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생성 배경
○ 찰스 다우: 다우존스 엔 컴퍼니 공동 설립자, 최초로 주식시장평균(11개 회사)을 만들었고, 확장해서 12주식 공업지수와 20주식 철도지수를 만듦. 주식시장 움직임에 대한 그의 생각을 <윌스트리트 저널>에 사설로 기고, 이론보다는 다우지수로 더 많이 알려지지 않았나 생각.
○ 다우이론: 다우가 죽은 이듬해인 1903년에 기고한 글을 묶어 사무엘 넬슨이 <주식투자의 기본>이란 책으로 만들었는데 처음으로 '다우이론'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함.
2-2. 기본 원리
① 평균값은 모든 것을 반영한다. - 예상 또는 이미 알려진 모든 정보는 시장 평균에 모두 반영되어 있다.
② 시장은 3개의 추세를 가진다.
- 주추세: 1년 이상 지속될 수 있는 장기적인 추세(바다의 조수)
- 중추세: 주추세 내에서의 조정 추세, 보통 3주에서 6개월 정도 지속. 중기추세의 조정국면에서 이전 주요추세에 따른 가격변동의 30-60%가 상쇄되어 조정되기도 함(조수를 만드는 파도)
- 소추세: 3주 미만으로 지속되는 중추세 내에서의 가격 변동(파도를 만드는 잔물결)
③ 주추세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 축적단계, 대중참가단계, 분배단계
- 축적단계: 가장 통찰력 있는 투자자가 정보에 근거하여 매수하는 단계, 거래량 증가와 함께 가격 상승
- 대중참가단계: 가격이 상승하고 사업적으로 좋은 뉴스가 퍼져 추세에 따라 거래하는 투자자의 시장참여 단계
- 분배단계: 매스컴이 호의적으로 반응하고 투기적 거래와 대중의 참가가 증가하는 단계, 축적단계 투자자가 분배하는 단계
- 하락장의 경우: 배포단계, 대중참가단계, 패닉(또는 절망)단계
④ 평균지수들은 반드시 서로를 확인한다. - 공업과 철도 평균지수의 상관관계
⑤ 거래량은 반드시 추세를 확인해야 한다. - 거래량과 가격추세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다.
- 상승추세: 가격 상승하면 거래량도 증가, 가격 하락하면 거래량도 감소
- 하락추세: 가격 하락하면 거래량은 증가, 가격 상승하면 거래량은 감소
- 위와 다른 패턴이 나오면 추세의 전환 가능성을 암시
⑥ 어떤 추세가 반전했다는 명확한 신호를 보이기까지는 그 추세가 유효한 것으로 가정한다.
2-3. 한계점
○ 종가에만 의존: 지수는 장중 움직임이 활발하다.
○ 신호와 추세 식별 지연
2-4. 평가
○ 기술적 분석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 선진 기법들이 여기서 부터 시작
○ 경기지표로서 주식시장을 이용
'경제공부 > 기술적 분석(주식, 선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기술적 분석의 배경 철학 (0) | 2025.01.26 |
---|---|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을 시작하며 (3)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