 경우 : [B11]의 이율로 → [B12]셀의 기간만큼 →[B10]셀의 금액을 만들려면 매월 불입할 금액은 →  140,403

- [E13]셀의 경우 : [E10]셀의 금액 → [E11]셀의 이율로 [E12]셀의 기간에 반납할 경우 회당 반납액 → 893,305

 

 
3. 원금과 이자 계산하기

 

  1) PPMT 함수

○ 개념 :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일정 이율이 적용되는 투자액에 대해 주어진 기간 동안의 원금 상환액을 반환하는 함수

○ 구문 =PPMT(Rate, Per, Nper, Pv, [Fv], [Type])

○ 인수

<필수 요소>

- Rate: 기간별 이율
- Per : 납입 회차, 1에서 nper 사이의 범위로 지정
- Nper : 총 납입 기간 수
- Pv : 현재 가치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

<선택 요소>

- Fv : 미래 가치 (최종 납입 후의 현금 잔고), 생략하면 0으로 간주
- Type : 납입 시점을 나타내는 숫자
        기간 말 → 0, 기간 초 → 1, 생략 → 0

  2) IPMT 함수

○ 개념 :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납입하고 일정한 이율이 적용되는 투자에 대해 주어진 기간 동안의 이자를 계산하는 함수

○ 구문 =IPMT(Rate, Per, Nper, Pv, [Fv], [Type])

○ 인수

<필수 요소>

- Rate: 기간별 이율
- Per : 납입 회차, 1에서 nper 사이의 범위로 지정
- Nper : 총 납입 기간 수
- Pv : 현재 가치 (앞으로 납입할 일련의 금액이 갖는 현재 가치의 총합)

<선택 요소>

- Fv : 미래 가치 (최종 납입 후의 현금 잔고), 생략하면 0으로 간주
- Type : 납입 시점을 나타내는 숫자
        기간 말 → 0, 기간 초 → 1, 생략 → 0

 

<사용 예시>

- [B5]셀의 경우 : [C2]셀의 금액 → [D2]셀의 이율, [B2]셀의 기간에 거쳐 상환 → [A5]셀 회수  → 상환액 중 원금 → 7,306,408

- [C5]셀의 경우 : [C2]셀의 금액 → [D2]셀의 이율, [B2]셀의 기간에 거쳐 상환 → [A5]셀 회수  → 상환액 중 이자 → 6,800,000

- [F5]셀의 경우 : [C2]셀의 금액 → [D2]셀의 이율, [B2]셀의 기간에 거쳐 상환 할 경우 회당 상환액 → 14,106,408

※ PMT=PPMT+IPMT

 

 


반응형
:
반응형

1. 데이터 형식 변환하기


  1) WON 함수

○ 개념 : 지정된 자리에서 반올림하고 통화 형식을 사용하여 숫자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WON(Number, [Decimals])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숫자·숫자가 들어 있는 셀에 대한 참조·숫자를 계산하는 수식

▷ Decimals : 선택 요소, 소수점 이하 자릿수

음수 → Number는 소수점 위에서 반올림

            생략 → 2로 간주


  2) FIXED 함수

○ 개념 : 숫자를 지정된 자릿수에서 반올림, 마침표와 쉼표를 사용하여 실수 형식으로 지정, 결과를 텍스트로 반환하는 함수

○ 구문 =FIXED(Number, [Decimals], [No_commas])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반올림하여 텍스트로 변환할 숫자

▷ Decimals : 선택 요소, 소수점 이하 자릿수

음수 → Number는 소수점 위에서 반올림, 생략 → 2로 간주

▷ No_commas : 선택 요소

FALSE ·생략 → 반환되는 텍스트에 쉼표 포함

TRUE → 반환되는 텍스트에 쉼표 미포함


  3) VALUE 함수

○ 개념 : 숫자를 나타내는 텍스트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VALUE(Text)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변환할 텍스트가 있는 셀 참조, 따옴표로 묶인 텍스트


  4) TEXT 함수

○ 개념 : 특수 서식 문자열을 사용하여 표시 형식을 지정할 수 있도록 숫자 값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TEXT(Value, Format_text)

○ 인수

▷ Value : 필수 요소, 숫자 값·숫자 값으로 계산되는 수식·숫자 값이 포함된 셀에 대한 참조

▷ Format_text : 필수 요소, 따옴표로 묶인 텍스트 문자열의 숫자 형식

예) "m/d/yyyy" 또는 "#,##0.00"


<사용 예시>

- [D5]셀의 경우 : [C5]셀 → 'aaaa' 표시 형식 → 텍스트 화요일

- [J5]셀의 경우 : 매출액($E$5:$E$14)에서 [I5]셀(첫) 번째 큰 수를 찾아서 6자리에서 반올림하고 원 표시를 하라는 것

가장 큰 매출액은 35,400,000이지만 반올림하면 35,000,000이 된다.

- [J8]셀의 경우 : [J5:J7]셀의 평균값을 구하고 6자리에서 반올림하라는 것(배열수식에 주의)

     실제 구해진 평균은 25,666,666.7인데 6자리에서 반올림하면 26,000,000이 된다.

 

 

2. 특정 값 구하기


  1) CHAR 함수

○ 개념 : 코드 번호에 해당되는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CHAR(Number)

○ 인수

▷ Number : 필수 요소, 원하는 문자를 지정하는 코드 번호


  2) CODE 함수

○ 개념 : 텍스트의 첫 번째 문자에 대한 숫자 코드를 반환하는 함수

- 코드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문자 집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구문 =CODE(Text)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첫 번째 문자의 코드를 구하려는 텍스트

 

  3) LEN · LENB 함수

○ 개요

▷ LEN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문자 수를 반환하는 함수

▷ LENB 함수 : 텍스트 문자열에서 문자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바이트 수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함수명(Text)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길이를 확인하려는 문자열, 공백도 문자로 계산

 

<사용 예시>

- [F4]셀의 경우

▷ LEN 함수 : [C4]셀의 글자수 → 20

▷ LENB 함수 : [C4]셀의 바이트수 → 29

▷ RIGHT 함수의 Num_chars 인수 : 20*2-29-3 → 8

▷ [F4]셀의 경우 : [C4]셀의 오른쪽부터 8 글자 → 3011-203

- [C17]셀의 경우 : CODE 함수

                  [A17]셀의 첫 글자 → ①의 코드 → 43239

 

 

 

3. 대소문자 변환 및 텍스트 결합과 제거


  1)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함수

○ 개요

▷ LOWER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대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변환하는 함수

▷ PROPER 함수 : 단어의 첫 번째 문자, 문자가 아닌 문자 다음에 오는 영문자 → 대문자

나머지 문자 → 소문자

▷ UPPER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소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는 함수

○ 구문 =함수명(Text)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대소문자를 변환할 문자열

텍스트에서 글자가 아닌 문자(숫자, 기호 등)는 변환되지 않음


  2) 텍스트를 제거하는 함수

○ 개요

▷ CLEAN 함수 : 인쇄할 수 없는 문자를 텍스트에서 모두 삭제하는 함수

▷ TRIM 함수 : 단어 사이에 있는 공백 하나만 남기고 텍스트의 공백을 모두 삭제하는 함수

○ 구문 =함수명(Text)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인쇄할 수 없는 글자 또는 공백을 제거할 텍스트

 

  3) 텍스트를 결합하는 CONCATENATE 함수

○ 개요 : 최대 255개의 텍스트 문자열을 하나의 텍스트 문자열로 결합

결합된 항목은 텍스트, 숫자, 셀 참조 또는 이러한 항목의 조합일 수 있음

○ 구문 =CONCATENATE(Txt1, [Text2], ...)

○ 인수

▷ Text1 : 필수 요소, 연결할 첫 번째 텍스트 항목

▷ Text2,... : 선택 요소, 추가 텍스트 항목

 

<사용 예시>

- [G4]셀의 경우

▷ PROPER 함수

[D4]셀의 문자열을 첫 문자는 대문자로,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바꾸어 반환 → Plan

▷ LOWER 함수

[E4]셀의 문자열을 모두 소문자로 바꾸어 반환 → sta

▷ Plan+sta+09+7421 → Plansta097421

-  [H4]셀의 경우

▷ CLEAN 함수 : [F4]셀의 텍스트에서 인쇄되지 않는 문자 삭제 → 줄바꿈 기호 삭제

▷ TRIM 함수 : [F4]셀의 텍스트에서 앞 뒤의 공백 문자 삭제 → 첫 부분 공백 삭제


 

 


반응형
:
반응형

1. 특정 위치의 텍스트 추출하기


  1) 양 끝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함수

○ 첫 번째 문자부터 추출하는 함수

▷ LEFT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부터 지정한 문자 수만큼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LEFTB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부터 지정한 바이트 수만큼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끝 문자부터 추출하는 함수

▷ RIGHT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부터 지정된 개수의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RIGHTB 함수 : 텍스트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부터 지정된 길이의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함수 구문

▷ LEFT · RIGHT 함수 구문 =함수명(Text,[Num_chars])

▷ LEFTB · RIGHTB 함수 구문 =함수명(Text,[Num_bytes])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추출할 문자가 들어 있는 텍스트 문자열

▷ Num_chars : LEFT · RIGHT 함수의 선택 요소, 함수로 추출할 문자 수를 지정

- Num_chars는 0이거나 0보다 커야 함

-Ÿ Num_chars가 문자열의 길이보다 길면 텍스트 전체를 반환

-Ÿ Num_chars를 생략하면 1로 간주됨 

- Num_bytes : LEFTB · RIGHTB 함수의 선택 요소, 함수로 추출할 바이트 수를 지정


  2) MID 함수

○ 개요 : 문자열의 지정된 위치에서부터 지정한 만큼 문자 수를 반환하는 함수

○ 구문 =MID(Text, Start_num, Num_chars)

○ 인수

▷Ÿ Text : 필수 요소, 추출할 문자가 들어 있는 텍스트 문자열

▷Ÿ Num_chars : 필수 요소, 함수로 추출할 문자 수를 지정

- Num_chars는 0이거나 0보다 커야 함

- Num_chars가 문자열의 길이보다 길면 텍스트 전체를 반환

- Num_chars를 생략하면 1로 간주됨

▷Ÿ Start_num : 필수 요소, 추출할 첫 문자의 위치


<사용 예시>

- [B4]셀의 경우 : LEFT 함수, [A4]셀에서 왼쪽에서 두 글자 → PR

- [C4]셀의 경우 : RIGHT 함수, [A4]셀에서 오른쪽에서 네 글자  → 2010

- [D4]셀의 경우 : MID 함수, [A4]셀에서 네 번째 글자부터 네 글자  → A001



2. 텍스트 비교 또는 찾기


  1) EXACT 함수

○ 개요 : 두 문자열을 비교하여 정확하게 일치 → TRUE 반환, 일치하지 않으면 → FALSE 반환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만 서식 차이는 무시

- 문서에 입력되는 텍스트 검사 가능

○ 구문 =EXACT(Text1, Text2)

○ 인수

▷ Text1 : 필수 요소,  첫 번째 텍스트 문자열

▷ Text2 : 필수 요소, 첫 번째 문자열과 일치하는지 비교할 두 번째 텍스트 문자열


  2) FIND · SEARCH 함수

○ 개요 : 문자열에서 특정 텍스트 문자를 검색한 후, 첫 문자를 기준으로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 숫자로 반환하는 함수

- FIND 함수 : 대/소문자를 구분하고 와일드 문자 사용 불가 

- SEARCH 함수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으며 와일드 문자 사용 가능

○ 함수 구문 =함수명(Find_text, Within_text, [Start_num])

○ 인수

▷ Find_text : 필수 요소, 찾을 텍스트

▷ Within_text : 필수 요소, Find_text 인수에서 찾으려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자열

▷ Start_num : 선택 요소, Within_text 인수에서 찾기 시작할 문자의 위치

-Ÿ Within_text에서 첫 문자의 문자 번호는 1 

-Ÿ Start_num을 생략하면 1로 간주


<사용 예시>

- [F4]셀의 경우 : @ 문자 앞의 아이디의 글자 수를 구하는 수식

FIND 함수의 결과값 → [D4]셀에서 '@'의 위치 검색 → 8 

※ 아이디의 글자 수 → 8-1 → 7

- [G4]셀의 경우 : EXACT 함수, [E4]셀과 [C4]의 세 번째 부터 오른쪽에서 네 글자를 비교

→ 둘 다 1129 → 부적합

※ G4셀은 신청 비밀번호가 주민번호 중 세 번째부터 오른쪽으로 네 글자와 같으면 "부적합", 그렇지 않으면 "적합"으로 표시하라는 수식



3. 텍스트의 문자 바꾸기


  1) REPLACE 함수

○ 개요 : 지정한 문자 수에 따라 텍스트 문자열의 일부를 다른 텍스트 문자열로 바꾸는 함수

- 문자열의 특정 위치에 있는 텍스트를 바꿀 때 사용

○ 구문 =REPLACE(Old_text, Start_num, Num_chars, New_text)

○ 인수

▷ Old_text : 필수 요소, 일부 문자를 바꿀 텍스트

▷ Start_num : Old_text에서 New_text로 바꿀 문자의 위치

▷ Num_chars : Old_text에서 New_text로 바꿀 문자의 수

▷ New_text : Old_text에 바꿔 넣을 새 문자열


  2) SUBSTITUTE 함수

○ 개요 : 문자열에서 Old_text를 New_text로 바꾸는 함수. 문자열의 특정 텍스트를 바꿀 때 사용

○ 구문 =SUBSTITUTE(Text, Old_text, New_text, [Instance_num])

○ 인수

▷ Text : 필수 요소, 문자를 대체할 텍스트가 포함된 셀의 참조 또는 텍스트

▷ Old_text : 필수 요소, 바꿀 텍스트

▷ New_text : 필수 요소, Old_text를 대신할 텍스트

▷ Instance_num: 선택 요소, Text에서 몇 번째에 있는 Old_text를 New_text로 바꿀 것인지를 지정하는 수

-Ÿ Instance_num를 지정하면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Old_text만 바뀜

-Ÿ Instance_num를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Old_text가 New_text로 바뀜


<사용 예시>

- [E4]셀의 경우 : [C4]셀 값이 "대리"인지 확인 → 대리 아님 → [D4] 값을 그대로 가져옴

※ [E4]셀은 [C4]셀 값이 "대리"이면 [D4]셀의 앞 두 자리를 "D1"으로 고쳐라는 것.

- [G4]셀의 경우 : [F4]셀에서 "("를 찾아서 모두 빈칸("")으로 바꾸고, ")"를 찾아서 모두 "-"로 바꿔라는 것

(02)9231-2054 → 02-9231-2054




반응형
:
반응형

1.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은 우리말을 로마자를 이용해서 적는 것을 가리킨다.

 

  서울seoul, 국민 gungmin

 

  ‘서울’은 ‘ㅅ-s, ㅓeo, 우-u, ㄹ-l’로 적은 것이고 ‘gungmin’은 ‘국민’의 소리 ‘궁민’을 ‘ㄱ-g, ㅜ-u, ㅇ-ng, ㅁ-m, l-i, ㄴ-n’을 적은 것이다.

  이에 비해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에서 들어온 개념이나 물건의 이름 따위를 우리말로 옮겨 적은 것을 가리킨다.

 

  computer 컴퓨터, coffee shop 커피숍

 

 

2. 로마자 표기법 묻고 답하기

 

 

[질문1] 신라’는 Sinla인가, Silla인가?
[답] ‘신라’는 소리 나는 대로 Silla로 적는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은 우리말의 소리를 적도록 되어 있다. 이는 외국인에게 우리말의 발음을 알려 주기 위한 것이다. ‘신라’를 Sinla로 적어 놓고 [실라]로 읽기를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런 까닭에 ‘종로’는 Jongno, ‘독립문’은 Dongnimmun으로 적는다.

 

[질문2] 널리 알려진 지명도 고쳐야 하는가? ‘제주’는 Cheju로 적을 수 없나?
[답] 널리 알려진 지명도 고쳐야 한다. ‘제주’ Jeju, ‘부산’은 Busan이 된다. 널리 알려진 지명이라고 예외를 둘 경우에는 어떤 지명은 종전의 표기법대로 적고 어떤 지명은 새 표기 법에 따라야 하는지 판단할 수가 없어서 큰 혼란에 빠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질문3] 학교와 같은 단체명은 종전의 표기법을 그대로 쓸 수 있는가?
[답] 그대로 쓸 수 있다. 즉 ‘건국’은 Konkuk으로 ‘연세’는 Yonsei로 쓸 수 있으며 ‘현대’는 Hyundai로 ‘대우’는 Daewoo로 쓸 수 있다. 그렇지만 지명이 포함되어 있는 ‘부산대학교’, ‘제주대학교’ 등은 모두 지명에 맞춰 로마자 표기를 바꾸어야 한다.

 

[질문4] 길 이름의 로마자 표기는 어떻게 되나?

[답] 길 이름에 숫자가 들어 있는 경우는 숫자 앞에서 띄어 쓰고 숫자 뒤의 (  )안에 숫자의 우리말 발음을 로마자로 적는다. 예를 들어 ‘장미1길’은 Jangmi l(il)-gil, ‘장미2길’은 Jangmi 2(i)-gil로 적는다. ‘-길’ 대신 ‘-가’를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종로1가’, ‘종로2가’는 Jongno 1(il)-ga, Jongno 2(i)-ga로 적는다. 다만 ‘로(路)’의 경우에는 이와는 달리 붙임표를 넣지 않고 음운 환경에 따라 lo, ro, no 등으로 구분해서 적는다. 예를 들어 ‘한강1로’, ‘한강2로’, ‘한강3로’는 Hanggang 1(il)lo, Hanggang 2(i)ro, Hanggang 3(sam)no로 적는다.

 

[질문5] ‘신반포’의 경우 Sinbanpo인가, New banpo인가?

[답] 행정 구역 단위나 지명인 경우에는 전체가 하나의 이름이기 때문에 전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그러므로 Sinbanpo가 옳다. ‘북수원’, ‘서대전’, ‘동대구’ 등도 Buksuwon, Seodaejeon, Dongdaegu 등으로 적는다.

 

[질문6] ‘강서소방서길’은 어떻게 적나? ‘소방서’를 영어 번역어로 적어야 하는가?

[답] ‘Gangseosobangseo-gil'로 적는다. 길 이름을 로마자로 적을 때는 국어의 발음을 로마자로 적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다음의 두 가지는 예외이다.

(1) 길 이름에 외래어가 사용된 경우에는 외래어 원어를 밣혀 적는다.

올림픽길 Olympic-gil(O) Olimpik-gil(X)

(2) 학교나 회사에서 쓰는 관습적 표기를 인정하여 기관이나 단체 등의 이름이 길에 붙는 경우 원래의 기관 이름과 일치하도록 적는다.

연세대길 Yonseidae-gil(O) Yeonsedae-gil(X)

 따라서 ‘강서소방서길’을 로마자로 적을 때 ‘Gangseo Fire Station-gil’처럼  영어 번역어를 쓰지 않고 ‘Gangseosobangseo-gil’처럼 국어 발음대로 쓴다.

 

[질문7] ‘로(路)’는 붙임표를 써서 따로 표시하나? ‘종로’는 Jong-ro인가, Jongno인가?

[답] ‘로’는 붙임표를 써서 따로 구분하지 않는다. 즉 ‘종로’는 Jongno이다. 로마자 표기법에는 행정 구역 단위를 나타내는 ‘도, 시, 군, 구, 읍, 면, 리, 동’과 ‘길, 가(街)’ 앞에 붙임표를 넣고, 붙임표 앞뒤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청량리’는 Cheongnyang-ri로 적고 ‘현북면’은 Hyeonbuk-myeon으로 적는다. ‘로’는 이와는 달리 붙임표 없이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즉 ‘종로’, ‘통일로’, ‘을지로’는 각각 Jongno, Tongillo, Euliiro로 적는다.

 

[질문8] ‘김치’와 ‘태권도’의 로마자 표기

[답] ‘김치’와 ‘태권도’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적 상징물로, Oxford English Dictionary등 일부 영어 사전에 이미 Kimchi, taekwondo로 등재되어 있다.
  이것을 예외로 인정하여 그대로 쓰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새 표기법에 맞게 gimchi, taegwondo로 쓰는 것이 원칙적으로 옳다.
  영어권에서 그들이 써 오던 방식에 따라 kimchi, taegwon으로 쓰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우리가 홍보물이나 안내 책자를 새롭게 만들 때에는 로마자 표기법에 맞게 gimchi, taegwondo로 써야 한다. 다만 상품의 이름이나 제품명 등으로 이미 사용해 오고 있는 경우에는 kimchi, taekwondo를 계속 쓸 수 있다.

 

[질문9] '불국사', '화엄사'의 로마자 표기

[답] Bulguksa, Hwaeomsa 등으로 적는다. '불국사', '화엄사' 전체를 한 단어로 보아 전체를 로마자로 적는다.
  마찬가지로 '금강', '속리산' 등도 Geum River, Songni Mt.으로 적지 않고, Geumgang, Songnisan으로 적는다. 다만 외국인들에게 그 명칭이 나타내는 대상이 무엇인지 뜻을 보여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Bulguksa (Temple), Songnisan (Mountain), Deoksugung (Palace)처럼 해당하는 영어 단어를 ( ) 안에 표기한다.

 

[질문10] '북악'의 로마자 표기

[답] ‘북악’은 Bukak으로 적기 쉽다. k, t, p로 적는 것은 'ㄱ, ㄷ, ㅂ'이 받침 '글자'일 때가 아니라 받침 '소리'일 때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북'이라는 글자에 이끌려서 자칫 '북'이 들어간 말을 모두 Buk로 적기 쉬운데, 로마자 표기는 글자가 아니라 발음에 따라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똑같은'북'이라도 '북부'처럼 자음 앞에서는 'ㄱ'이 받침 소리가 되어 Bukbu로 적어야 하지만, '북악'처럼 뒷말이 모음으로 시작할 때는 'ㄱ'받침이 뒤 음절의 첫소리가 되어 [부각]으로 소리가 나므로 Bugak로 적는다.
  마찬가지로 'ㄱ' 받침 뒤에 'ㄴ'이나 'ㅁ' 소리가 오면 'ㄱ' 소리가 'ㅇ' 소리로 바뀌므로 그때에는 ng로 적는다. 따라서 '북문'은 [붕문]으로 소리나므로 Bukmun이 아니라 Bungmun으로 적는다.

 

[질문11] '낙동강'의 로마자 표기

[답] ‘낙동강’은 [낙똥강]으로 소리 나더라도 Nakdonggang로 적습니다.
  우리말의 된소리되기 현상은 음운 환경에 따라 예측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물고기'와 '불고기'의 '고기'는 똑같이 'ㄹ' 소리 다음에 있지만 [물꼬기]에서는 된소리가 되나 [불고기]에서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어떤 경우에 된소리가 나는지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표기하지 않기로 한 것이다.
  된소리되기를 표기에 반영하지 않은 경우, [낙똥강]과 [물꼬기]를 외국인들이 [낙동강], [물고기]로 부자연스럽게 발음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을 우리가 '낙동강', '물고기'로 알아듣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팔당, 일산' 등도 발음이 분명히 [팔땅], [일싼]으로 나지만 된소리 발음을 무시하고 Paldang, Ilsan으로 적는다. 또 '당고개'도 발음에 관계없이 Danggogae로 적는 것이 맞는다.

 

[질문12] ‘낚시’의 로마자 표기

[답] ‘낚시’의 받침 'ㄲ'은 'ㄱ'으로 발음 되므로 kk가 아닌 k로 적는다.
  즉 '낚시'는 [낙씨]로 발음되므로 naksi로 적어야한다. 다만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않는다는 규정 때문에 [낙씨]를 nakssi로 적지 않고 naksi로 적는다.

 

[질문13] 이름의 로마자 표기

[답] 사람 이름을 적을 때에는 우리말 어순에 따라 성을 앞에, 이름을 뒤에 적는다. 성과 이름 사이에는 반점(,)을 찍지 않고 띄어 쓴다. 또한 이름은 음절과 음절 사이를 붙여 쓰며, 음절을 반드시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붙임표를 넣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란 이름은 Hong Gildong 또는 Hong Gil-dong로 쓴다. 성을 이름 뒤에 적는 방식(Gildong Hong)은 물론, 이름의 각 음절 사이를 띄어 쓰거나(Hong Gil dong), 이름의 두 번째 음절 첫 자를 대문자로 쓰는 방식(Hong GilDong)은 옳지 않다.

 

  Hong Gildong (원칙)
  Hong Gil-dong (허용)
  Gil Dong Hong (×)

 

  또한 이름의 음절 사이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고 글자대로 쓴다. 예를 들어 '한복남'이라는 이름은 [한봉남]으로 소리 나지만, 발음에 따라 Han Bongnam(또는 Han Bong-nam)으로 적지 않고 철자에 따라 Han Boknam(또는 Han Bok-nam)으로 적는다. 이것은 한자(漢字)로 된 이름뿐만 아니라 고유어 이름도 마찬가지여서, '빛나'도 Binna가 아니라 Bitna(또는 Bit-na)로 적는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이름은 대개 한 자 한 자마다 의미가 있고, 특히 항렬을 따르는 경우가 많아서 각 음절별로 음가를 살려 적도록 한 것이다.

 


3. 외래어 표기법 묻고 답하기

 

 

 

 

 

 

 ※ 주의사항 ☞ ‘외래어 표기법’은 일반인이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국어사전을 이용하거나 전문 상담 기관에 문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