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12강] 가상화 엔진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3-29 14:36

[12강] 가상화 엔진

컴퓨터 활용/클라우드 컴퓨팅 | 2012. 7. 15. 19:16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가상화 엔진의 개념


  ○ 가상화 엔진

    ▷ 가상액세스(Virtual Access), 가상관리(Virtual Management), 가상자원(Virtual Resources) 의 3가지 모두에 대한 점진적인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본 서비스를 제공한다.

    ▷ 여기에는 모든 지원 플랫폼들에 걸쳐서 공통된 가상화 역량을 제공하는 핵심 컴포넌트들 뿐만 아니라 플랫폼에 고유한 가상화 역량 및 확장성이 포함되어 있다.

    ▷ 아래 그림은 가상화 엔진 플랫폼의 기본 개념도 이다


  ○ 가상화 엔진 (플렛폼)의 목표

    ▷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모든 플랫폼에 걸쳐서 공개 표준의 사용자 요구의 지원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 가상화 엔진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은 오픈 인터페이스와 산업표준 체계를 사용함으로써 서드파티 (Third Part) 제품들도 상호 작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 상호 연동성을 기반으로 설계된 플랫폼은 점진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비즈니스 지향의 관리 솔루션을 구축하기 위한 빌딩 블록으로서의 집합체의 성격을 본질적으로 가지게 된다.

    ▷ 또 다른 주요 목표는 사용자의 경험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 초기의 관심사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가상화를 주요한 관리 전략의 하나로써 좀 더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서 사용자들로 하여금 가상화 환경을 시각화하고 제어하는 것을 수월하게 해주는 것이다.

      - 가상화 엔진 플랫폼은 관리의 중앙 집중화와 자원들이 서버 플랫폼들에 걸쳐서 관리되는 방식에 있어서 일관성을 제공한다.

    ▷가상화 엔진 플랫폼은

      - 가상화에 대하여 진화하는 접근방법을 제공한다.

      - 고객들은 워크로드 관리, 자원의 발견 및 기타 등에 있어서 단순한 물리적 분할에서부터 진보된 형태의 소규모 분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가상화의 도입을 시작할 수 있으며, 관리되는 가상화 환경의 범위는 하나의 하드웨어 박스에서부터 혼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멀티티어(multi-tier) 이기종 서버들의 집합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

    ▷ 가상화에 대한 고객들의 투자는 

      - 다수의 시스템이 뭉친 스케일-아웃 형태에서 물리적으로 통합된 시스템인 스케일-업 형태로 나아갈수록 더욱 더 투자보호 효과가 높아진다.

      - 같은 종류의 가상화 서비스가 사용되어지므로 어떤 플랫폼으로 이전되든지 간에 기존의 관리 및 보안 부분을 새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 간단히 가상화 엔진에 있어서 

        • 가상 관리 및 가상 액세스 서비스의 전반적인 개요와 구성요소들을 알아보고 향후 어떠한 모습으로 발전할 것인가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1) 가상 관리(Virtual Management)

    ▷ 가상 관리 서비스에는 아래와 같이 고객들이 가상 시스템의 운영을 단순화하고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3가지 제품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 Enterprise Workload Manager (EWLM)

        • Resource Dependency Service (RDS)

        • Director

(가상관리를 위한 가상화 엔진의 전체적인 그림)


  ○ EWLM을 이용한 전사적 워크로드 관리 방법

    ▷ EWLM은 오픈소스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응답 측정용 표준(ARM, Application Response Measurement)을 사용하여 수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성능 데이터를 얻는다.

      - ARM 표준을 지원하는 제품과 벤더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 이중에서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 웹스피어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 DB2 UDB,

      - 아파치 웹서버,

      - 마이크로소프트의 IIS 서버 그리고

      - 웹스피어 MQ

      - JMS 메시징 등이 있다.

    ▷ 워크로드 매니저에서 소개된 개념을 확장한 EWLM은 널리 인증된 기술을 적용하여 멀티 티어, 이기종 환경에서 사용자가 정의한 서비스 레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워크플로우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준다.


  ○ EWLM을 이용한 전사적 워크로드 관리 방법

    ▷ 아래 페이지 그림처럼 워크로드 관리는 개별 서버수준 WLM에서 파티션들간의 PLM을 거쳐서 전체 IT 인프라에 걸친 워크로드 개념인 EWLM으로 개념적으로 나 기술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 자원 관계 서비스(RDS : Resource Dependency Service)

    ▷ 오늘날 IT 매니저가 당면하고 있는 주요한 이슈들 중의 하나인, 어떤 자원들이 존재하며 어떻게 이들 자원들이 서로 연관 지어져 있는가에 대한 이슈들을 다룬다 . RDS에 대한 전략은 스스로 표현 가능(selfdescriptive) 인프라스트럭쳐 컴포넌트(Manageable Resources라고도 불림) 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토폴로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 관리 가능한 자원이 공식적으로 나오기 전까지 RDS는 다양한 기술들을 사용하여 기존 애플리케이션, 도구 및 IT 시스템들로부터 자원과 관계 데이터를 발견 및 추출할 것이다. RDS는 공개 표준을 사용하여 자원의 상태를 표시하며, 관리 가능한 자원들을 액세스하고 관리하는데 업계 표준을 활용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화 할 것이다.

    ▷ 따라서 RDS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관리 가능한 자원이 기반이 되는 시스템 관리의 발전에 대한 첫걸음이 된다.

    ▷ 아래 그림은 RDS의 전체적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여주고 있다.

      - 가상화 엔진에서 RDS는 기업 내에 존재하는 자원들간의 관계 및 의존성, 자원들의 속성 및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한 뷰로 구축해주는 토폴로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러한 토폴로지는 가상화 엔진 콘솔 상에 표시된다.


   ○ 관리자 (Director)

    ▷ 가상화 엔진 플랫폼에서 Director는 하나의 단일 콘솔에서 IT 관리자는 원격지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고 프로세서, 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핵심 요소들에 대한 사용량과 성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 서버 시스템 기반 위에 하드웨어 및 가상 파티션을 관리할 수 있는, 공통되고 일관된 솔루션을 제공해준다. 고객들은 Director를 이용하여 분산된 환경에서 서버 및 저장공간 등을 원격 관리 콘솔을 구동시킴으로써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플랫폼에 고유한 관리 노력과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제거시켜 준다.

      - 따라서 자원 발견, 이벤트 로그 및 액션 플랜, 파일 전송, 인벤토리 수집, 프로세스 관리, 자원 모니터링 및 한계치 등을 포함한 수많은 이전의 수작업들이 자동화 되어진다.

      - 경고와 관련이 깊은 예측적이고 사전 대응적인 관리 기능들과 실시간 시스템 진단 기능은 서버의 가용시간을 최대화하고 다운타임으로 인한 비용을 최소화시켜 준다.


      2) 가상 액세스(Virtual Access)

  ○ 가상 액세스(Virtual Access) 서비스는 가상화된 자원들에 대하여 시각적인 면과 프로그래밍 측면 2가지 모두에서 일관된

인터페이스 액세스를 제공해준다.


  ○ 여기에는 아래의 3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 VE Console,

       - Programmatic Interfaces,

       - 관리 가능한 자원(Manageable Resources)


  ○ VE 콘솔(VE Console)

    ▷ VE Console은 기업 수준에서 가상화된 인프라스트럭쳐에서 자원들을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의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헬스 센터와 단일 지점 관리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 Health Center : 분산된 시스템과 스토리 관리 환경에 걸쳐서 모든 시스템 자원들의 헬스에 대한 통합 뷰 제공

      - 단일 지점 관리 : 가상화 엔진의 다양한 기능들과 Director를 포함하여 서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스토리지 관리 콘솔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장소 다양한 관리 시스템들로부터 얻은 자원 정보를 이용해서 헬스 센터는 실시간으로 자원의 상태와 헬스를 그래프와 차트 형태로 나타내 준다. 관리자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경고 정보를 받아서 문제 상황을 심도 있게

파헤치고, 적합한 조치를 취하고 다른 주요 시스템과 스토리지의 관리 기능을 헬스 센터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또한 RDS를 통해 들어온 자원의 토폴로지 정보를 봄으로써 자원의 관계와 의존성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헬스 센터와 토폴로지 지원은 다른 콘솔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과 결합되어지면 구체적인 OS 지식이 없어도 어느 정도 개별적인 OS 관리를 할

수 있게 도와준다.


  ○ Programmatic Interfaces

    ▷ 가상화 엔진 플랫폼 서비스는 웹 서비스 기반의 SOA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 표준 기반의 컴포넌트 수준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가상화 엔진의 서비스는 어디서나 상호 연동성을 가지게 되었다.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벤더들은 가상화 엔진의 이러한 서비스를 포함하거나 확장 또는 개발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 가상화 엔진 플랫폼 서비스는 리소스 모델, 프로파일 및 액세스 프로토콜을 관장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진화하기 시작했다. 그러한 표준들에는 아래와 같이 3가지 레벨이 있다.

         웹 서비스 접근 인터페이스

         웹 서비스 지원 모델로 맵핑 인터페이스

         자원 모델링 인터페이스


  ○  관리 가능한 자원  (Manageable Resources)

    ▷ 가상화 엔진 서비스는 관리 가능한 자원을 이해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관리 가능한 자원이란 가상 인프라스트럭쳐의 빌딩 블록으로써 전사적 차원에서 자원이 발견되고 공유되며, 관리되어지고 프로비져닝 되어지도록 해주는 핵심 요소이다.

    ▷ 오늘날 시스템 자원들은 전형적으로 각기  독립적인 관리도구와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관리 가능한 자원은 이러한 장애들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 자원 관리를 위해 업계 공개 표준인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각각의 관리 가능한 자원은 해당 자원을 발견, 확인, 관리 및 사용하기에 필요한 정보를 자체 내에 내재하고 있다, 실제로 각 자원은 호출 가능한 서비스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웹 서비스를 사용해서 어떤 스토리지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스토리지로 옮기거나 OS를 리부팅 할 수 있다. 관리 가능한 자원은 그것이 나타내는 자원과의 상호 작용을 다룰 수도 있다. 자원에 대하여 작동할 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은 웹 서비스를 사용하여 자원들 간의 상세한 구성 정보, 상태 및 관계 등을 발견, 확인, 획득 및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관리 가능한 자원들은 또한 그래픽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 아래 그림 처럼 관리 가능한 자원들은 시스템 자원들에 대한 스마트한 가상적 표현으로써, 벤더와 플랫폼에 중립적이면서 자기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이며,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표준 웹 서비스를 통해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 및 사용될 수 있다.



      3) 가상화 엔진 플랫폼의 미래 발전 전망

         - 프로그래밍 가능한 인터페이스 사용의 확장과 관리 가능한 자원 풀의 구축에 더하여 한층 더 진보된 가상화 기술은 향후 가상화 엔진 플랫폼을 통해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 여기에 덧붙여 결함 또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최소한의 중단(초/분,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후에 안정화된 재 시작을 모니터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것이며, 애플리케이션을 다른 서버(또는 같은 서버내의 다른 파티션으로)로 옮겨갈 수 있는 기능도 함께 제공될 계획이다.

        - 이러한 통합 과정은 진보된 서비스와 자원들은 공개 표준의 웹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드러날 것이며, 비즈니스의 연속성과 진보된 가상화 기능 및 스토리지와 서버의 혁신적인 기능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활용될 것이다.


  ○ 아래 그림 같이 다양한 서버의 가상화 기술을 연결하고 재사용하는 시스템 디자인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며, 서비스 기반의 협업 프로세싱 인프라스트력쳐를 지원하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근본 바탕을 이룰 것이다. 



  ○ 우리는 지금까지 가상화가 무엇이며, 가상화가 왜 중요하며 그리고 어떤 기술들이 현재 또는 조만간에 사용 가능한지 살펴보았다. 또한 다양한 업계 선도적 가상화 기술들과 이와 관련된 가상화 오퍼링인 가상화 엔진에 대하여 또한 간략히 살펴보았다.

    ▷ 이를 통해 우리는 가상화가 새로운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기존 자원들로부터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혁신적인 서버, 네트워크 및 스토리지 가상화 제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왔기 때문이다.

    ▷ 또한 기업들은 그동안 가상화를 통해 증가된 활용률, 더 높아진 가용성 및 확장성, 더 커진 유연성 및 더 낮아진 IT와 관리 비용 등의 혜택을 얻어 왔기 때문이다.

    ▷ 이제 협업 처리가 중요시되는 시기가 도래하게 되면 많은 기업들은 점차 복잡해지고, 고비용을 요구하면서도, 온 디맨드 비즈니스를 위한 핵심적인 역량인 상호 연동성과 유연성은 부족한 기존의 IT 환경으로는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을 감당할 수 없음을 직관적으로 깨닫게 될 것이다.

    ▷ 따라서 기업들은 진보된 가상화 역량들을 활용함으로써 기업들은 단순화되고 유연한 IT 인프라스트럭쳐를 이룰 수 있다.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강] 공공 클라우드  (0) 2012.07.16
[14강] 클라우드 오해  (0) 2012.07.16
[11강] 스토리지 가상화  (0) 2012.07.13
[10강] 서버 가상화  (0) 2012.07.13
[9강] 가상화 개념  (0) 201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