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공부)하는 블로그 :: '공공 클라우드' 태그의 글 목록
 

 

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Recent Trackback»

04-18 08:41

 

'공공 클라우드'에 해당되는 글 2

  1. 2012.07.16 [15강] 공공 클라우드
  2. 2012.07.05 [2강] 클라우드 기반 기업 모델
 

[15강] 공공 클라우드

컴퓨터 활용/클라우드 컴퓨팅 | 2012. 7. 16. 14:44 | Posted by 깨비형
반응형

1. 공공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필요성

 

  ○ 최근의 ICT 기술 중에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 중의 하나가 바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 시장조사기관인 IDC의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전망 보고서에 의하면, 전체 ICT 관련 지출의 10%인 442억 달러가 클라우드 서비스 지출 비용으로 소요된다고 예상하였다.
    ▷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매출의 성장세는 다른 전통적인 ICT 제품에 비하여 여섯 배 이상이 될 것 이라고 전망하였다.
    ▷ 또한, 미국, 일본, 영국, 독일 등의 선진국들은 탄소량 배출 감소를 위한 Green ICT의 구현과 예산을 절감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도입하고 적용하는데 적극적이다.

 

  ○ 이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2009년에 이르러서야 정부 및 민간 차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위한 움직임에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정부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각종 연구와 정책에 대한 수행하고 있다.
    ▷ 본 마지막 강의는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공공부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를 발굴하여,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로 제안하였던 내용을 소개한다.

 

  ○ 선행조건
    ▷ 클라우드 컴퓨팅을 공공부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 바로 관련 법률 및 각종 제도의 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고려한 SLA 관련 표준이 필요하다.
      -  특히 공공부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플랫폼의 경우 공공부문의 제품을 활용하고, 해당 소프트웨어만 민간 업체의 서비스 혹은 솔루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고려가 필히 반영되어야 한다.
      - 보안에 관련된 이슈의 경우,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등과 같은 기존의 법률들을 이용해 적용이 가능하나 KISA의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과 정보보호 안전진단제도 경우에는 정비가 필요하다.
    ▷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민간 기업을 육성하고,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다양한 업체들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  이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각종 기반 기술들을 표준화해야 한다.
    ▷ 이밖에도 클라우드 컴퓨팅과 관련된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새로운 학과의 신설이나 기존에 존재하는 학과들을 활용한 특화된 전문가 과정 등의 개설을 고려해야 한다.

 

 

2. 공공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유형

 

  ○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의 SaaS로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
    ▷ 기존의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의 경우 한번 구축되고 난 후에는 최소 2~3년에서 5~6년 동안은 버그 수정 및 기능 개선만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업용(실제 사용료는 무료)으로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요구 및 새로운 기술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지만, 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메일 서비스들은 몇 년 전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현재,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의 사용률이 매주 저조하다. 이는 통합 메일 시스템을 구축할 당시에 사용자의 아이덴티티 (기존 메일 주소 사용 보장 여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 정부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대한 구성원의 불신감 때문이다. 대부분의 공공 부문의 메일 시스템은 새로운 제품을 도입하는 경우 기존 보관 중의 메일의 전환이 지원되지 않거나, 전환되더라도 불편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 전환을 수행하더라도 기술적인 제약 조건이 거의 없으며, 기존 업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전환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공공부문 적용에 대한 다양한 적용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공직자 통합 메일 시스템의 SaaS기반으로의 전환 절차
    ▷ 아래의 그림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다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한다.
      -  Open 메일 시스템 아키텍쳐를 결정한다.
      -  업체 선정 절차를 시행한다.
      -  Private Cloud 기반에 메일 시스템을 구현한다.
      -  개발 완료 테스트를 시행한다.
      -  기존 메일 시스템 이전 작업을 시행한다.
      -  시범 운용을 추진한다.
      -  운용 및 유지보수를 진행한다.

 

 

  ○ 예상 효과 및 문제점
    ▷클라우드 컴퓨팅 전환으로 인한 정부 통합 메일 시스템의 활용도를 증가할 수 있다.
    ▷각 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운용하던 메일 서비스의 통폐합으로 인하여 예산 절감의 효과 및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그린 ICT 기술의 구현이 가능하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을 위한 공공부문에서의 최초의 선례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도입에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 전자결재 및 문서관리 시스템의 SaaS로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
    ▷ 정부의 각 부처 및 모든 하위 기관에서 활용 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SaaS 기반으로 전환하는 경우 전환에 따른 파급 효과가 크며, 적용과 관련되어 다양한 경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다양한 행정 정보 시스템들 중에서 각 조직별 단위화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 전자 결재 및 문서 관리 시스템의 SaaS기반으로의 전환 절차
    ▷ 아래의 그림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다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  사업 추진에 따른 기초 예비 조사를 한다.
      -  요구사항 수렴 및 분석을 한다.
      -  Open Document 및 Open 전자결재 시스템 구조를 결정한다.
      -  참여 업체 선정 절차를 시행한다.
      -  광역 ICT 센터 기반의 Private Cloud 형 전자결재 및 문서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  개발 완료 테스트를 시행한다.
      -  기본 문서자료를 이전한다.
      -  시범 운용을 시행한다.
      -  운용 및 유지보수를 진행한다.

 

 

  ○ G-Apps의 정의
    ▷ 각 부처 및 기관을 위한 SaaS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민간 기업들이 등록하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도입하여 사용하는 형태의 공공부문 전용의 오픈 마켓을 의미한다.

  ○ G-Apps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
    ▷ 기존에 활용중인 각종 프로그램을 한꺼번에 SaaS 기반으로 전환하는 것은 기존에 활용중인 응용 프로그램과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인하여 구성원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 전 세계적으로 공공 부문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모든 응용 프로그램을 SaaS로 전환한 사례가 없다. 미국의 경우에도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부터 적용하고 있는 단계이다.
    ▷ 현재 수행하고 있는 구매 방식의 경우 정확한 수요 조사 방식이 아닌 단순하게 근무하고 있는 총인원의 수 혹은 보유 개인용 PC의 단순 수량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 부분 예산 낭비에 대한 위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 사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소프트웨어 기능에 대한 예산 소요가 발생하고 있다.

 

  ○ G-Apps의 구축 절차
    ▷아래의 그림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다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  G-Apps의 도입에 따른 기초 조사를 시행한다.
      -  G-Apps를 위한 Open Market에 대한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시행한다.
      -  G-Apps를 위한 Open Market을 구현한다.
      -  Open Market을 시험하고, 운용한다.
      -  G-Apps 등록 및 도입한다.

 

 

  ○ G-Apps의 구축 에 따른 예상효과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에 따른 효과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기업용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5 년간 적용하는 경우 기존 환경에 비하여 1/3 수준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e-메일과 같은 개인용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5배에서 10배에 해당하는 비용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한다.
    ▷SaaS 기반의 소프트웨어 적극적은 활용으로 재택 근무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으며, 엄청난 탄소 절감 효과 및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 GAP의 정의
    ▷ 정보화 프로젝트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지향적인 공공부문 개발 플랫폼 (PaaS)인 Governmental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 (GAP)을 의미한다.
    ▷ 아마존의 EC2와 S3의 개념을 도입한 것으로서 구축되어 있는 공공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공공부문과 연관된 각종 서비스들을 누구나 개발하고, 사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 플랫폼이다.
    ▷ GAP은 SOA 개념을 적용하여, 모든 공공부문의 업무들을 BPM을 적용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들로 정의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지원되는 언어로는 Java와 C++이며, 공통기능 서비스의 경우 오픈 API를 제공하며, GAP을 통하여 생성되는 모든 문서들은 오픈 문서 기반으로 저장된다.

 

  ○ GAP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
    ▷ 공공부문의 정보화의 경우 양적으로는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으나, 전자정부 이용실태에 의하면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율은 41.1%에 불과한 실정이다.
    ▷ 또한 스위스국제경영개발원의 세계경쟁력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 정부의 행정효율성은 2008년에 37위 등 에 그치는 등 ICT 인프라에 비하여 저조한 평가를 받고 있다.
    ▷ 행정정보와 관련된 정보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는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서비스를 제공 받는 사용자의 입장보다는 개발하는 사람의 관점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 국가 정보화 기본 설계 (Natioanl EA)의 부재로 인하여 부처 간의 중복 투자로 인한 예산 낭비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 GAP의 구축 절차
    ▷ 아래의 그림에 도시 된 것과 같이 다단계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범국가적인 EA를 수립한다.
      -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을 시행한다.
      -  공공부문의 전 업무에 대한 BPM 시행과 GBP을 도출한다.
      -  기존의 구축된 데이베이스의 통합 및 재배치를 시행한다.
      -  오픈 아키텍쳐 형태의 ESB 기반의 GAP의 설계 및 구축한다.
      -  운용 및 민간부문에 단계적인 개방 절차 시행

 

  ○ 예상 효과
    ▷ GAP은 공공부문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반 기술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 공공부문 정보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대부분의 핵심 기능들은 GAP에서 오픈 API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모든 정보화 사업의 개발 시간 및 개발 비용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예산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 공공 데이터베이스와 오픈 API를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공공 부문 정보 서비스들이 개발되게 될 것이다.

 

  ○ K 및 W-Cloud Center의 정의
    ▷ Korea Cloud internet data Center (이하 K-Cloud Center)는 기존의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 광역 기반(Wide Area)의 Cloud internet data center (이하 WCloud Center)는 기존의 단위 지방자치단체별로 분산, 관리되었던 모든 시스템을 정부통합전산센터와 비슷한 광역 기반 IDC Center들을 건립한 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접목하여 변환한 것을 의미한다.

 

  ○ K 및 W-Cloud Center의 구축이 필요한 이유
    ▷ 정부통합전산센터를 구축하여 중앙 부처 및 관련 공공기관의 모든 시스템 자원을 대전 및 광주로 통합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통합이 아닌 장소 집약적인 통합만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통합에 따른 예산 절감이나 중복 투자 등의 기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 각 지방자치단체 및 기타 공공기관의 경우 각종 시스템 자원을 보관하고 있는 전산실의 열악한 환경 및 체계적인 관리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위험에 직면하고 있다.

 

  ○ 추진 절차
    ▷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여 K-Cloud Center로 전환을 수행하고, 이후 모든 시스템 자원의 구매 및 활용은 K-Cloud Center에서 대행한다.
    ▷ K-Cloud Center는 모든 시스템 자원을 통합하여 하나의 거대한 가상 시스템을 구성하고,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각각의 정보 시스템에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 W-Cloud Center의 구축은 경기권, 강원권, 충청권, 전라권, 경북권, 경남권 등의 6개 광역권을 기준으로 하여, 각 광역권에 2개의 센터를 두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 운영되는 방식은 K-Cloud Center와 동일한 방식을 사용한다.

 

  ○ 예상 효과
    ▷ K 및 W-Cloud Center의 구축으로 인하여 각 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운용하고 있는 잉여 시스템 자원들의 구매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부처 및 공공기관의 갑작스런 시스템 자원의 요구에도 즉각적으로 대처가 가능함으로써 잉여 자원의 미확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부처 및 공공기관은
각종 시스템 자원을 직접 운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K 및 W-Cloud Center의 설립은 부처 및 공공기관에서 직접적으로 시스템 자원의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련 직원들을 다른 분야에 재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인력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 전문화된 인력들의 관리로 기존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시스템 자원의 운용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갑작스런 장애에도 즉각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정부통합전산센터들로만 한정 되었던 각종 데이터베이스들의 분산 백업 작업들이 지역적으로 최소 12군데 이상의 W-Cloud Center로 분산되어 백업되고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안정적이고 강건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 각 부처 및 공공기관별로 분산 관리되었던 각종 ICT자원들은 K 및 WCloud Center로 통합 관리된다. 통합 운영에 각 부처에서 개별적으로 잉여 시스템을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유하는 시스템 자원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효과로써 전체적인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 1단계에서는
    ▷ 관련 법규 및 제도 등을 제정 및 정비를 시행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1차 시범 사업을 수행한다.

 

  ○ 2단계에서는
    ▷ 1단계에서 시행한 1차 시범 사업을 통하여 얻어진 각종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전환하는 사업을 단계적으로 시행한다. 또한, 정부종합센터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의 전환을 수행한다.

 

  ○ 3단계에서는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공공부문에 판매하고 구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Apps"를 구축하며, 서비스 지향 PaaS 플랫폼인 GAP(Governmental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를 구축한다. 또한 2단계에서 시행하였던 클라우드 컴퓨팅 전환 사업을 전 중앙부처로 확대한다.

 

  ○ 4단계에서는
    ▷ 광역 자치 단체 기반으로 각 지방 자치 단체의 모든 서버 및 스토리지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자원을 하나로 통합하여 광역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며, 서비스 지향 PaaS 플랫폼인 GAP(Governmental Application development Platform)를 구축 활용하는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또한, 2단계에서 시행하였던 클라
우드 컴퓨팅 전환 사업을 1차 지방자치단체들에게 적용한다.

 

  ○ 5단계에서는
    ▷ 기 구축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로 전환된 정부통합전산센터와 광역기반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운영하며, 2단계에서 시행되었던 전환 사업을 모든 자치단체에게 적용하도록 한다. 또한, GAP 및 GAP을 통하여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공공부문의 서비스를 활용하게 된다.

 

 

3. 클라우드 기반의 스마트오피스 업무환경

 

  ○ 스마트 오피스 정의 : 통신망으로 클라우드에 원격 접속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스마트 오피스 유형 : 어플리케이션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 클라우드 스토리지 가상화

 

  ○ 스마트 오피스 도입효과 :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업무처리 가능, 저탄소 업무환경 구현 가능, 외부 정보유출 방지, 관리의 자동화, 효율화 용이

반응형

'컴퓨터 활용 > 클라우드 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강] 클라우드 오해  (0) 2012.07.16
[12강] 가상화 엔진  (0) 2012.07.15
[11강] 스토리지 가상화  (0) 2012.07.13
[10강] 서버 가상화  (0) 2012.07.13
[9강] 가상화 개념  (0) 2012.07.12
:
반응형

1. 클라우드 컴퓨팅의 형식

 

  ○ 개인 클라우드(Private Cloud)

    ▷ 데이터에 대한 독자적인 조절 능력과 보안 및 서버의 질 등 제공 위함

    ▷ 클라이언트들 간에 단독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축

      ㅇ "기업 내에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면서 내부 사원들이" 개인 컴퓨터로 클라우드

          센터의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형태

      ㅇ 장점 : 기업 입장에서는 기업 내의 자료를 통합, 관리 할 수 있다

      ㅇ 단점 : 기업의 시스템에 대한 설치와 유지 보수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 기업을 포함한 서비스 제공자는 인프라를 소유하며 응용 프로그램의 배포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ㅇ 기업 데이터 센터 내, 같은 장소에 있는 facility 등에도 구축 가능

      ㅇ 주로, 기업 소유의 IT 직에 의해 관리 또는 Cloud 공급자에 의해 구축

    ▷ 개인 클라우드를 지원하는 인프라 설치, 형성 운영 가능

    ▷ 자원 사용에 대한 높은 수준의 제어 능력 부여

 

  ○ 공공 클라우드(Public Cloud)

    ▷ 포털 사이트 처럼 외부 데이터 센터를 이용하는 형태, 즉, 인터넷을 통한 개방을 의미

    ▷ 제3의 기업과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구조

 

      "기업의 인프라구조 일시적 확장에도 유연하게 제공" -> 고객의 위험과 비용 절감

    ▷ 성능, 보안 및 Data Locality 등을 고려하여 구현하는 경우

      ㅇ 다른 응용 프로그램의 위상은 클라우드의 제공자와 최종 사용자에게 투명해야 실행가능

    ▷ 장점 : 한 기업의 개인 클라우드를 보다 더 크게 확장 가능

      ㅇ 서비스에 대한 'On-Demand' 기능의 확장과 축소의 역할을 제공

      ㅇ 인프라구조의 휘험도 등을 넘김

      ㅇ 다중 사용자에게 개방된 서비스를 제공

    ▷ 저장 시스템 내의 일부 콘텐츠에 대하여 개방의 정도를 관리하기 위해 가상 private 데이터

        센터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

    ▷ 개방된 콘텐츠의 보안 상 등의 이유로 단일 클라이언트의 단독 사용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 사용자들이 조작 가능한 것 : 가상 머신 이미지, 네트워크 토플로지, 서버, 스토리지 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

    ▷ 같은 자원(facility) 내에 위치하는 모든 요소들에 대한 가상 Private Data Center로의 분리

       ㅇ 대역폭의 활용도와 연결성의 자유로움(Data Locality의 특징에 따른 문제 해결에도 도움)

  ※ 클라우드 컴퓨팅의 궁극적 목표 : 공공 클라우드 구축

       ㅇ 모든 자원을 공유 할 수 있는 공간에 두고, 유지와 보수 등에서 사용자가 해방되는 형태

 

  ○ 혼합형 클라우드(Hybrid Cloud) = Surge Computing

    ▷ 개인 클라우드와 공공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형태

    ▷ 문서별로 다른 보관 장소를 택할 수 있고, 개인 클라우드에 자료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저장,

        공공 클라우드에 데이터 백업을 하는 형태로 주로 사용

 

 

    ▷ 혼합형 클라우드의 특징

      ㅇ 외부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인 "on-Demand"을 요구하는 모델에 적합

      ㅇ 개인 클라우드의 결합시키는 능력은 작업 부하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

      ㅇ 웹 2.0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Storage들의 경우에서 주로 사용

      ㅇ 계획된 작업량이 초과되는 경우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 될 수 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전망

 

  ○ 전체 IT 분야의 투자 부분에서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 세계 비즈니스 및 응용 소프트웨어 시장 부분에서 매년 2배 이상 성장

 

  ○ 2020년까지의 주요 기업의 시장 전망(메릴린치 보고서 인용)

    ▷ 마이크로 소프트 : 510억 달러    ▷ 구글 : 160억 달러    ▷ 아마존 : 140억 달러

    ▷ 야후 : 70억 달러                      ▷ 기타 : 120억 달러

 

  ○ 문제점 : IT 업계의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 보안이나 안전성 측면에 치명적 결함

 

  ○ 미래 전망

    ▷ 많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포함한 현 상태에서 보다 더 완벽한 기술로 성장 중

    ▷ 더 나아가 IT 분야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평가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업체의 특징

    ▷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의 수요 기업의 요구사항을 인지하는 것이 요구 됨

     <클라우딩 컴퓨터 서비스 수요 기업의 요구 사항 >

         ① 서비스를 도입하는 기업들의 세밀한 요구 사항들을 분석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 특히, 고객 요구 사항을 수용 할 수 있는 충분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높은 인지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과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여야 한다.

            · 예를 들면, 갑작스런 서비스 중단이나 사고로 인한 정보 분실 등은 고객에게 큰

              손해를 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없이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높은 인지도가 지속될 수 있다.

         ② 규모의 경제를 수요 기업에 제공해야 한다.

            · 막대한 물리적인 IT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대규모 자원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 제공 할 서버, 저장 장치 등 제반 시스템을 저가에 확보 할 수 있어야 한다.

            · 저렴하게 구축하고, 인프라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 경쟁력이다.

      ㅇ 사용자들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최적화된 자원 배분으로 바르게 지원하는 기술 확보

      ㅇ 기업의 요구에 따른 플렛폼의 유연성과 안정성 유지 기술 확보

      ㅇ 기업 고객, 개인 고객 등의 확보 전략이 필요

      ㅇ 서비스 제공 기술의 표준화도 함께 기업용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고려

 

 

3. 클라우드 컴퓨팅의 확산에 따른 수요 기업의 변화

 

  ○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는 기업

    ▷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다.

    ▷ 서비스 제공 업체에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된다.

    ▷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 종류도 확대 가능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양상에서 확대되어

        데이터 관리까지도 원격으로 서비스 받도록 확대 가능)

      ㅇ 운용 비용과 시간 절감, 안정성 및 보안문제 상승

      ㅇ 기존 IT 부서 인력이 축소되면서 기업 내 조직에도 많은 변화가 예견된다.

 

  ○ IT 예산 및 투자 부분

    ▷ IT 재무 관리 구조와 예산 및 투자 방식의 변화가 요구

      ㅇ 과거

         - 기존의 IT 부분의 투자는 시스템 도입 시에 대규모 투자가 요구됨

         - IT 시스템에 대한 고정 자산은 매년 감가상각을 통해 비용이 차감되었음

      ㅇ 현재

         -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은 정기적 사용료 지불로 안정적 서비스 이용하는 형태로 변경

         - 시스템의 업그레이드 및 기타 유지/보수 비용을 모두 총소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거두면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

         - 절약된 비용은 새로운 비즈니스를 위해 재투자되어 기업의 IT 구조가 이전에 비해 좀 더

           효율적으로 발전 할 수 있음

 

  ○ IT 인프라의 구매 및 소유 부분

    ▷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 : IT 인프라의 구매 및 소유 형태를 바꿀 것으로 예상 됨

      ㅇ 과거 : 이전의 IT 인프라를 자산으로 구매하거나 IT 서비스 형태로 구축하는 구조

      ㅇ 현재 : 단지 서비스를 받거나 자원을 대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매와 소유의 개념이 사라짐

         → 결과적으로 IT 인프라의 구매에서 발생되는 공간에 구축하여 소유하여 사용하는 개념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음

 

  ○ 가상화 기반의 하드웨어 변화 부분

    ▷ 사업자는 IT 장비인 서버, 저장장치의 가상화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ㅇ 과거 : 기존의 일반적인 업무 또는 응용 서비스 별로 별도의 서버를 운용

      ㅇ 현재 :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업자가 제공하는 가상화 기술을 통하여 수백 대의 서버 및

                   저장장치를 보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소프트웨어의 서비스화 부분

    ▷ 소프트웨어의 서비스화(SaaS : Software as a Service)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ㅇ 운영체제와 소프트웨어 플렛폼이 컴퓨터 기반에서 웹으로 확장되면서 SaaS가 더욱 활성화

      ㅇ SaaS는 기업의 소프트웨어 및 데이타베이스 운영에 들어가는 컴퓨팅 자원을 최소화시킴

      ㅇ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개발 도구 및 플렛폼을 서비스(PaaS)로 받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 효율성이 높아 질 수 있다. 

     <전사적 구조(EA : Enterprise Architecture) 란?>

         - 체계화된 정보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업무, 데이터, 시스템 등의 정보화 구성 요소와

           상호 관계(Architecture)를 미리 규정한 정보화 종합 설계도이다.

         - 신규 정보화 투자 심사 시 업무, 데이터, 시스템 등의 관점에서 자원의 중복성이나

           공유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고 사업을 조정 할 수 있다.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의 도입에 따라 EA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

 

  ○ 그린 자원화 부분

    ▷ IT 자원을 서로 공유하고 유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전체적인 자원 절감 효과

      ㅇ 단순히 비용 절감 뿐 아니라, 환경 보호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ㅇ '그린 IT'를 실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수단으로 주목하고 있다.(저전력, 고효율 및 환경보호)

      ㅇ 핵심 기술인 가상화는 데이터 센터의 공간을 줄여주고, 에너지 소비량도 절감시켜주고

          있기에 기업의 그린 IT화를 주도 할 수 있다.

 

 

4. 클라우드 컴퓨팅의 표준화

 

  ○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 조직

    ▷ OCC(Open Cloud Consortium)

    ▷ CCIF(Cloud Computing Interperability Forum)

    ▷ DMTF(Distributed Mnangement Task Force)

    ▷ OFG(Open Grid Forum)

 

  ○ OCC(Open Cloud Consortium)

    ▷ 조직목표

      ㅇ 클라우드 간의 상호호환성을 위한 표준과 프레임워크의 개발

      ㅇ 클라우드 컴퓨팅의 위한 참조 구현

      ㅇ 클라우드 컴퓨팅 테스트베드 관리 등

    ▷ 참여업체(대학과 민간 기업이 주축을 이룸)

      ㅇ Aerospace, Cisco, MIT Lincoln Labs, Northwestern University, Open DataGroup

      ㅇ Sector Project,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Yahoo 등

    ▷ WG(Working Group) 목표

      ㅇ Standard and Interoperability for Large Data Cloud

         - 스토리지 클라우드와 컴퓨팅 클라우드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개발, 대용량 클라우드를

            위한 벤치마킹 등의 상호호환 표준 개발

      ㅇ Open Cloud Testbed

         - 오픈 클라우드 테스트베드의 관리/운영을 위한 WG으로 오픈 클라우드 테스트베드는

            현재 Cisco CWave와 UIC Teraflow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다.

      ㅇ Open Science Data Cloud(OSDC)

         - 과학 데이트를 위한 대용량 데이터 클라우드 관리/운용을 위한 WG으로 주로 바이오

            데이터와 천문 데이터, 유전 데이터를 처리하는 대학이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ㅇ Intercloud Testbed

         - IaaS와 PaaS의 연결을 위한 프레임워크 연구 및 IF-MAP(Interface for Metadata Access

           Point)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한 테스트베드의 구축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 CCIF(Cloud Computing Interperability Forum)

    ▷ 설립목표 : 글로벌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ecosystem)를 목표로 설립

    ▷ 주요 활동내용 : 다수의 Cloud Platform 간에 원활한 정보 교환을 위하여 단일화된 인터페이스

                              (Unified Cloud Interface : UCI)를 제정

    ▷ 목표 과업

      ㅇ CCIF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를 다양한 클라우드 API들을 통합하여 표준화 시키고

          개방된 클라우드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

 

      ㅇ 내부적으로 UCI 재정을 위하여 RDF를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포함한 시맨틱 클라우드데이터

          모델을 기술하고, UCI 에이전트를 통하여 글로벌 한 클라우드 API를 제공

 

  ○ DMTF(Distributed Mnangement Task Force)

    ▷ 기업 및 네트워크 환경을 대상으로 분산 IT 자원관리 표준 및 통합 기술을 개발하여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기구

      ㅇ CIM(Common Interface Model) 개발

      ㅇ WBEM(Web-based Enterprise Management) 개발

      ㅇ 프로파일(Management Profile) 표준개발

    ▷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화를 지원하기 위한 노력

      ㅇ VMAN(Virtualization Management Initiative)가 있다.

      ㅇ 가상 머신 포맷의 표준인 OVF(Open Virtualization Format)을 개발하고 있다.

      ㅇ 오픈 클라우드 표준 인큐베이터(open cloud standard incubator)를 통하여 Public Cloud와

          Private Cloud 간의 상호 호환에 대한 표준 기획 중(상호 호환 가능한 클라우드 백서 출간)

 

  ○ OFG(Open Grid Forum)의 OCCI(Open Cloud Computing Interface) WG

 

 

    ▷ 설립연도 : 2009년 4월 설립

    ▷ 설립목적 : IaaS 호환성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표준을 만드는 것이 목적

    ▷ 수행과업

      ㅇ Amazon EC2 API, ElasticHosts API, FlexiScale API, GoGrid API, Sun Cloud APIs 등의

          IaaS API들을 고려하고 있다.

      ㅇ 현재까지 Use Cases - Entities, Management and Life-Cycle(2009년 5월),

          Open Cloud Computing Interface API 명세(2009년 10월) 등을 발표

 

     

반응형
: